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28376

사적 (제568-3호) 제2로 직봉 - 단양 소이산 봉수 유적

종 목사적 (제568-4호)명 칭제2로 직봉 - 단양 소이산 봉수 유적 (第2路 直烽 – 丹陽 所伊山 烽燧 遺蹟)분 류유적건조물 / 교통통신 / 통신 / 봉수수량/면적▲지정구역 1필지(317㎡) ▲보호구역 2필지(2,650㎡)지 정 일2023.01.10소 재 지충청북도 단양시시 대조선시대소 유 자단양시관 리 자단양시문화재설명​조선 최후기 봉수망을 알 수 있는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1908)에 제2거 직봉은 부산 다대포진 응봉봉수에서 초기하는 노선으로 총 44기가 있다. 2로 직봉 유적의 제2거는 직봉과 10개소의 간봉으로 이루어져 있다. 소백산맥의 주요한 영로(嶺路)를 넘는 노선이 모두 봉수로(烽燧路)가 되었으며, 가장 동쪽의 죽령(竹嶺)을 넘는 노선이 직봉(直烽)이 되고, 중앙의 통로인 계립령(鷄..

문화재/사적 2023.04.08

사적 (제568-2호) 제2로 직봉 - 용인 석성산 봉수 유적

종 목사적 (제568-2호)명 칭제2로 직봉 - 용인 석성산 봉수 유적 (第2路 直烽 – 龍仁 石城山 烽燧 遺蹟)분 류유적건조물 / 교통통신 / 통신 / 봉수수량/면적▲지정구역 2필지(1,393㎡) ▲보호구역 2필지(5,941㎡)지 정 일2023.01.10소 재 지경기도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마성리시 대조선시대소 유 자산림청관 리 자용인시문화재설명​봉수는 외적의 침입 등 급한 소식을 낮에는 연기로, 밤에는 횃불로 도성인 한양에 전했던 군사·통신시설이다. 처인구 포곡읍 마성리에 있는 석성산 봉수는 1423년(세종 5년) 설치된 5개의 봉수 노선 중 부산 다대포에서 지금의 남산인 한양 목멱산까지 연결되는 제2로 직봉 노선 중 42번째 내지봉수(내륙에 설치한 봉수)다.석성산 봉수는 건지산 봉수(처인구 원삼면)의..

문화재/사적 2023.04.08

사적 (제568-1호) 제2로 직봉 - 성남 천림산 봉수 유적

종 목사적 (제568-1호)명 칭제2로 직봉 - 성남 천림산 봉수 유적 (第2路 直烽 – 城南 天臨山 烽燧 遺蹟)분 류유적건조물 / 교통통신 / 통신 / 봉수수량/면적▲지정구역 3필지(1,064㎡) ▲보호구역 6필지(7,955㎡)지 정 일2023.01.10소 재 지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금토동 산 35-5시 대조선시대소 유 자성남시관 리 자성남시문화재설명​성남시 수정구 금토동 달이내고개에 있다. 이곳은 청계산의 주봉인 망경대와 국사봉 사이에 동북쪽으로 뻗은 능선의 해발 170m 지점이다. 해발 고도는 높지는 않지만, 북쪽과 남쪽으로 멀리까지 바라다 보인다.​봉수는 조선 시대의 중요한 군사 통신수단이었다. 전국 각지로부터의 정보를 전달받기 위해 5개의 노선이 설치되어 있었다. 천림산 봉수는 부산 동래 다대포..

문화재/사적 2023.04.08

사적 (제567호) 임진왜란 웅치 전적

종 목 사적 (제566호) 명 칭 임진왜란 웅치 전적 (壬辰倭亂 熊峙 戰蹟) 분 류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전적지 / 임란전적지 수량/면적 11필지 232,329㎡ 지 정 일 2022.12.30 소 재 지 전라북도 완주군 소양면 신촌리 산 51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완주군 관 리 자 완주군 문화재설명 ​ 웅치 전투 (熊峙戰鬪)는 임진왜란 초기의 전투 중의 하나이다. 1592년 (선조 25년) 8월 13일 (음력 7월 7일) 전라도 웅치 방어선에서 벌인 전투로 김제 군수 정담 (鄭湛)과 휘하 방정영 과 박석 등이 이끄는 관군과, 의병장 황박, 이광 등의 의병이 합류하였고 나주 판관 이복남 (李福男), 해남군가 변응정 (邊應井) 등이 나섰으나 4명의 장군들과 군사 3000명이 전사하고 패배했다.

문화재/사적 2023.04.08

사적 (제566호) 담양 응용리와 태목리 유적

종 목 사적 (제566호) 명 칭 담양 응용리와 태목리 유적 (潭陽 應龍里와 台木里 遺蹟) 분 류 유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 주거지 수량/면적 103,394㎡ 지 정 일 2022.12.02 소 재 지 전라남도 담양군 대전면 응용리 48-10 일원 시 대 2~5세기, 마한 소 유 자 담양군 관 리 자 담양군 문화재설명 ​ 「담양 응용리와 태목리 유적」은 삼국시대 한반도 중서부․서남부 지역의 토착세력(마한)이 2~5세기를 중심시기로 영산강변에 조성한 대규모 취락지로 당시의 마을 구조, 규모, 시기별 변화상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유적이다. 지난 2003년 고창․담양간 고속도로 건설 시 처음 발견되었으며, 북광주 IC 조성 전 발굴조사 및 5차례의 시․발굴조사를 시행하여 해당 문화재구역 내 약 1,500기의 유..

