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28376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93호 지장보살본원경

종 목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93호 명 칭 지장보살본원경 (地藏菩薩本願經)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목판본 / 사찰본 수량/면적 3권 1책 지 정 일 2021.02.01 소 재 지 대구광역시 달성군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장원사 관 리 자 장원사 일반설명 비슬산 장원사에 있는 '지장보살본원경'은 '지장경'이라고도 불리는 지장신앙의 기본경전이다. 조선 예종 1년(1469) 간행한 도성암(道成菴) 판본을 바탕으로 명종 17년(1562) 황해도 중암(中庵)에서 다시 새긴 판본이다. 황해도 중암에서 다시 새긴 판본은 이 책이 유일한 것으로 추정된다. 바탕이 된 판본이 왕실의 지원을 받았기에 본판의 장엄한 모습이 그대로 남아있다. 세종의 둘째딸인 정의공주가 죽은 남편 안맹담의 명복을 빌기 위해 새겼다.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92호) 대구 광덕사 신중도

종 목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92호 명 칭 대구 광덕사 신중도 (大邱 光德寺 神衆圖) 분 류 유물 / 불교회화 / 탱화 / 기타 수량/면적 1폭 지 정 일 2020.02.10 소 재 지 대구광역시 달성군 시 대 조선시대(1812년) 소 유 자 광덕사 관 리 자 광덕사 일반설명 대구 광덕사 신중도’는 해외에 유출되었다가 경매를 통해 환수된 경우로 제작 기록(畵記)에 의하면 1812년(가경17) 11월에 순천부 영취산 흥국사 보현전에 봉안하였던 것이다. 18세기 후반에서 19세기 전반 전라도에서 주로 활동한 불화승(佛畫僧) 도일(度鎰) 등이 조성한 작품이다. 이 작품은 표현이 섬세하고 우수하며, 제작연대 및 제작에 참여한 화승, 봉안처가 분명히 밝혀져 있는 작품으로, 조선후기 18세기에서 19세기로 이어지..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91호) 불설장수멸죄호제동자다라니경

종 목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91호 명 칭 불설장수멸죄호제동자다라니경 (佛說長壽滅罪護諸童子陀羅尼經)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목판본 / 사찰본 수량/면적 1책(35장) 지 정 일 2020.02.10 소 재 지 대구광역시 달성군 시 대 조선시대(세조후기~성종초기) 소 유 자 *** 관 리 자 *** 일반설명 ‘‘불설장수멸죄호제동자다라니경’은 현세의 죄업을 모두 소멸시키고 장수(長壽)의 법을 설법한 밀교 계통의 경전으로 흔히『장수경(長壽經)』이라고 하고, 주로 국가의 안녕과 국왕의 장수, 그리고 자신 선대의 극락왕생 및 가정의 화목을 기원할 목적으로 간행한 대표적 불경이다. 이 책은 권말제(卷末題)와 시주명단으로 보아 15세기 후반(세조∼성종초기)에 간행된 목판본이다. 표지는 없지만 보존상태도 매우 ..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90호) 감지금니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22

종 목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90호 명 칭 감지금니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22 (紺紙金泥大方廣佛華嚴經 周本 卷二十二)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전적류 / 전적류 수량/면적 1첩(10장) 지 정 일 2020.02.10 소 재 지 대구광역시 남구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김*** 관 리 자 김*** 일반설명 ‘감지금니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22’는 당나라의 실차난타(實叉難陀)가 번역한『화엄경』주본 80권 가운데 권22 승도솔천궁품(昇兜率天宮品)으로 세존이 도솔천궁으로 올라가는 과정을 기술한 것이다. 검푸른 색의 종이(紺紙)에 금가루(金泥)로 정성스럽게 옮겨 쓴 고려시대 사경(寫經)이다. 앞부분에는 변상도(變相圖)가 있고, 본문의 내용도 금가루로 정성껏 쓰여져 있다. 10개의 연화문으로 이루어진 표지화는..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223호)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권1~5

종 목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223호) 명 칭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권1~5 (大佛頂如來宻因修證了義諸菩薩萬行首楞嚴經 卷一~五)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목판본 / 사찰본 수량/면적 5권1책 지 정 일 2023.03.29 소 재 지 부산광역시 남구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정방사 관 리 자 정방사 문화재설명 ​ 정방사 소장의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권1∼5? 1책은 1488년(성종 19) 음력 8월 홍산현의 만수산 무량사에서 판각된 목판을 후대 찍어 만든 불교기록유산이다. 해당 판본은 전체 10권 가운데 권1∼5의 영본으로 자료적인 완전성에서 문화적인 가치가 제한되며, 본문 내지의 훼손·마모 및 습기 흔적도 보이고 있다. 그러면서 전체적으로는 보존 상태가 비교적 ..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222호) 묘법연화경 권4~7

