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28376

국가등록문화재 (제831호) 주미조선공사관 관련 이상재 기록

종 목 국가등록문화재 (제831호) 명 칭 주미조선공사관 관련 이상재 기록 분 류 등록문화재 / 기타 / 동산 수량/면적 2건 2점 지 정 일 2022.05.11 소 재 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효자로 12 (세종로, 국립고궁박물관) 시 대 1887~1889 소 유 자 국유 관 리 자 문화재청 국립고궁박물관 문화재설명 「주미조선공사관 관련 이상재 기록」은 1888년 주미조선공사관에서 초대 공사 박정양을 수행했던 서기관 이상재(李商在, 1850-1927)가 기록한 주요 외교문서의 필사본과 가족들에게 보낸 편지로 구성된다. 먼저『미국공사왕복수록(美國公使往復隨錄)』은 미국정부와 직접 주고받은 문서, 외교활동 참고사항을 담고 있다. 그리고 『미국서간(美國書簡)』은 이상재가 가족들에게 보낸 편지를 묶은 것으로 집안일..

국가등록문화재 (제830호) 협궤 객차 18011호

종 목 국가등록문화재 (제830호) 명 칭 협궤 객차 18011호 분 류 등록문화재 / 기타 / 동산 수량/면적 1량 지 정 일 2022.04.07 소 재 지 경기도 의왕시 철도박물관로 142 (월암동, 철도박물관) 시 대 1965년 소 유 자 한국철도공사 관 리 자 한국철도공사 문화재설명 「협궤 객차 18011호」는 1965년 인천공작창에서 제작되어, 국내 협궤철도인 수여선, 수인선에서 운행되었다. 서해안 주민들의 중요 교통수단으로써 서민들의 낭만과 애환이 담겨 있는 생활문화사적 가치 및 근대기 철도교통의 역사를 지니고 있는 유물이다.

국가등록문화재 (제829호) 협궤 디젤동차 163호

종 목 국가등록문화재 (제829호) 명 칭 협궤 디젤동차 163호 분 류 등록문화재 / 기타 / 동산 수량/면적 1량 지 정 일 2022.04.07 소 재 지 경기도 의왕시 철도박물관로 142 (월암동, 철도박물관) 시 대 1965년 소 유 자 한국철도공사 관 리 자 한국철도공사 문화재설명 「협궤 디젤동차 163호」는 1965년 인천공작창에서 제작되었으며, 국내 협궤철도인 수여선(1930~1972), 수인선(1937~1995)에서 운행한 디젤동차로 근대기 철도교통의 역사 및 도로교통 발달 이전의 서민 생활사를 알 수 있는 철도유물이다.

국가등록문화재 (제828호) 대통령 전용 디젤전기동차

종 목 국가등록문화재 (제828호) 명 칭 대통령 전용 디젤전기동차 분 류 등록문화재 / 기타 / 동산 수량/면적 2량 소 재 지 경기도 의왕시 철도박물관로 142 (월암동, 철도박물관) 시 대 1969년 소 유 자 한국철도공사 관 리 자 한국철도공사 문화재설명 대통령 전용 디젤전기동차」는 기존에 등록된 「대통령 전용객차」와 달리 기관실과 객차가 연결된 전용차량으로 제작되었으며, 내부구조는 대통령 집무실, 침실, 수행원실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역대 대통령(박정희~김대중)의 재임기간에 충북선 복선 선로개통식(‘80), 대전엑스포 개막식(’93) 등 지역 순시를 함께한 역사 가치가 있는 유물이다.

국가등록문화재 (제827호) 터우5형 증기기관차 700호

종 목 국가등록문화재 (제827호) 명 칭 터우5형 증기기관차 700호 분 류 등록문화재 / 기타 / 동산 수량/면적 1량 지 정 일 2022.04.07 소 재 지 경기도 의왕시 철도박물관로 157 (한국교통대학교, 한국철도공사 인재개발원) 시 대 1969년 소 유 자 한국철도공사 관 리 자 한국철도공사 문화재설명 「대통령 전용 디젤전기동차」는 1969년부터 2001년까지 역대 대통령의 지역 순방시 사용을 목적으로 제작·운행되었다. 열차 내부는 대통령 집무실, 침실, 주방, 수행원실, 방어용 총구까지 구비하는 등 특별한 구조로 제작되어 역대 대통령(박정희~김대중)의 재임기간 동안 지역 순시를 함께한 역사적 가치가 있는 유물이다.

