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28376

울산광역시 문화재자료 (제31호) 묘법연화경 권1

종 목 울산광역시 문화재자료 (제31호) 명 칭 묘법연화경 권1 (妙法蓮華經 券1)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전적류 수량/면적 1책 지 정 일 2019.11.21 소 재 지 울산광역시 북구 매곡산업4길 13-51 시 대 조선시대 1572년 소 유 자 청룡암 관 리 자 청룡암 일반설명 본서는 구마라집(鳩摩羅什)이 한역(漢譯)하고 송나라의 계환(戒環)에 의해 주해(註解)된 영본(零本) 1책(권1)본이다. 판종은 목판본이며, 판식은 사주단변(四周單邊)에 계선(界線)은 없으며, 반곽(半廓)의 크기는 21.0×13.5㎝이고, 책 크기는 30.3×18.2㎝ 본문의 글자는 10행 19자로 배열되어 있다. 판심은 어미(魚尾)가 없는 백구(白口)로 되어있다. 본서는 표지에 묵서(墨書)로 ‘法華經’으로 표제(標題)를..

대전광역시 문화재자료 (제67호) 쌍청당암각

종 목 대전광역시 문화재자료 (제67호) 명 칭 쌍청당암각 (雙淸堂巖刻) 분 류 기록유산 / 서각류 / 금석각류 / 석각류 수량/면적 1기 지 정 일 2021.07.19 소 재 지 대전광역시 동구 동부로33번길1 시 대 조선 시대 소 유 자 은*** 관 리 자 은*** 일반설명 쌍청당암각은 세 개의 면에 명문이 새겨진 자연의 암석이다. 전면에“雙淸堂睡翁二墓在乾方二百五十步 百代”, 측면에 “淸風”, 후면에 “三韓正氣” (쌍청당과 수옹의 묘는 서북쪽 250보 되는 곳에 있다. 백대의 청풍이오 삼한의 정기로다) 라고 새겨져 있다. ?조선환여승람-명묘 송유』 기록에 “좌측 동남쪽에는 바위가 있는데 숙종 정묘(1687)에 곡운 김수증이 팔분체로 써서 새기기를 ‘雙淸堂睡翁二墓 左乾方二百五十步 百代淸風 三韓正氣’”라..

대전광역시 문화재자료 (제66호) 수옹송갑조신도비 및 후기비

종 목 대전광역시 문화재자료 (제66호) 명 칭 수옹송갑조신도비 및 후기비 (睡翁宋甲祚神道碑 및 後記碑) 분 류 기록유산 / 서각류 / 금석각류 / 비 수량/면적 2기 지 정 일 2021.07.19 소 재 지 대전광역시 동구 시 대 조선 시대 소 유 자 은*** 관 리 자 은*** 일반설명 수옹 송갑조(睡翁 宋甲祚)의 신도비와 후기비이다. 송갑조의 본관은 은진(恩津). 자는 원유(元裕), 호는 수옹(睡翁)이다. 참봉 송세량(宋世良)의 증손, 할아버지는 봉사(奉事) 송구수(宋龜壽)이고, 아버지는 의빈부도사(儀賓府都事) 송응기(宋應期)이며, 어머니는 광주이씨(廣州李氏)로 이윤경(李潤慶)의 딸이다. 우암 송시열(宋時烈)의 아버지이며, 최립(崔岦)의 문인이었다. 영조 때 영의정에 추증되었다. 신도비는 17세기에..

대전광역시 문화재자료 (제65호) 쌍청당 송유묘표

종 목 대전광역시 문화재자료 (제65호) 명 칭 쌍청당 송유묘표 (雙淸堂宋愉墓表) 분 류 기록유산 / 서각류 / 금석각류 / 비 수량/면적 1기 지 정 일 2021.07.19 소 재 지 대전광역시 동구 시 대 조선 시대 소 유 자 은*** 관 리 자 은*** 일반설명 송유의 묘표(墓表 : 묘주의 사적과 행적을 새겨 묘소 앞에 세우는 표석)이다. 송유(1388~1446)의 본관은 은진 호는 쌍청당(雙淸堂)이다. 조부는 정몽주 등 제현들에게 존경을 받은 사헌부잡단 송명의(宋明誼)이고 부친은 진사 송극기 어머니는 고흥류씨 류백준의 딸이다. 은진송씨가 회덕에 정착한 것은 송명의 때부터이지만 은진송씨가 회송이라고 칭해질 만큼 지역사회의 깊은 연고를 갖게 된 것은 송유 때부터로 의미가 있다. 이 때 송촌(宋村)이라..

대전광역시 문화재자료 (제64호) 개심사 아미타불회도

종 목 대전광역시 문화재자료 (제64호) 명 칭 개심사 아미타불회도 (開心寺 阿彌陀佛會圖) 분 류 유물 / 불교 / 탱화 / 불도 수량/면적 1폭 지 정 일 2021.07.19 소 재 지 대전광역시 동구 시 대 조선 시대 소 유 자 개심사 관 리 자 개심사 일반설명 개심사 아미타불회도는 군도형식의 불화로 화면 중앙의 솟아오른 연꽃 대좌 위에 결가부좌(結跏趺坐)를 하고 있는 본존불상을 중심으로 6보살상 및 6제자상과 2타방불상이 좌우로 대칭하여 안치되어 있다. 다만 군도형식 불화에서 보이는 사천왕상과 팔금강(또는 사금강), 용왕 용녀 등의 권속들이 생략되었다. 본존불 머리에는 초승달 모양의 중앙계주(中央髻珠)와 공 모양의 정상계주(頂上髻珠)가 갖추어져 있으며 얼굴은 원만형이다. 법의는 양어깨를 모두 감싼 ..