문화재/사적 2023.04.08

사적 (제565호) 삼척 흥전리 사지

종 목 사적 (제565호) 명 칭 삼척 흥전리 사지 (三陟 興田里 寺址) 분 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사찰 수량/면적 27,938㎡ 지 정 일 2022.11.28 소 재 지 강원도 삼척시 도계읍 흥전리 산 92-1 시 대 통일신라 및 고려시대 소 유 자 국유(산림청 ) 관 리 자 삼척시 문화재설명 ​ 1. 삼척 흥전리사지는 여러 발굴조사 결과 각종 건물지와 석탑지, 초석 등을 확인되었으며, 당시의 상당한 위세를 확인할 수 있는 ‘國統’명·‘大藏經’명 등 비편과 완벽한 형태의 청동정병, 인주까지 포함된 인주함과 청동관인, 금동투조 장식판 등 당시로서는 상당히 위계가 높다할 수 있는 통일신라시대 유물이 확인됨 ​ 2. 유구와 유물을 통해 문헌에서만 확인되는 신라 승관제도를 실증하는 유적으로 당..

문화재/사적 2023.04.08

사적 (제564호) 경주 금강산 표암봉 일원

종 목 사적 (제564호) 명 칭 경주 금강산 표암봉 일원 (慶州 金剛山 瓢巖峯 一圓) 분 류 유유적건조물 / 유물산포지유적산포지 / 유적분포지 수량/면적 423,867㎡ 지 정 일 2022.06.17 소 재 지 경상북도 경주시 동천동 산 7-6 일원 시 대 삼국(신라)시대 소 유 자 경주시 관 리 자 경주시 문화재설명 ​ 경주 금강산 표암봉 일원’은 신라 왕경오악(王京五岳)*의 북악(北岳)이자 국가 중대사를 논의하던 사령지(四靈地)*로서 신라의 신성한 공간이며, 신라사의 역사적 사건과 관련한 중요한 유적이 밀집된 장소로 역사·학술적 가치가 뛰어난 유적이다. * 왕경오악: 오악은 왕경의 중앙과 사방을 둘러싼 신성한 산으로 동악(토함산), 서악(선도산), 남악(남산), 중악(낭산), 북악(금강산)이 있음 ..

문화재/사적 2023.04.08

사적 (제563호) 고창 무장기포지

종 목 사적 (제563호) 명 칭 고창 무장기포지 (高敞 茂長起包址) 분 류 유적건조물 / 인물사건 / 역사사건 수량/면적 19필지/ 7,390㎡ 지 정 일 2022.05.02 소 재 지 전라북도 고창군 공음면 구암리 590 외 18필지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고창군 관 리 자 고창군 문화재설명 ​ ‘고창 무장기포지’는 조선 봉건 사회의 부정과 부패의 척결, 반외세의 기치를 내걸고 민족의 자주권을 수호하고자 했던 대규모 민주항쟁인 ‘동학농민혁명’의 시작을 알리는 포고문을 선포한 집결지이자 출발점입니다. 천주교와 서양 문물을 뜻하는 서학과 대비가 된다는 의미의 동학은 최제우가 창시한 민족 종교이다. 고부 농민 봉기를 일으킨 전봉준이 관군의 소탕을 피해 무장의 대접주 손화중을 찾아, 함께 손을 잡고 농민..

문화재/사적 2023.04.08

사적 (제562호) 삼척도호부 관아지

종 목 사적 (제562호) 명 칭 삼척도호부 관아지 (三陟都護府 官衙址) 분 류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궁궐·관아 / 관아 수량/면적 70필지 / 29,186㎡ 지 정 일 2021.12.20 소 재 지 강원도 삼척시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삼척시 관 리 자 삼척시 문화재설명 ​ 「삼척도호부 관아지」는 삼척이 태조 2년(1393년) 삼척부로 승격되고, 태종 13년(1413년) 삼척도호부로 지명이 변경된 후 고종 32년(1895년) 삼척군으로 개명 될 때까지 삼척의 행정명칭으로 사용된 조선시대 삼척 지역 통치의 중심지였던 삼척도호부 관아가 있던 터임 발굴조사 결과 객사, 동헌, 내아 등 관아의 중요 건물유적과 삼척읍성의 남문지와 체성부가 확인 되었으며 발굴 성과와 더불어 문헌 기록을 통하여 삼척도호부..

문화재/사적 2023.04.08

사적 (제561호) 합천 삼가 고분군

종 목 사적 (제561호) 명 칭 합천 삼가 고분군 (陜川 三嘉 古墳群) 분 류 유적건조물 / 무덤 / 무덤 수량/면적 120필지 / 535,161㎡ 지 정 일 2021.11.24 소 재 지 경상남도 합천군 시 대 가야시대 소 유 자 합천군 관 리 자 합천군 문화재설명 ​ 「합천 삼가 고분군」은 330여기의 고총고분이 조영된 가야 내륙지역의 중심 고분군임. 1~7세기 사이 널무덤(목관묘) → 덧널무덤(목곽묘) → 구덩식돌덧널무덤(수혈식석곽묘) → 굴식돌방무덤(횡혈식석실묘)에 이르는 가야 고분의 구조, 규모의 변천 과정과 더불어, 외형과 부장품 품목 구성의 변화를 통하여 가야 내륙지역에서 가야 소국으로의 정치체 성립과 성장, 발전, 소멸의 전 과정을 드러내는 역사ㆍ학술 가치가 뛰어남

문화재/사적 2023.0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