국가 등록문화재 (제826호) 대전 구 충청남도 경찰청 상무관

종 목 국가 등록문화재 (제826호) 명 칭 대전 구 충청남도 경찰청 상무관 분 류 등록문화재 / 기타 / 공공용시설 수량/면적 522.31㎡ 지 정 일 2022.03.11 소 재 지 대전광역시 중구 보문로 287 (선화동) 시 대 근현대기 소 유 자 경*** 관 리 자 충남도청 문화재설명 1963년 ‘충청남도 경찰학교’로 설립된 건물로, 건립 당시 미군의 경제적 지원과 일제강점기의 '충남 무덕전' 건물 터에 남아있던 기단을 활용하여 건축한 점 등 한국전쟁 이후의 시대적 상황을 살펴볼 수 있는 독특한 건축적 내력이 있으며, 지역사회에서 근대적 체육시설로써의 역할을 수행한 점 등 근대문화유산으로의 보존가치가 있는 것으로 평가 되었음. ​ 일제강점기에 공주로부터 충남도청이 대전으로 이전해 오면서 도청사, 경..

국가등록문화재 (제825호) 동학농민군 편지

종 목 국가등록문화재 (제825호) 명 칭 동학농민군 편지(2022) 분 류 등록문화재 / 기타 / 동산 수량/면적 1점 지 정 일 2022.02.10 소 재 지 전라북도 정읍시 동학로 742 (덕천면, 동학농민혁명기념관) 시 대 1894년 소 유 자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관 리 자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일반설명 동학농민군 편지(2022)는 전남 화순에서 동학농민군으로 활동하다 나주 감옥에 수감 중이던 한달문(韓達文, 1859-1895)이 고향에 계신 어머님께 직접 쓴 한글 편지 원본이다. 본인의 구명을 요청하는 내용이 담겨 있으며, 양반가의 자제로서 동학농민군의 지도부로 활동한 유광화가 동생에게 보낸 한문편지와는 다른 면에서 동학농민군의 처지와 실상을 보여주고 있다.

국가등록문화재 (제824호) 로제타 홀 한글점자 교재

종 목 국가등록문화재 (제824호) 명 칭 로제타 홀 한글점자 교재 분 류 등록문화재 / 기타 / 동산 수량/면적 1점 지 정 일 2022.01.05 소 재 지 경상북도 경산시 대구대로 201 (진량읍, 대구대학교경산캠퍼스) 점자출판박물관 시 대 대한제국시대 소 유 자 대구대학교 관 리 자 대구대학교 점자출판박물관 ​일반설명 「로제타 홀 한글점자 교재」는 1897년 창안한 한글점자(4점식)를 사용하여 배재학당의 한글 학습서인 「초학언문」의 내용 일부를 수록한 교재로, 기름먹인 두꺼운 한지에 바늘로 구멍을 내어 만듦. 이 교재는 미국인 선교사인 로제타 셔우드 홀(Rosetta Sherwood Hall, 1865-1951)이 제작하고, 시각장애인 오봉래를 비롯한 평양여맹학교 학생들을 가르치는데 활용되었으며,..

국가등록문화재 (제823호) 순천 동남사 사진기 및 확대기

종 목 국가등록문화재 (제823호) 명 칭 순천 동남사 사진기 및 확대기 분 류 등록문화재 / 기타 / 동산 수량/면적 2건 13점 지 정 일 2021.12.07 소 재 지 전라남도 순천시 시 대 1950~70년대 소 유 자 동남사 관 리 자 김ㅁㅁ 문화재 설명 국가등록문화재「순천 동남사 사진기 및 확대기」는 1950년대 순천에서 설립된 동남사(당시 동남사진기공업사)가 제작·판매한 4종의 사진기와 확대기 등으로, 2건 13점이다. 당시 정부의 수입금지 조치와 국산장려운동이 전개되면서, 수입에 의존하던 사진기의 수급이 어려운 상황에서 국내의 기술로 제작된 것으로, 근대 사진 산업 발달사를 파악할 수 있어 등록 가치가 충분한 유물이다.

국가등록문화재 (제822호) 한성미술품제작소 은제 공예품(이화문 합)

종 목 국가등록문화재 (제822호) 명 칭 한성미술품제작소 은제 공예품(이화문 합) 분 류 등록문화재 / 기타 / 동산 수량/면적 1건 2점 지 정 일 2021.11.04 소 재 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3길 4 (안국동, 서울공예박물관) 시 대 1913~1922 소 유 자 서울공예박물관 관 리 자 서울공예박물관 ​일반설명 국가등록문화재 「한성미술품제작소 은제 공예품(이화문 합)」은 대한제국 황실의 후원으로 ‘조선의 고유한 미술품 제작’을 목적으로 설립된 한성미술품제작소(1908~1913)의 공예품으로, 명문(‘漢城美術(한성미술))’을 통해 이 제작소에서 생산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조선 왕실의 전통 문양과 대한제국의 상징인 이화문이 새겨져 있고, 전통공예가 주물 및 프레스 기법 등 근대적인 방식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