종 목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222호) 명 칭 묘법연화경 권4~7 (妙法蓮華經 卷四∼七)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목판본 / 사찰본 수량/면적 4권1책 지 정 일 2022.09.28 소 재 지 부산광역시 사하구 제석로79번길 33 (당리동)​ 시 대 1405년(태종5년) 소 유 자 관음사 관 리 자 관음사 문화재설명 ​ 관음사 소장 『묘법연화경』은 구마라집이 변역하고 계환이 주해한 것을 저본으로 조선시대 명필인 성달생(成達生), 성개(成槪) 형제가 선친의 명복을 기원할 목적으로 정서한 『법화경』을 판하본(板下本)으로 하여 1405년(태종 5)에 전라도 도솔산 안심사에서 도인 신문(道人 信文)이 주관하여 목판으로 새긴 것을 후쇄한 것인데, 초간본이 아닌 그리 오래되지 않은 후쇄본임을 알 수 있다...

부산시 유형문화재 (제221호) 상지은니 묘법연화경 권2

종 목 부산시 유형문화재 (제221호) 명 칭 상지은니 묘법연화경 권2 (橡紙銀泥 妙法蓮華經卷二)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목판본 수량/면적 1권 1첩 지 정 일 2022.05.25 소 재 지 부산광역시 강서구 낙동남로 754-16(녹산동) 시 대 여말~선초 소 유 자 수능엄사 관 리 자 수능엄사 문화재설명 ​ 수능엄사『상지은니 묘법연화경』은 부처님의 말씀을 필사한 사경으로 상수리나무 열매로 물들인 갈색 종이인 상지(橡紙)에 은가루를 아교 물에 개어 붓으로 쓴 상지은사경(橡紙銀寫經)이다. 묘법연화경 7권7책 가운데 수능엄사에는 권2만 소장하고 있으며, 장정의 형태는 종이를 옆으로 이어붙여 병풍같은 형태로 접은 절첩본(折帖本)이다. 표지의 서명과 본문 첫면의 서명인 권수제가 동일하게 ‘妙法蓮華經’이며..

부산시 유형문화재 (제220호) 관음보살도

종 목 부산시 유형문화재 (제220호) 명 칭 관음보살도 (觀音菩薩圖) 분 류 유물 / 불교회화 / 탱화 / 보살도 수량/면적 1점 지 정 일 2021.11.24 소 재 지 부산광역시 영도구 해양로301번길 45 (동삼동, 국립해양박물관)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국유 관 리 자 국립해양박물관 일반설명 '관음보살도'는 보타락가산 정토에 앉아 있는 관세음보살을 그린 것으로, 비단 바탕에 흑색을 칠하고 금선으로 그린 불화다. 조성 시기는 19세기로 추정된다. 이 작품처럼 규모가 작은 관음보살도는 개인의 원불(염원을 빌기 위해 모신 부처) 성격이 강해 조선후기 관음보살도의 다양한 신앙적 기능과 용도를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사례다.

부산시 유형문화재 (제219호) 독례집요 목판

종 목 부산시 유형문화재 (제219호) 명 칭 독례집요 목판 (讀禮輯要 木板) 분 류 기록유산 / 서각류 / 목판각류 / 판목류 수량/면적 200점 ​ 지 정 일 2021.03.24 소 재 지 부산광역시 남구 유엔평화로 63 (대연동, 부산박물관) 시 대 조선시대 (1909년) 소 유 자 부산광역시 관 리 자 부산시립박물관 ​일반설명 ​ 사성재(思誠齋) 윤우학(尹禹學, 1852~1930)이 1909년에 찬술한 예학서로 9권 5책으로 편제되어 있다. 책판의 화구 좌변에 분류 표기가 있고, 주는 쌍행(雙行)이며, 백광과 반광이 혼재되어 있다. 사주단변으로 10행(行) 22자(字), 유계(有界)이다. 결락은 한 장으로 권7의 7장이다. 마구리도 모두 갖추어져 있다. 판심은 ‘독례집요권지일(讀禮輯要卷之一) ○○..

부산시 유형문화재 (제218호) 휴대용 평면해시계(평면일영)

종 목 부산시 유형문화재 (제218호) 명 칭 휴대용 평면해시계(평면일영) (携帶用平面해時計(平面日影)) 분 류 유물 / 과학기술 / 계측교역기술용구 / 계산용구 수량/면적 1식 지 정 일 2021.03.24 소 재 지 부산광역시 서구 구덕로 225 (부민동2가, 동아대학교부민캠퍼스)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동아대학교 관 리 자 동아대학교박물관 일반설명 동아대 석당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휴대용 평면해시계는 1870년 음력 12월 초 강윤(姜潤, 1830-1898)이 제작한 것이다. 강윤은 조선 중기 문인화가인 표암 강세황(姜世晃, 1712-1791)의 증손자로 동생 강건(姜健, 1843-1909)과 함께 당시 최고의 해시계 제작자였다. 그의 부친과 아들도 혼천시계와 휴대용 앙부일구를 각각 제작했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