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28376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197호) 안성 봉덕사 신중도

종 목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197호 명 칭 안성 봉덕사 신중도 (安城 奉德寺 神衆圖) 분 류 유물 / 불교회화 / 탱화 / 나한조사도 수량/면적 1점 지 정 일 2021.04.16 소 재 지 경기도 안성시 월덕천길 44-19 시 대 일제강점기 소 유 자 봉덕사 관 리 자 봉덕사 일반설명 안성 봉덕사 신중도는 19~20세기 경기·서울지역에서 활동한 고산 축연이 화승(畵僧)으로 참여한 작품이다. 음영법 등 서양화의 화법을 적극적으로 사용한 점, 새로운 인물 표현, 그림 하단의 문양, 머리에 배꽃을 그린 인물, 발아래 연꽃 등 다양한 기법을 이용했다.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196호) 양주 청련사 시왕도 및 사자도

종 목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196호) 명 칭 양주 청련사 시왕도 및 사자도 (楊州 靑蓮寺 十王圖 및 使者圖) 분 류 유물 / 불교회화 / 탱화 / 기타 수량/면적 4점 지 정 일 2020.12.03 소 재 지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권율로 169 (청련사)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청련사 관 리 자 청련사 일반설명 ‘양주 청련사 시왕도 및 사자도’는 화면 상단에 시왕의 모습이 부각되어 있는데 화면 하단에는 장식적인 구름을 성곽 위쪽에 배치해 상단과의 경계로 삼고 있다. 상단의 심판장면과 하단의 지옥장면에 성곽을 배치해 구분하는 19세기 후반 한성부와 경기지역 시왕도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195호) 양주 청련사 소조독성좌상 및 복장물

종 목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195호 명 칭 양주 청련사 소조독성좌상 및 복장물 (楊州 靑蓮寺 塑造獨聖坐像 및 腹藏物) 분 류 유물 / 불교조각 / 소조 / 나한상 수량/면적 불상 1구, 복장물 7점 지 정 일 2020.12.03 소 재 지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권율로 169 (청련사)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청련사 관 리 자 청련사 일반설명 ‘양주 청련사 소조독성좌상 및 복장물’은 정확한 제작시기(1913년)와 불상을 제작한 화승을 알 수 있다는 점, 서울 경기 일원에서 많이 전해지지 않는 독성상(불교에서 이치를 깨달아 도를 깨우친 성자의 조각)이라는 점에서 지정가치를 보유하고 있다. 조선후기나 20세기의 나한상, 독성상은 대개 하나의 지물을 들고 있는데 비해 양 손에 지물을 들었을 뿐 아니라 양쪽 ..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194호) 양주 청련사 석조여래좌상 및 복장물

종 목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194호) 명 칭 양주 청련사 석조여래좌상 및 복장물 (楊州 靑蓮寺 石造如來立坐像 및 腹藏物) 분 류 유물 / 불교조각 / 석조 / 불상 수량/면적 불상 1구, 복장물 5점 지 정 일 2020.12.03 소 재 지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권율로 169 (청련사)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청련사 관 리 자 청련사 일반설명 ‘양주 청련사 석조여래좌상 및 복장물’은 경기도에서 흔하지 않은 경주불석으로 제작한 작은 소불로 19세기 불석제 불상의 분포 양상을 알 수 있다. 복장물 또한 잘 보존되어 있고 귀여운 얼굴 표현 및 신체비례와 자세 등 단아한 모습과 더불어 착의법 등 19세기의 불석제 불상의 특징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가치를 인정받았다.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193호) 양평 불곡리 석조여래입상

종 목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193호 명 칭 양평 불곡리 석조여래입상 (陽平 佛谷里 石造如來立像) 분 류 유물 / 불교조각 / 석조 / 불상 수량/면적 1구 지 정 일 2020.08.26 소 재 지 경기도 양평군 시 대 고려시대 소 유 자 미륵사 관 리 자 미륵사 일반설명 양평 불곡리 석조여래입상은 양평군 개군면 불곡리에서 발견된 석불로 3m 높이의 큰 돌기둥 같은 신체에 보개(불상의 머리 위를 가리는 덮개)를 쓰는 형태로 조성됐다. 머리 부분의 원형보개는 머리에 얹은 것이 아니라 끼우는 형식으로 제작했으며 두 발을 좌우로 벌린 모습은 고려 말 경기도에서 유행한 불상 전통을 보여준다. 법의를 걸친 형식과 옷주름의 거친 표현, 배 아래로 완만한 U형의 주름이 늘어지는 표현상 등은 조선 전기 석불들에서 보이는..

