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후기의 문신 심동신(1824∼?)이 입던 금관조복 중 금관 1점이다. 금관은 조복에 갖추어 쓰던 모자로 양관(梁冠)이라고도 하는데, 량(梁)은 모자의 앞면에서 꼭대기를 지나 뒷면까지 연결되어 붙여진 금색선을 말하며, 그 수에 따라 계급이 구분된다. 이 금관은 5량관으로, 1품의 관리가 쓰던 금관이다.
금관의 모양은 원통형인데 머리둘레와 뒷면 전체에 금칠이 되어 화려하고 윗부분은 검은 비단으로 싸여 있다. 뒷면은 금칠한 나무비녀 2개를 꽂아 고정하였고 비녀의 양 끝에는 술을 감아 늘어 뜨렸다.
이 금관은 1948년 석주선씨가 심동신의 7대 손자며느리로부터 인수받았다고 하며, 1890년대를 전후한 구한말의 유품으로 추정된다.
|
양반집의 면모를 두루 갖추고 있는 조선 후기의 기와집이다. 언제 지었는지 정확한 연대는 알 수 없으나, 건축 양식으로 보아 19세기 후반에 지은 것으로 보인다.
안채와 사랑채가 이어져 완벽한 'ㅁ'자형을 이루고 있다. 안방과 왼쪽에 위치한 부엌의 배치관계는 남부지방의 민가형을 따르고 있다. 부엌은 3칸통으로 길고 문을 북쪽과 서쪽에 두 곳 두고 있다. 안방과 건넌방 사이에는 큰 대청이 있고, 건넌방 오른쪽으로 골방과 마루방이 있으며 그 아래로 모방·부엌·고방으로 이어져 사랑채로 연결되고 있다. 사랑채와 중문간채는 '一'자로 이어져, 가운데는 중문간이며 오른쪽은 사랑채·왼쪽은 문간채가 된다.
사랑채는 방과 대청으로 이루어졌으며 사랑마당 앞으로 길게 툇마루를 두었다. 중문의 왼쪽으로는 마굿간과 작은 사랑방·마루방 그리고 위로 꺾이면서 창고방이 부엌과 연결되어 있다. 사랑마당 앞쪽에는 방과 대문·마구간·헛간으로 구성된 一자형 대문간채가 있으나, 지금은 그 오른쪽에 새로 낸 대문을 이용하고 있다.
이 집에서 특히 주목되는 구조는 안방에서 부엌·광까지 이어지는 다락과, 대청 건너 상방과 골방 천장으로 이어지는 대형다락이다. 또한 안대청에 물건을 얹기 위하여 설치한 시렁도 다양하고 충실하게 꾸며져 있다. 전체적으로 규모가 크고 설비가 합리적이며 건축부재도 튼튼하고 충실하여 장중한 멋을 풍기는 조선 후기 주택의 좋은 예이다.
지정 당시 명칭은 '안동권태응가옥(安東權泰應家屋)'이었으나, 현 소유자의 증조부인 권병우가 입촌한 이래 그 아들 권중은(字:성백)이 구입한 가옥으로 자(字)를 따라 ‘안동 권성백 고택’으로 지정명칭을 변경(2007.1.29)하였다.
※ 위 문화재는 일반적으로 관람이 가능하나, 소유주 등의 개인적 사정으로 관람이 제한될 수도 있습니다.
전문설명 완벽한 ㅁ자형집이다. 현 소유자는 원래의 세거자(世居者)가 아니어서 그 유래(由來) ·연혁(沿革)을 자세히 알 수는 없다.
안채는 길이가 7칸이고 너비가 2칸이며 안방과 상방 앞에만 전퇴(前退)를 두었다. 안방의 크기는 3칸이나 되며 방 후면에는 골방을 두었다. 안방 서편에는 부엌이 있는데 안방과 부엌의 배치관계는 영남식(嶺南式)이다. 부엌도 3칸통(間通)이며 전면에는 출입문이 없이 개방되어 있고 북쪽과 서쪽 두곳에 뒷문을 둔 것은 부엌이 길기 때문인 것 같다. 부엌 아래로는 3칸의 광인데 1칸과 2칸으로 나뉘었고 내부 바닥에는 모두 마루를 깔았다. 안방과 부엌3칸, 광 1칸의 천장에는 ㄱ자로 연이은 다락이 마련되어 있는데 이렇게 안방 천장까지를 다락으로 꾸미는 예는 드문 일이다.
