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28376

부산시 유형문화재 (제217호) 소총통

종 목 부산시 유형문화재 (제217호) 명 칭 소총통 (小銃筒) 분 류 유물 / 과학기술 / 무기병기류 / 무기무구류 수량/면적 1점 지 정 일 2021.01.27 소 재 지 부산광역시 금정구 부산대학로63번길 2 (장전동, 부산대학교) 박물관 시 대 조선시대 (1591년) 소 유 자 부산대학교 관 리 자 부산대학교 박물관 일반설명 부산대학교박물관 소장 소총통(小銃筒)은 제작연대가 1591년(선조 24년), 전체 길이는 76㎝, 구경 4.2㎝, 중량 3.3kg, 명문 ‘만력십구년십일월일 소총통 중오근십량 화약삼전 장이함(萬曆十九年十一月日 小銃筒 重五斤十兩 火藥三戔 匠李函)’이 새겨져 있다. 병부(柄部) · 약실부(藥室部) · 통신부(筒身部) 등이 하나로 주조된 형식으로, 통신부에 7개의 죽절(竹節)이 양..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216호) 현수제승법수

종 목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216호) 명 칭 현수제승법수 (賢首諸乘法數) 분 류 기록유산 / 문서류 / 사찰문서 / 기타류 수량/면적 1책 지 정 일 2021.01.27 소 재 지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정*** 관 리 자 정*** ​일반설명 홍치(弘治) 13년(연산군 6, 1500)에 경상도(慶尙道) 합천지(陜川地) 가야산(伽倻山) 봉서사(鳳栖寺) 개판본(開板本)이다. 봉서사 간인본(刊印本)으로 총 78장으로 구성된 낙장(落張)이 없는 판본이다. 인출 시기는 조선 중기로 추정된다. 최근 일부 장(張)에 좀으로 인한 약간의 훼손이 있어 보존처리 및 수리하였으나, 전체적으로 수리 및 배접한 흔적도 없으며 보존 상태도 양호하다.

부산시 유형문화재 (제215호) 현수제승법수

종 목 부산시 유형문화재 (제215호) 명 칭 현수제승법수 (賢首諸乘法數)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목판본 / 사찰본 수량/면적 1책 지 정 일 2021.01.27 소 재 지 부산광역시 금정구 시 대 조선시대(1500년) 소 유 자 허*** 관 리 자 허*** 일반설명 홍치(弘治) 13년(연산군 6, 1500)에 경상도(慶尙道) 합천지(陜川地) 가야산(伽倻山) 봉서사(鳳栖寺) 개판본(開板本)이다. 11권 1책으로 목판본이며, 반엽은 세로26.2×가로16.0cm이다. 사주단변(四周單邊)이며, 반곽은 세로17.0×가로13.0cm이다. 대흑구(大黑口) 상하내향흑어미(上下內向黑魚尾)이며, 무계(無界)이다. 판심제는 권에 따라 ‘서(序), 법(法), 현(泫), 법수(法數), 법발(法跋)’로 구분되어 있다. ..

부산시 유형문화재 (제214호) 묘법연화경

종 목 부산시 유형문화재 (제214호) 명 칭 묘법연화경 (妙法蓮華經)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목판본 / 사찰본 수량/면적 2책 지 정 일 2021.01.27 소 재 지 부산광역시 강서구 낙동남로 754-16 (녹산동)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수능엄사 관 리 자 수능엄사 일반설명 1477년(성종 8)에 서평군(西平君) 한계희(韓繼喜, 1423~1482)의 일족이 발원하여 고산(高山) 불명산(佛明山) 화암사(花岩寺)에서 간행한 것으로, 1443년(세종 25)에 동일 간행처인 화암사에서 개판(開板)했던 판본을 번각(飜刻)한 것이다. 판본의 계통상으로는 성달생체판계에 속한다. 7권 2책 완본으로 책1은 권1~3, 책2는 권4~7로 구성되어 있다. 닥종이[楮紙]에 인출하였으며, 장정(裝幀)은 오침안정..

부산시 유형문화재 (제213호) 홍현주 필 산수도

종 목 부산시 유형문화재 (제213호) 명 칭 홍현주 필 산수도 (洪顯周 筆 山水圖) 분 류 유물 / 일반회화 / 산수화 수량/면적 1점 지 정 일 2020.04.29 소 재 지 부산광역시 서구 구덕로 225 (부민동2가, 동아대학교부민캠퍼스)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동아대학교 관 리 자 동아대학교 박물관 일반설명 다산 정약용의 대표작인 양 간주되던 그림으로 익히 알려진 동아대학교 박물관 소장 산수도 「잔산잉수(殘山剩水)」는 동양사학자 동빈 김상기(東濱 金庠基, 1901-1977) 선생이 동아대학에 기증한 작품 중에 하나다. 화면 왼쪽 하단 모서리의 백문방인 ‘현주사인(顯周私印)’을 역시 홍현주가 소장인이라고 간주하는 의견에 따른 것이었으나, 최근에는 다산은 다만 제시를 썼을 뿐 이 산수도를 그린 이..

