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28 10

보물 (제2240호) 경주 서봉총 출토 금제 허리띠

종 목보물 (제2240호)명 칭경주 서봉총 출토 금제 허리띠 (慶州 瑞鳳塚 出土 金製 銙帶)분 류유물 / 생활공예 / 금속공예 / 장신구수량/면적1점지 정 일2023.12.26소 재 지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시 대신라시대소 유 자국유 관 리 자국립중앙박물관문화재설명​‘경주 서봉총 출토 금제 허리띠’는 신라시대 고분인 서봉총(瑞鳳塚)을 일제강점기인 1926년 조선총독부박물관이 발굴했을 때 출토된 것이다. 쌍무덤[瓢形墳]의 북분에 해당하는 서봉총은 무덤 내부에 직사각형의 구덩이를 파고 덧널[槨]을 설치한 신라 특유의 돌무지덧널무덤[積石木槨墳]으로 발굴 당시 금관(보물), 금제 귀걸이, ‘연수원년신묘(延壽元年辛卯)’ 기록이 있는 은제 합 등 당시 신라 고분문화를 보여주는..

문화재/보물 2024.05.28

보물 (제2239호) 경주 금령총 출토 금제 허리띠

종 목보물 (제2239호)명 칭경주 금령총 출토 금제 허리띠 (慶州 金鈴塚 出土 金製 銙帶)분 류유물 / 생활공예 / 금속공예 / 장신구수량/면적1점지 정 일2023.12.26소 재 지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시 대신라시대(5세기 말~6세기 초)소 유 자국유 관 리 자국립중앙박물관문화재설명​‘경주 금령총 출토 금제 허리띠’는 신라시대 고분인 금령총(金鈴塚)을 일제강점기인 1924년 조선총독부박물관이 발굴했을 때 출토된 것이다. 금령총은 무덤 내부에 직사각형의 구덩이를 파고 덧널[槨]을 설치한 신라 특유의 돌무지덧널무덤[積石木槨墳]으로 발굴 당시 금관(보물), 도기 기마인물형 명기(국보), 금령 등 당시 신라 고분문화를 보여주는 의미 있는 유물들이 대거 출토된 중요한 ..

문화재/보물 2024.05.28

보물 (제2238호) 청자 음각앵무문 정병

종 목보물 (제2238호)명 칭청자 음각앵무문 정병 (靑磁 陰刻鸚鵡文 淨甁)분 류유물 / 생활공예 / 토도자공예 / 청자수량/면적1점지 정 일2023.12.26소 재 지서울특별시 중구시 대고려시대(12세기)소 유 자이*** 관 리 자이*** 문화재설명​정병은 깨끗한 물을 담는 수병(水甁)으로 불교에서 사용된 기물이다. 수행하는 승려가 지니는 물건 중 하나였으며, 부처 앞에 깨끗한 물을 담아 바치는 불교 공양구이다. 볼록한 배 모양의 몸체 옆에 물을 담는 주구(注口)가 있으며, 몸체 위로는 물을 따르는 첨대(尖臺)가 있는 구조이다.​고려시대 정병은 왕실에서 민간에 이르기까지 여러 계층에서 사용했을 뿐 아니라 관청, 도교 사원, 불교 사찰 등 다양한 곳에서 사용되었다. 따라서 품질도 다양하였고 금속, 청자,..

문화재/보물 2024.05.28

보물 (제2237호) 순천 송광사 조계문

종 목보물 (제2237호)명 칭순천 송광사 조계문 (順天 松廣寺 曹溪門)분 류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문수량/면적1동지 정 일2023.11.02소 재 지전라남도 순천시 송광사안길 100 (송광면)시 대조선시대소 유 자송광사관 리 자송광사문화재설명​「순천 송광사 조계문」은 건립연대가 확인되지 않는다. 다만, 1802년(순조 2) 중창되었으며, 1842년(헌종 8) 큰 화재로 송광사의 대부분 전각이 소실되었으나 조계문은 살아남았다는 ‘조계산송광사사고(曹溪山松廣寺史庫)’ 등을 통해, 1802년 이전부터 존재했음을 알 수 있다. 1886년 제작된 것으로 알려진 ‘순천조계산송광사사적’에 포함된 송광사 배치도에서도 그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정면에 ‘조계산대승선종송광사’라는 현판이 세로로 쓰여 걸렸으며..

문화재/보물 2024.05.28

보물 (제2236호) 달성 용연사 자운문

종 목보물 (제2236호)명 칭달성 용연사 자운문 (達城 龍淵寺 慈雲門)분 류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문수량/면적1동지 정 일2023.11.02소 재 지대구광역시 달성군 옥포읍 반송리 산 54-7시 대조선시대소 유 자용연사 관 리 자용연사 문화재설명​「달성 용연사 자운문」은 1695년(숙종 21년)에 창건된 것으로 상량문(1695년)과 중수기(1938년)가 남아있어 건축연대와 중수연대가 확실하다. 처음 명칭은 ‘일주문’으로 건립되었으나, 1920년 사진자료에는 ‘자운문’으로 편액이 걸려 있어 그 이전에 명칭이 변경되었음을 알 수 있다. 정면에 ‘비슬산용연사자운문(琵瑟山龍淵寺慈雲門)’이란 편액을 걸어놓았으며 글씨는 회산 박기돈(晦山 朴基敦, 1873~1948)의 작품이다.​「달성 용연사 자운문」..

