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상식/세상사는이야기

아버님 전상서

오늘의 쉼터 2009. 5. 8. 09:29



    ◈아버님 전상서◈ ‘여보세요’ “그래 아빠다.” 수화기 넘어 들려오는 일흔 되신 아버님의 목소리다. 당신 젊으실 때 엄부 노릇 미안해서 서른을 훌쩍 넘긴 두 아이 아빠에게 “그래 아빠다.”속으론 둘째아들 무척이나 귀여우셨나 보다. 아직 당신 이름으로 전화기 한 대 없이 일흔을 살으셨다. 어쩌다 자식 생각에 이웃집 전화한 번 빌려 쓰자고 아끼고 아끼던 사탕 한 줌 들고 “아가야 이거 먹어라.” 하시며 이웃집 툇마루에 걸터앉으신다. 세상사는 이야기, 농사 이야기, 차마 전화 빌려 쓰잔 말이 나오질 않아 긴 서론을 더 길게 늘여놓고 그래도 당신 아들 그리우셨는지, "이 사람아 전화 한 번만 씀세" 어렵사리 내뱉어 겨우 수화기 받아들고 윗주머니 뒤적여 꼬깃꼬깃 적어두신 작은아들 전화번호 행여 잘못 눌러 전화요금 많이 나올까 두 번 세 번 확인하고 꾹꾹 번호를 누르신다. 어쩌다 추석에 약주 한 병들고 가면 아들이 사다준 귀한 술이라며 한잔 드시고 갈무리하시고, 또 한잔 드시며 아들 딸 본 듯이 미소 한 번 지으시고, 또 생각나면 그냥 한번 쳐다만 보시다가 손님 오면 자랑삼아 한잔 대접하고, 설날이 오기까지 반 병이 남는다. 비싼 술 아까워 두 잔을 못 드시며 힘든 농사일 막걸리로 다 하시고 이젠 허리 굽어 지게질도 못 하실 때, 장성한 자식들 도회에 나가 살아 보고 싶어도 자주 볼 수 없으니 전화로 목소리나 들어볼 요량으로 며느리가 사다 드린 사탕 봉지를 여신다. 그렇게 한 세월 살다 손자 둘 손녀 둘에 외손자 일곱을 두시고 일흔 되시던 해 억수 내리던 날 바람처럼 구름처럼 홀연히 떠나셨다. 아빠 하며 가슴에 한번 안겨 드리지 못하고, 술 한 병 고기 한 근이 무슨 대수라고 명절마다 그리도 술만 사다 날랐는지…… 고3인 큰딸, 출장이라도 갔다 오면 현관에서 부터 아빠 하며 달려와 넙죽 안긴다. 이젠 다 자라 껑충 뛰어오르면 감당이 안 되지만 마음엔 한없는 행복이 넘친다. 당신도 그런 마음이셨을 터인데, 그 마음 이해 못 하고 늘 하는 대로 ‘아버님 절 받으세요.’ 방바닥에 넙죽 엎드려 큰절 올리는 것으로 당신께 지킬 예의는 다 지킨 양 턱 하니 마주앉아 이것저것 집어 주시는 음식만 먹었었다. 자식을 키워봐야 부모 공을 안다고 했던가? 철들자 머리는 희끗희끗해져 오고, 인제 와서 산소 앞에 무릎 꿇고 사죄드린들 이미 지나버린 세월인 것을, 당신 살아 실제 그 무릎에 한번 안겨 드리지 못하고 정겹게 아~빠 한번 불러 드리지 못한 것이 이렇게 두고두고 후회가 될 줄은 몰랐다. 오늘 밤 꿈에라도 혹여 뵙게 되면 아~빠~~~목이 터져라 불러 드리렵니다. 뼈만 앙상한 가슴일 지라도 세 살 적 아이 되어 넙죽 안겨 드리렵니다. <<시인, 수필가 이기은>> ::::::::::::::::::::::::::::::::::::::::::::::::::::::::::::::::::::::: 어둠이 걷히지 않는 새벽, 창천에 떠 있는 음력 열나흘 달을 훔쳐보며 카네이션 한 바구니 들고 아버지, 어머니가 잠들어계신 곳을 다녀왔습니다. 차디찬 봉분 앞에 엎드려 할 수 있었던 건 엄마~~아버지 부르며 방울방울 눈물 흘리는 것이 고작이었지만 이렇게라도 찾아뵙지 않으면 안 될 것 같았습니다. 저야 살아 계실 때 다 하지 못한 효도 때늦은 후회로 고개 숙이지만 우리 님들은 후회로 남지 않도록 시부모님이나 친정 부모님 가리지 않고 곤경 하여 자식의 도리를 다했으면 참 좋겠다 싶습니다. 국보 가족님! 오늘 하루만이라도 하시던 일손 잠시 내려놓으시고 자식들의 사랑 마음껏 받으시고 기뻐하시는 즐거운 하루를 보내시길 예람 이가 소망합니다. 고운님의 가슴에 빠알간 카네이션 한 송이 달아 드리겠습니다. 비록 마음으로 드리는 꽃이지만요. 박꽃처럼 웃으시는 아름답고 행복한 하루 보내십시오. ♣김미옥 드림♣


 

'종합상식 > 세상사는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출도서 유감  (0) 2009.05.13
천 원의 행복  (0) 2009.05.11
그럼에도 불구하고  (0) 2009.05.07
애기똥풀  (0) 2009.05.06
아름다운 언어로만 살 수 있다면  (0) 2009.0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