광주광역시 문화재자료 (제31호) 광산 귀후재

종 목 광주광역시 문화재자료 (제31호) 명 칭 광산 귀후재 분 류 유적건조물 / 교육문화 / 교육기관 / 서당 수량/면적 1동 지 정 일 2022.12.27 소 재 지 광주광역시 광산구 광곡길 133(광산동) 시 대 1870년(조선후기) 건립한 서당 소 유 자 광산 귀후재 관 리 자 광산 귀후재 문화재설명 ​ 귀후재(歸厚齋)는 조선시대 건축의 특징인 단조로움과 깔끔함을 갖추었다. 고풍스러운 느낌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광주광역시 광산구 광산동에 크지 않은 기씨(奇氏) 집성촌 광곡(너브실) 마을에는 월봉서원과 귀후재, 고봉학술원, 애일당, 고봉 기대승의 학문적 전통을 연구 계승 발전시키고 있다. 원래 행주 기씨는 경기도 고양시 고봉산 아래에서 살았으나 고봉(高峯) 기대승(奇大升: 1527 ~1572)의..

인천광역시 문화재자료 (제31호) 용궁사 지장시왕도

종 목 인천광역시 문화재자료 (제31호) 명 칭 용궁사 지장시왕도 분 류 유물 / 불교회화 / 탱화 / 기타 수량/면적 1폭 (104.5cm x 121cm) 지 정 일 2022.12.19 소 재 지 인천광역시 중구 운남로 199-1 (운남동, 용궁사) 시 대 1910년대 소 유 자 한국불교태고종 용궁사 관 리 자 한국불교태고종 용궁사 문화재설명 ​ 용궁사 지장시왕도는 근대기 서울과 경기지역에서 활동하던 화승 혜과당 봉감이 수화승으로, 한곡당 돈법이 동참화승으로 함께 조성한 불화이다. ​ 지장시왕도 도상에서 지장삼존과 시왕만으로 화면을 구성하는 방법은 고려와 조선 후기에는 보이지 않고 16세기에 몇 작품에만 보이는 드문 사례이며, 표현된 인물들의 도상적 특징은 경기도와 서울지역 화승의 계보를 시각적으로 잘..

인천광역시 문화재자료 (제30호) 용궁사 신중도

종 목 인천광역시 문화재자료 (제30호) 명 칭 용궁사 신중도 분 류 유물 / 불교회화 / 탱화 / 기타 수량/면적 1폭 (141cm x 126cm) 지 정 일 2022.12.19 소 재 지 인천광역시 중구 운남로 199-1 (운남동, 용궁사) 시 대 1910년대 소 유 자 한국불교태고종 용궁사 관 리 자 한국불교태고종 용궁사 문화재설명 ​ '용궁사 신중도는 근대기 서울과 경기지역에서 활동하던 화승 혜과당 봉감이 수화승으로, 한곡당 돈법이 동참화승으로 함께 조성한 불화이다. ​ 용궁사 신중도에서의 독특한 형태의 공양물은 기존 불화 도상에서는 극히 드문 형태로, 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 전반으로 이어지는 서울과 경기지역 신중도 도상의 흐름과 화승간의 관계를 보여주는 도상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으며, 제작..

부산광역시 문화재자료 (제126호) 반송 삼절사 고문서 일괄

종 목 부산광역시 문화재자료 (제126호) 명 칭 반송 삼절사 고문서 일괄 (盤松 三節祠 古文書 一括) 분 류 기록유산 / 문서류 / 서원향교문서 / 기타류 수량/면적 21건 21점 지 정 일 2022.11.30 소 재 지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신반송로182번길 24(반송동) 시 대 조선시대부터 근현대까지 소 유 자 남원양씨삼절사반송문회 관 리 자 남원양씨삼절사반송문회 문화재설명 ​ 해운대구 반송2동 143번지에 소재한 삼절사(三節祠)는 임란공신을 배향한 사당으로 1986년 5월 29일 부산시 문화재자료 제1호로(건물3동 및 제례행사) 지정되었다. 이후 2022년 11월 30일 부산광역시로부터 문화재위원의 심의를 거쳐 삼절사기념관 소장 고문서 21건 21점이 일괄 부산광역시 문화재자료 제126호로 지정받았..

부산광역시 문화재자료 (제125호) 삼세불도

종 목 부산광역시 문화재자료 (제125호) 명 칭 삼세불도 (三世佛圖) 분 류 유물 / 불교회화 / 괘불화 / 삼세불도 수량/면적 1폭 지 정 일 2022.09.28 소 재 지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엄광로326번나길 11 (가야동, 가야사) 시 대 1925년 소 유 자 가야사 관 리 자 가야사 문화재 설명 가야사 소장의 삼세불도는 1925년이라는 명확한 조성시기, 금어 세창이 제작한 것으로 추정되는 근대불화이다. 면바탕에 그린 채색화로, 선명한 채색, 청색과 적색이 대비되는 설채법 등 화면 구성과 표현양식에서 근대기에 성행한 화법보다는 전통성을 계승한 불화이다. 전체적인 화면 구성은 조선후기의 현국사 삼세불도(1780), 금탑사 삼세괘불도(1778)를 계승한 안정사 원효암 삼세불도(1901)와 유사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