대청은 고주(高柱)없이 평주(平柱)로만 세워졌고 너비가 2칸이므로 4칸 대청이 되는 셈인데 이중(二重)보에 오량가구(五梁架構)로 짜여졌다. 대청의 전열주(前列柱)와 후 2주(柱)는 모두 원주(圓柱)이다. 상방(건넌방)은 대청 끝칸으로 들여앉히고 그 옆칸을 골방으로 하여 상방에서 출입하도록 하였다. 골방 아래로는 마루방과 온돌방, 협문(夾門), 고방으로 연속되고 주간(柱間) 2칸인 사랑대청은 이 주열(柱列)에서 밖으로 두출(斗出)되어 있다.
사랑채와 문간채는 동서 一자로 연(連)하여 그 길이가 9이나 되며 사랑채는 너비가 2칸이다. 중심칸이 안대문이며 그 동편이 사랑채, 서편이 문간채가 된다. 사랑방이 아래위칸이 모두 칸반식(間半式)이며 전퇴(前退)를 두었다. 대청은 2칸 ×2칸의 4칸이고 후면과 동측면에만 판장분합을 달았고 전면은 개방되어 있다. 온돌방에는 방주를 사용하고 대청 전후에는 모두 원주를 썼는데 안채와 같이 이중량(二重樑)에 오량가구로 짜여져 있다. 그리고 문간채는 모두 방주로 하였다.
중문간(中問間)의 서간(西間)은 마구간이며 1칸의 온돌방과 1칸의 마루방 고간(庫間)이 안부엌 아래 광과 연결된다. 대청의 시렁설비(設備)는 다양하고 충실하게 꾸며졌고 대청 건너 상방과 골방천장의 대형 다락 설비는 안방 ·부엌 천장의 다락과 함께 이 집의 가장 특색있는 구조라 하겠다. 또 각부 부재의 태실(太實)한 규격도 눈에 띄게 특색을 발휘하고 있으며 대청에 면한 온돌방 문의 세전공판문(細箭貢板門)이 지니는 고격(古格)도 눈에 띄는 특징이라 할 것이다.
전체적으로 규모가 크고 설비가 합리적으로 완비되었으며 부재가 태실하여 장중한 맛을 짙게 풍기는 좋은 예라 하겠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99B8B24E5DE296D634)
대문간에서 본 사랑채 ![](https://t1.daumcdn.net/cfile/blog/990D054E5DE296D72B)
사랑대청 상부가구 ![](https://t1.daumcdn.net/cfile/blog/99136D4E5DE296D82B)
안대청에서 본 중문간채 ![](https://t1.daumcdn.net/cfile/blog/9901D44E5DE296DA2C)
안채 고방 정면 ![](https://t1.daumcdn.net/cfile/blog/9947AE4E5DE296DB31)
안채 전경 ![](https://t1.daumcdn.net/cfile/blog/99BEF04E5DE296DC34)
연못과 사랑채 ![](https://t1.daumcdn.net/cfile/blog/9973334E5DE296DD36)
전경 ![](https://t1.daumcdn.net/cfile/blog/9902DC425DE296DE2D)
안동권태응가옥(전경) ![](https://t1.daumcdn.net/cfile/blog/99A20B425DE296DF30)
전경 ![](https://t1.daumcdn.net/cfile/blog/996E5A425DE296E12A)
안채 ![](https://t1.daumcdn.net/cfile/blog/99B790425DE296E21A)
안채 ![](https://t1.daumcdn.net/cfile/blog/991C45425DE296E333)
내문(상부다락) ![](https://t1.daumcdn.net/cfile/blog/990576425DE296E42D)
안채천장 ![](https://t1.daumcdn.net/cfile/blog/990DD5425DE296E62D)
안동권태응가옥 ![](https://t1.daumcdn.net/cfile/blog/992ADC505DE296E731)
안채 ![](https://t1.daumcdn.net/cfile/blog/9941B8505DE296E828)
후면 ![](https://t1.daumcdn.net/cfile/blog/994224505DE296E928)
안채 ![](https://t1.daumcdn.net/cfile/blog/99792D505DE296EB2E)
외양간상부 ![](https://t1.daumcdn.net/cfile/blog/9945CD505DE296EC28)
천장 ![](https://t1.daumcdn.net/cfile/blog/995DAE505DE296ED27)
외양간상부 ![](https://t1.daumcdn.net/cfile/blog/99AE09505DE296EE1D)
사랑채 측면 ![](https://t1.daumcdn.net/cfile/blog/9981D8505DE296EF2E)
사랑채 ![](https://t1.daumcdn.net/cfile/blog/995B07505DE296F12F)
안마당 ![](https://t1.daumcdn.net/cfile/blog/99F89D505DE296F22A)
안채 ![](https://t1.daumcdn.net/cfile/blog/9927C4505DE296F331)
원경 ![](https://t1.daumcdn.net/cfile/blog/9940DB505DE296F421)
헛간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