세종특별자치시 문화재자료 (제15호) 조치원 관음암 지장시왕도

종 목 세종특별자치시 문화재자료 (제15호) 명 칭 조치원 관음암 지장시왕도 (鳥致院 觀音庵 地藏十王圖) 분 류 유물 / 불교회화 / 탱화 / 불도 수량/면적 1점 지 정 일 2020.12.30 소 재 지 세종특별자치시 시 대 일제강점기 소 유 자 관음암 관 리 자 관음암 일반설명 관음암 지장시왕도는 지장보살을 중심으로 시왕과 도명존자, 무독귀왕 및 판관, 사자, 옥졸 등을 배치한 비교적 간단한 형식이다. 지장시왕도는 지장삼존과 시왕, 판관, 사자, 옥졸 등으로 구성된 최소한의 권속 표현, 강한 바림질을 사용한 음영기법, 밝은 청색의 사용 등에서 20세기 전반의 특징이 잘 남아 있다. 비록 조성연대가 1935년이지만 봉안장소, 화승, 시주 및 연화 등이 자세하게 밝혀져 있어 20세기 전반 근대불화의 도상..

세종특별자치시 문화재자료 (제14호) 조치원 관음암 현왕도

종 목 세종특별자치시 문화재자료 (제14호) 명 칭 조치원 관음암 현왕도 (鳥致院 觀音庵 現王圖) 분 류 유물 / 불교회화 / 탱화 / 보살도 수량/면적 1점 지 정 일 2020.12.30 소 재 지 세종특별자치시 시 대 일제강점기 소 유 자 관음암 관 리 자 관음암 일반설명 관음암 현왕도는 중앙의 탁자 뒤에 현왕이 의좌하고 좌우에 판관, 녹사 등 8위의 권속이 좌우대칭으로 배치된 간략한 형식이다. 현왕도는 적색과 녹색을 주로 사용하여 명도가 높은 밝은 청색을 사용한점, 밋밋하면서 강한 음영법이 표현된 얼굴표현, 풍대가 늘어진 대좌의 형태 등에서 19세기말~20세기 전반 경기 또는 충청지역 불화의 도상과 화풍을 알 수 있는 작품이다. 또한, 면류로 장식한 화려한 일월관의 모습과 현왕이 파초를 든 모습 등..

울산광역시 문화재자료 (제34호) 이근오 죽오일기

종 목 울산광역시 문화재자료 (제34호) 명 칭 이근오 죽오일기(李覲吾 竹塢日記)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전적류 수량/면적 1책 지 정 일 2021.06.21 소 재 지 울산광역시 남구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울산뱍물관 관 리 자 울산뱍물관 일반설명 이근오 죽오일기(李覲吾 竹塢日記)는 조선 후기 울산에서 활동한 학자 이근오(李覲吾, 1760~1834년)가 1804~1812년까지, 그의 아들인 종화(種驊, 1797~1832년)가 1831~1832년까지 쓴 일기이다. 총 2,707일간을 기록하고 있으며, 필사본이다. 주(主) 저자인 이근오의 본관은 학성(鶴城)이며, 자는 성응(聖應), 호는 죽오이다. 그는 1760년(영조 36) 울주군 웅촌면 석천리(石川里)에서 태어났다. 1789년(정조 13)에..

울산광역시 문화재자료 (제33호) 대방광불화엄경 권제20

종 목 울산광역시 문화재자료 (제33호) 명 칭 대방광불화엄경 권제20'(大方廣佛華嚴經 권제20)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전적류 수량/면적 1축 지 정 일 2021.06.21 소 재 지 울산광역시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오봉사 관 리 자 오봉사 일반설명 ‘대방광불화엄경(大方廣佛華嚴經)’은 흔히 ‘화엄경(華嚴經)’이라 불린다. 오봉사 소장 ‘대방광불화엄경 권제20’은 목판본이며 장정의 형태는 권자본(卷子本, 두루마리 책)이다. 고려 고종연간 대장도감(大藏都監)에서 판각한 재조대장경(再雕大藏經)의 판본이나, 해당 경전은 17세기 무렵 인출한 후인본(後印本)으로 추정되며, 불복장(佛腹藏)에 납입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판본과 보존상태 등을 고려해 ‘울산광역시 문화재자료’로 지정했다

울산광역시 문화재자료 제32호 선원제전집도서

종 목 울산광역시 문화재자료 제32호 명 칭 선원제전집도서 (禪源諸詮集都序)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전적류 수량/면적 1책 지 정 일 2019.11.21 소 재 지 울산광역시 북구 매곡산업4길 13-51 시 대 조선시대 1635년 소 유 자 청룡암 관 리 자 청룡암 일반설명 청룡암 소장 ‘선원제전집도서’는 1635년 용장사(龍藏寺)에서 간행한 2권[上下]1책의 목판본(木板本)으로 완본(完本)이다. 권수제(卷首題)는 ‘禪源諸詮集都序’, 표제(表題)와 판심제(版心題)는 ‘都序’로 되어 있다. 본문에는 현토구결이 묵서(墨書)되어 있고, 광곽 우측 하단에는 많은 각수들의 이름이 새겨져 있다. 간기는 ‘숭정팔년을해팔월일 전라도태인지운주산용장사개간(崇禎八年乙亥八月日 全羅道泰仁地雲住山龍藏寺開刊)’으로 되어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