문화재/보물 2024.05.28

보물 (제2235호) 하동 쌍계사 일주문

종 목보물 (제2235호)명 칭하동 쌍계사 일주문 (河東 雙磎寺 一柱門)분 류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문수량/면적1동지 정 일2023.11.02소 재 지경상남도 하동군 쌍계사길 59 (화개면)시 대조선시대소 유 자쌍계사 관 리 자쌍계사 문화재설명​「하동 쌍계사 일주문」은 ‘영남하동부쌍계사사사적기문’에 따르면 1641년(인조 19)에 세워졌다. 일주문에는 2개의 편액이 걸려 있는데, 전면에는 ‘삼신산쌍계사(三神山雙磎寺)’와 배면에는 ‘선종대가람(禪宗大伽藍)’이 달렸다. 이는 근대 서화가로 이름을 떨친 해강 김규진(海岡 金圭鎭, 1868~1933)이 쓴 것이다.​「하동 쌍계사 일주문」은 정면 1칸의 겹처마 팔작지붕 건물이다. 전면 평방에 5개 공포, 전체 14개 공포를 올린 다포식 공포 구조로, ..

문화재/보물 2024.05.28

보물 (제2234호) 곡성 태안사 일주문

종 목보물 (제2234호)명 칭곡성 태안사 일주문 (谷城 泰安寺 一柱門)분 류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문수량/면적1동지 정 일2023.11.02소 재 지전라남도 곡성군 죽곡면 원달리 산 18-1시 대조선시대소 유 자태안사 관 리 자태안사 문화재설명​「곡성 태안사 일주문」은 2017년 보수공사에서 확인된 상량문을 통해 1521년(중종 16년)에 ‘조계문(曹溪門)’으로 창건되었음을 알 수 있다. 상량문에 태종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 1396~1486)의 수결(手決, 서명) 흔적이 남아있다. 태안사는 6‧25전쟁 당시 거의 소실되었으나 일주문은 능파각(凌波閣)과 더불어 남아 있는 건물 중 하나이다. 일주문 앞면에는 ‘동리산태안사(桐裏山泰安寺)’, 뒷면에는 ‘봉황문(鳳凰門)’이라는 현판이 ..

문화재/보물 2024.05.28

보물 (제2233호) 함양 용추사 일주문

종 목보물 (제2233호)명 칭함양 용추사 일주문 (咸陽 龍湫寺 一柱門)분 류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문수량/면적1동지 정 일2023.11.02소 재 지경상남도 함양군 안의면 상원리 960시 대조선시대소 유 자용추사 관 리 자용추사 문화재설명​「함양 용추사 일주문」은 함양 용추계곡 일대에 옛 장수사(長水寺)의 흔적을 확인할 수 있는 유일한 건축물로 1711년(숙종 37)에 건립되었다. 6‧25전쟁 당시 장수사가 화재로 모든 전각이 소실될 때 유일하게 화를 피하였다. 정면 창방에는 ‘덕유산장수사조계문(德裕山長水寺曹溪門)’이라 쓴 현판이 걸려있다. 장수사는 일주문 북쪽에 위치하였던 사찰이며, 현재의 용추사(龍湫寺)는 북쪽으로 약 400m가량 떨어진 용추폭포 근처의 용추암(龍湫庵) 터에 1959년 ..

문화재/보물 2024.05.28

보물 (제2232호) 합천 해인사 홍하문

종 목보물 (제2232호)명 칭합천 해인사 홍하문 (陜川 海印寺 紅霞門)분 류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문수량/면적1동 지 정 일2023.11.02소 재 지경상남도 합천군 해인사길 122 (가야면, 사찰)시 대조선시대소 유 자해인사 관 리 자해인사 문화재설명​「합천 해인사 홍하문」은 정확한 창건 연대를 알 수 없으나, 1457년(세조 3)에 중수 이래 지금까지 다섯 차례 중수하였다는 기록이 전해지고 있어 세조의 지원 아래 해인사가 확장하는 과정에서 건립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유척기(1691~1767)의 ‘유가야산기(遊伽倻山記)’ 기록과 정선(1676~1759)이 부채에 그린「해인사도」와 김윤겸( 1711~1775)의 「해인사도」 등을 보아 적어도 18세기에는 일주문인 홍하문, 그 다음에 ..

문화재/보물 2024.05.28

보물 (제2231호) 공주 마곡사 소조사천왕상

종 목보물 (제2231호)명 칭공주 마곡사 소조사천왕상 (公州 麻谷寺 塑造四天王像)분 류유물 / 불교조각 / 소조수량/면적천왕상 4구. 지 정 일2023.10.26소 재 지충청남도 공주시 마곡사로 966 (사곡면, 마곡사) 시 대1683년(조선 숙종 9)소 유 자대한불교조계종 마곡사 관 리 자대한불교조계종 마곡사 문화재설명​사찰 입구 천왕문에 봉안된 사천왕상은 수미산 중턱에 살며 동서남북 네 곳에서 불법 및 불국토를 수호하는 호법신(護法神)이다. 사천왕은 동(지국천왕), 서(광목천왕), 남(증장천왕), 북(다문천왕) 네 방위에서 맡은 바를 수행하는데 각기 보검(寶劍), 보당(寶幢)과 보탑(寶塔), 용과 여의주, 비파 등 지물을 들고 있으며 일부를 제외하고는 대체로 일정하다. 부릅뜬 눈, 크게 벌어진 입 ..

문화재/보물 2024.05.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