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15 3

국보 (제343호) 삼척 죽서루

종 목국보 (제343호)명 칭삼척 죽서루 (三陟 竹西樓)분 류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 조경건축 / 누정수량/면적1동지 정 일2023.12.28소 재 지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성내동 9-3시 대조선시대소 유 자국유 관 리 자삼척시 ​문화재설명​​삼척 죽서루는 고려 명종(1171∼1197)대에 활동하였던 김극기(金克己, 1148∼1209)가 죽서루의 풍경을 읊은 시 등을 통해 적어도 12C에는 창건되었으며, 처음에는 ‘서루(西樓)’로 불리다가 14C후반에 들어서 ‘죽서루(竹西樓)’라 불리기 시작했다. 또 김수온(金守溫, 1410∼1481)의 『죽서루단청기(竹西樓丹靑記)』(1472), *허목(許穆, 1595∼1682)의 『죽서루기(竹西樓記)』(1662) 등에서 ‘1403년 부사 김효손(金孝孫, 1373∼142..

문화재/국보 2024.05.15

국보 (제342호) 부안 내소사 동종

종 목국보 (제342호)명 칭부안 내소사 동종 (扶安 來蘇寺 銅鍾)분 류유물 / 불교공예 / 의식법구수량/면적1구지 정 일2023.12.26소 재 지전라북도 부안군 내소사로 243 (진서면, 내소사)시 대1222년(고려 고종 9)소 유 자대한불교조계종 내소사 관 리 자대한불교조계종 내소사 ​문화재설명​사찰에서 사용하는 종은 소리를 통해 범음(梵音)을 전파하는 도구 중 하나로 법고, 운판, 목어와 더불어 법구사물(法具四物)로 불린다. 종은 대중을 모이게 하거나 시간을 알리기 위해 치기도 하지만, 신성한 불음(佛音)을 통해 현실에서 고통 받고 있는 중생들의 깨달음과 구제를 염원하는 종교적 기능도 가지고 있다.​‘부안 내소사 동종’은 몸체에 음각으로 새겨진 주종기(鑄鍾記)를 통해 도인(道人) 허백(虛白)과 종..

문화재/국보 2024.05.15

국보 (제341호) 이순신 장검

종 목국보 (제341호)명 칭이순신 장검 (李舜臣 長劍)분 류유물 / 과학기술 / 무기병기류 / 무기무구류수량/면적2자루지 정 일2023.08.24소 재 지충청남도 아산시 현충사길 126 (염치읍)시 대조선시대(1594년)소 유 자문화재청 현충사관리소 관 리 자문화재청 현충사관리소 ​문화재설명​‘이순신 장검’은 1963년 보물로 지정된 ‘이순신 유물 일괄’에 포함된 도검으로 길이가 약 2m에 달하며 크기와 형태가 거의 같은 한 쌍이 각각 칼집을 갖추고 있다. 칼자루는 나무에 어피를 감싸고 붉은 칠을 하였으며, 일부분만 직사각형의 금속판을 댄 후 가죽끈을 X자로 교차해 감고 끈 위에 검은 칠을 하여 칼자루를 잡았을 때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였다. 외날의 칼날은 칼등 방향으로 조금 휘어 있으며, 칼날의 단면은..

문화재/국보 2024.05.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