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사적

사적 제331호 경산 조영동 고분군 <해제>

오늘의 쉼터 2008. 2. 22. 12:17



종     목 사적  제331호
명     칭경산조영동고분군(慶山造永洞古墳群)
분     류 유적건조물 / 무덤/ 무덤/ 고분군
수량/면적 24,799㎡

지 정 일

1989.08.21 ~ 2011 07 28

소 재 지 경북 경산시  조영동, 경산시 압량면 부적리일원
시     대가야
소 유 자한국토지개발공사
관 리 자경산시


일반설명

경산시 조영동 일대의 낮고 평평한 구릉지대에 약 10여 기의 고분이 분포하고 있다. 무덤을 덮는 흙부분인 분구는 거의 사라지고 남아 있는 것들을 보면 원형으로 되어있다.

무덤 내부는 항아리에 시신을 넣는 독무덤(옹관묘)·구덩식 돌덧널무덤(수혈식 석곽묘)·굴식 돌방무덤(횡혈식 석실묘) 등이 있으며, 이 가운데 구덩식 돌덧널무덤이 가장 많이 나타난다. 구덩식 돌덧널무덤도 시신을 넣은 널만 있는 구조와 시신 넣는 널과 부장품을 넣는 널을 감싸는 덧널들로 다양하다. 유물은 다양한 토기류, 금동관이나 허리띠·귀걸이 등의 치레거리(장신구), 무기류, 말갖춤(마구류), 흙으로 만든 토제품 등이 출토되었다.

만들어진 연대는 확실치 않으나 무덤내부의 구조와 출토된 유물로 미루어 보아 약 3세기에서 5세기 사이에 만들어진 고분군으로 추측한다.


역사성과 특성을 고려한 인접지역 고분군 통합 ※ 재지정 : 사적 516호 '경산 임당동과 조영동 고분군'


전문설명


[위치·분포(位置·分布)] 고분군(古墳群)은 행정구역 상 경상북도(慶尙北道) 경산시(慶山市) 조영동(造永洞) 195-1번지(番地)를 위시하여 부적리(夫迪里) 일원(一圓)에 걸쳐 위치(位置)하고 대체로 낮고 평탄한 구릉지대(丘陵地帶)에 수10기(數10基)가 모여 군(群)을 이루고 분포(分布)하고 있다.

[구조형식(構造形式)] 고분(古墳)의 분구(墳丘)는 거의 모두가 자연유실·경작지조성 등으로 없어지고 몇 기(基) 남아 있지 않다. 남아 있는 분구형태(墳丘形態)는 원형(圓形)이고 크기는 C지역(地域) C-1호분(號墳)은 직경 18.5m·높이 1.8m, E지역(地域) E-1호분(號墳)은 직경 15.4m∼15.7m·높이 3m이며 분구기저부(墳丘基底部)에는 호석(護石)이 돌려 있다. 그리고 대형인 E-II지역 고분분구(古墳墳丘)는 동서장축(東西長軸) 40m·남북단축(南北短軸) 25m·높이 3m 정도이다.

내부구조(內部構造)에는 옹관(甕棺)·수혈식석곽(竪穴式石槨)·횡혈식석실(橫穴式石室) 등이 있는데 수혈식석곽(竪穴式石槨)이 주류(主流)를 이루고 있다. 수혈식석곽(竪穴式石槨) 중에는 단곽(單槨)인 것과 주곽(主槨)·부곽(副槨)으로 이루어진 것이 있으며 단곽(單槨)에는 내부에 아무런 시설을 하지 않은 것, 곽내(槨內)의 한쪽에 천석판석을 세워 부장품(副葬品)을 넣는 공간을 둔 것, 곽내(槨內)의 양쪽에 청석판석을 세워 부장품(副葬品)을 넣는 공간을 둔 것, 장방형주곽(長方形主槨)과 방형부곽(方形副槨)이 장축방향(長軸方向)을 나란히 한 것, 주곽(主槨)과 부곽(副槨)이 평행(平行)으로 배치(配置)된 것, 주곽(主槨)과 부곽(副槨)을 T자형(字形)으로 배치(配置)하고 주곽내(主槨內)에 천석판석을 세워 부장품(副葬品)을 넣는 공간을 마련한 것 등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수혈식석곽(竪穴式石槨)의 대부분(大部分)은 지반(地盤)을 이루고 있는 암석반(岩石盤)을 장방형(長方形) 또는 방형(方形)으로 굴착하여 구축(構築)하였으며 천장(天障)은 목개(木蓋)였다. 석곽(石槨)의 크기는 단곽(單槨)의 것은 길이 2∼3.30m·너비 0.50∼1.05m·높이 0.20∼0.70m 정도이고 주·부곽(主·副槨)으로 이루어진 것은 주곽(主槨)은 길이 2.36∼3.10m·너비 0.45∼1.05m·높이 0.40∼0.60m 정도이며 부곽(副槨)은 길이 0.90∼1.40m·너비 0.50∼1.04m·높이 0.20∼0.30m 정도이다.

[출토유물(出土遺物)] 조영동(造永洞) 고분군(古墳群)은 인접(隣接)한 임당동(林堂洞), 부적동(夫迪洞) 등의 고분군(古墳群)과 함께 3차(次)에 걸쳐 발굴조사(發掘調査)하였으나 아직 보고서(報告書)가 간행(刊行)되지 않아 유물(遺物)의 구체적(具體的)인 내용(內容)은 알 수 없다. 여기에서는 그간 알려진 것만 살펴보면 토기(土器)… 고배(高杯)·영락장식고배(瓔珞裝飾高杯)·투공배(透孔杯)·단경호(短頸壺)·장경호(長頸壺)·대부단경호(臺附短頸壺)·삼이부단경호(三耳附短頸壺)·주구호(注口壺)·대옹(大甕)·시루·기대(器臺) 등. 장신구(裝身具)… 금동관(金銅冠)·금제관식(金製冠飾)·은제관식(銀製冠飾)·경식(頸飾)·이식(耳飾)·과대(과帶)·식리(飾履) 등. 무기(武器)… 소환두대도(素環頭大刀)·삼엽환두대도(三葉環頭大刀)·철검(鐵劍)·철족(鐵鏃)·철모(鐵모)·철부(鐵斧)·개지극(皆枝戟)·복발형주(伏鉢形주)·철단갑(鐵短甲)·찰갑편(札甲片)·호록금구(호록金具) 등. 마구(馬具)… 안장(鞍裝)·마함(馬銜)·혁대장식금구(革帶裝飾金具)·교구동마탁(교具銅馬鐸) 등. 청동제품(靑銅製品)… 청동합(靑銅盒)·청동위두(靑銅위斗) 등. 토제품(土製品)… 어망추·방추차 등.

[추정년대(推定年代)] 발굴조사자(發掘調査者)의 견해(見解)를 기술(記述)한 보고서(報告書)가 간행(刊行)되지 않아 추정년대(推定年代)는 확실하지 않으나 그간에 알려진 고분(古墳)의 내부구조(內部構造)라든가 유물(遺物)에 의하여 3세기경(3世紀頃)에서 5세기경(5世紀頃)에 이르는 사이에 조영(造營)된 고분군(古墳群)으로 추측(推測)케 한다.




경산조영동고분군석곽노출상태

경산조영동고분군

관수식,곡옥부경식,지환

석곽

철촉,오늬,화살(모형)E3-2호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