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국가민속문화재

중요민속자료 제203-3호 서당(서당)

오늘의 쉼터 2008. 5. 8. 21:58

 

종 목 중요민속자료  제203-3호
명 칭 서당(서당)
분 류 유적건조물 / 교육문화/ 교육기관/ 서당
수량/면적
지 정 일 1984.12.24
소 재 지 경북 안동시  와룡면 이상리 557
시 대
소 유 자 정우순
관 리 자

 

일반설명

 

안동 송소 종택의 서당으로 앞면 4칸·옆면 2칸 크기에 一자형 평면을 갖추고 있는 집이다. ‘이계서당’이라고 쓴 현판이 걸려 있으며, 가운데 4칸에는 마루를 양 끝 각 2칸씩 온돌방을 들였다.

 

전문설명

 

재하(齋下) 동중(洞中)에는 “이계서당(伊溪書堂) ”이라 게액(揭額)된 종중서당(宗中書堂)이 있는데 원래(元來) 이계서숙(伊溪書塾)은 부(父) 대기씨(大器氏)가 창건(創建)한 것이므로 그 이후(以後)로는 줄곳 지명(地名)인 이계(伊溪)라 관용(慣用)되어온 것으로 짐작된다.

서당(書堂)은 길이가 4간(間), 너비가 2간(間)이며 일자(一字) 동향(東向)집이다. 중(中) 4간(間)이 청(廳)이고 양단(兩端)은 각(各)2간(間)씩의 온돌(溫突)방이며 홑처마 팔작(八作)집이다.

생각컨대 이계서당(伊溪書堂) 창건당시(創建當時)에는 그 정침(正寢)이 촌중(村中)에 있었고 지금의 종택(宗宅)인 재사(齋舍)는 후건(後建)(순조(純祖)24년(年))된 것으로서 촌중(村中) 정침(正寢)의 기능이 어느 시기(時期)에 끊겨 종택(宗宅)이 재사(齋舍)로 이동(移動)한 것이 아닐런지 추측(推測)해 보는 것이다.
 
 
 
서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