부산시 유형문화재 (제212호) 해운정사 삼층석탑

종 목 부산시 유형문화재 (제212호) 명 칭 해운정사 삼층석탑 분 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1기 지 정 일 2020.04.29 소 재 지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2로 40-6 (우동, 해운정사) 시 대 신라시대 소 유 자 해운정사 관 리 자 해운정사 일반설명 해운정사 경내에 위치해 있는 이중기단 삼층탑신의 석탑이다. 상륜의 노반 이상이 결실되었으나 석탑의 구조 및 비례에서 전형적인 이중기단의 신라석탑 양식을 따르고 있다. 이 석탑은 원래 경주에서 대구로 이건되었다가 경주 손재림박물관 정원에 있던 것이 기증에 의해 해운정사로 반입된 것이다. 기단부를 구성하는 하층기단, 상층기단의 부재가 4-4-2이며 탑신부는 몸돌과 지붕돌이 각각 1매씩으로 정연한 구성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부산시 유형문화재 (제211호) 보광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

종 목 부산시 유형문화재 (제211호) 명 칭 보광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 (普光寺 木造阿彌陀如來三尊坐像) 분 류 유물 / 불교조각 / 목조 / 불상 수량/면적 3구 지 정 일 2020.01.29 소 재 지 부산광역시 동구 범상로 1번길 35 시 대 조선시대 후기 소 유 자 보광사 관 리 자 보광사 일반설명 보광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은 본존인 아미타여래좌상 1구와 양측의 보살살 2구로 구성되어 있다. 본존인 아미타여래좌상은 좌우협시보다 크게 조성해 격을 달리하는 조선후기 불상의 보편적인 특징을 따르고 있다. 신체에 비해 머리가 큰 편이지만 어깨와 다리의 비례가 적당해 안정감이 있다. 허리가 짧은 상반신을 앞으로 약간 숙여 결가부좌한 자세를 취하고 양손은 다리 위에서 살짝 들어 엄지와 중지를 맞댄 아미타..

부산시 유형문화재 (제210호) 관세음보살 42 수 진언집

종 목 부산시 유형문화재 (제210호) 명 칭 관세음보살42수진언집(觀世音菩薩42手眞言集)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전적류 수량/면적 1축 지 정 일 2019.12.04 소 재 지 부산광역시 금정구 중앙대로1667번길8 시 대 고려시대 소 유 자 사유 관 리 자 허ㅇ 문화재설명 ​ 관세음보살42수진언집은 보관 상태가 불량하여 수리한 것으로 원래 절첩장(병풍식)이던 것을 권자본(두루마리)형태로 만들었다. 앞표지는 있으나 글자 판독이 불가하고 뒷 표지는 없으며 발문이나 간기가 없다. 권수(卷首)에 관세음보살께 귀의(歸依)하는 내용의 원문이 열거되고 제1 관세음보살 여의주수진언(如意珠手眞言)으로 시작하여 제42 관세음보살 총섭천비수 진언(摠攝千臂手 眞言)을 끝으로 상단에 42수의 변상(變相)과 그 우측에..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552호) 화계사 대웅전 상량문 및 복장물 일괄

종 목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552호) 명 칭 화계사 대웅전 상량문 및 복장물 일괄 (華溪寺 大雄殿 上樑文 腹藏物 一括) 분 류 유물 / 기타종교공예 수량/면적 3건 19점 지 정 일 2023.04.06 소 재 지 서울특별시 강북구 시 대 1870년 소 유 자 화계사 관 리 자 화계사 문화재설명 ​ 〈화계사 대웅전 상량문 및 복장물 일괄〉의 『지장보살본원경』은 각 장에 새겨진 시주자명과 마지막 장에 화주, 각수 등의 간행 관련 기록이 뚜렷하게 남아있는 점 등에 따라 서지학 및 불교학 연구 등에 귀중한 자료로 평가되며 상량문, 부속 복장물 등과 함께 일괄로 서울시 유형문화재로 지정할 만한 가치를 지닌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지장보살본원경』은 조선 전기 1558년(명종 13)에 황해도 토산의 석두사에서..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551호) 청자 과형병

종 목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551호) 명 칭 청자 과형병 (靑磁瓜形甁) 분 류 유물 / 생활공예 / 토도자공예 / 청자 수량/면적 1점 지 정 일 2023.04.06 소 재 지 서울특별시 중구 시 대 고려시대 소 유 자 이*** 관 리 자 이*** 문화재설명 ​ 은 화형의 구연부와 긴 목 그리고 동체부를 참외 모양으로 만든 청자병이다. 구연은 여덟 잎의 꽃 모양으로 만들었고, 긴 목에 몸통은 상하로 세로 선을 눌러 오목하게 골을 내 참외 모양으로 만들었으며, 굽은 치마형의 높은 굽다리 형태이다. 굽과 몸통 사이 얇은 돌대를 표현하였고, 목에는 음각 가로 선을 두 줄, 목과 몸통 사이에 가로 선을 세줄 음각하였을 뿐 다른 장식은 없다. 조사대상과 같은 청자과형병은 전남 강진과 전북 부안 일대 가마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