2024/05/23 5

보물 (제2225호) 여수 흥국사 소조사천왕상

종 목보물 (제2225호)명 칭여수 흥국사 소조사천왕상 (麗水 興國寺 塑造四天王像)분 류유물 / 불교조각 / 소조수량/면적천왕상 4구지 정 일2023.10.26소 재 지전라남도 여수시 흥국사길 160 (중흥동, 흥국사)시 대조선시대(17세기 전반)소 유 자대한불교조계종 흥국사관 리 자대한불교조계종 흥국사문화재설명​사찰 입구 천왕문에 봉안된 사천왕상은 수미산 중턱에 살며 동서남북 네 곳에서 불법 및 불국토를 수호하는 호법신(護法神)이다. 사천왕은 동(지국천왕), 서(광목천왕), 남(증장천왕), 북(다문천왕) 네 방위에서 맡은 바를 수행하는데 각기 보검(寶劍), 보당(寶幢)과 보탑(寶塔), 용과 여의주, 비파 등 지물을 들고 있으며 일부를 제외하고는 대체로 일정하다. 부릅뜬 눈, 크게 벌어진 입 등 두려움을..

문화재/보물 2024.05.23

보물 (제2224호) 구례 화엄사 소조사천왕상

종 목보물 (제2224호)명 칭구례 화엄사 소조사천왕상 (求禮 華嚴寺 塑造四天王像)분 류유물 / 불교조각 / 소조수량/면적천왕상 4구지 정 일2023.10.26소 재 지전라남도 구례군 화엄사로 539 (마산면, 화엄사)시 대조선시대(17세기 전반, 1632~1636년 추정)소 유 자대한불교조계종 화엄사 관 리 자대한불교조계종 화엄사 문화재 설명​지리산 화엄사 천왕문(天王門)에 있는 사천왕상으로, 흙으로 만든 소조불(塑造佛)이며 높이는 378㎝이다. 1630년(인조 8)에서 1636년(인조 14) 사이에 벽암(碧巖)선사가 화엄사의 대웅전을 비롯하여 금강문·보제루·천왕문·적묵당·일주문 등의 건물을 중건하였을 때 사천왕상도 함께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천왕문 내부 왼쪽으로는 비파를 든 동방 지국천왕과 칼을 ..

문화재/보물 2024.05.23

보물 (제2223호) 파주 보광사 동종

종 목보물 (제2223호)명 칭파주 보광사 동종 (坡州 普光寺 銅鍾)분 류유물 / 불교공예 / 기타수량/면적1구지 정 일2023.08.24소 재 지경기도 파주시 보광로474번길 87 (광탄면, 보광사)시 대1634년(인조 12)소 유 자대한불교조계종 보광사 관 리 자대한불교조계종 보광사 문화재설명​‘파주 보광사 동종’은 기문(記文) 형식의 주성기(鑄成記)를 통해 천보(天寶)가 상륜(尙倫), 선잠(善岑) 등과 함께 청동 300근을 들여 1634년(인조 12) 제작하였음을 명확히 알 수 있는 동종이다. 이 동종은 중국종의 형식을 수용하는 동시에 우리 고유의 미감을 반영하며 새로운 전환기를 맞는 조선 전기(15∼16세기) 범종을 충실히 계승하고 있다. 음통이 없는 쌍룡의 종뉴와 종의 몸체를 횡대로 구분하는 것..

문화재/보물 2024.05.23

보물 (제2222호)기장 고불사 영산회상도

종 목보물 (제2222호)명 칭기장 고불사 영산회상도 (機張 古佛寺 靈山會上圖)분 류유물 / 불교회화 / 탱화 / 불도수량/면적1폭지 정 일2023.08.24소 재 지부산광역시 기장군 고촌로28번길 77 (철마면, 고불사)시 대1736년(영조 12)소 유 자대한불교조계종 고불사 관 리 자대한불교조계종 고불사 문화재설명​‘기장 고불사 영산회상도’는 화기에 있는 기록을 통해 1736년(영조 12)이라는 제작연대를 명확히 알 수 있는 불화이다. 화기에 제작 화승이 기록되어 있지 않으나 존상의 특색 있는 머리 모양, 여래를 중심으로 짜임새 있고 안정적으로 구성된 구도와 배치, 채도가 낮은 적색과 녹색의 강한 대비 등으로 볼 때 경북지역, 특히 팔공산 일원에서 활약한 의균, 밀기 등의 화승에 의해 제작된 것으로 ..

문화재/보물 2024.05.23

국보 (제344호) 밀양 영남루

종 목국보 (제344호)명 칭밀양 영남루 (密陽 嶺南樓)분 류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 조경건축 / 누정수량/면적1곽(대루, 능파각, 침류각, 여수각)지 정 일2023.12.28소 재 지경상남도 밀양시 중앙로 324 (내일동, 영남루)시 대조선시대소 유 자국유 관 리 자밀양시 ​문화재설명​​영남루의 시초는 통일신라 때 세운 영남사(嶺南寺)라는 절에 있던 금벽루(金璧樓) 혹은 소루(小樓), 죽루(竹樓)라 불리는 작은 누각에서 시작된다. 이후 고려 때 절은 폐사되고 누각만 남아 있던 것을 1365년(공민왕 14)에 밀양군수 김주(金湊, 1339∼1404)가 중창하고 영남루(嶺南樓)라 한 것이 관영 누각으로서의 시작이다. 고려시대 정지상(鄭知常, ∼1135)은 영남루에서 바라본 아름다운 야경을 표현한 한시 「..

문화재/국보 2024.05.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