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오경 분금법 子座午向 丙子分金庚子透地 庚子分金壬子透地 癸座丁向 丙子分金乙丑透地 庚子分金丁丑透地 丑座未向 丁丑分金辛丑透地 辛丑分金癸丑透地 艮座坤向 丁丑分金丙寅透地 辛丑分金戊寅透地 寅座申向 丙寅分金壬寅透地 庚寅分金甲寅透地 甲座庚向 丙寅分金丁卯透地 庚寅分金己卯透地 卯座酉向 丁卯.. 풍수지리/나경 2009.07.06
패철제9층설명 봉침분금 [패철제9층설명 봉침분금] 아침엔 거지, 저녁엔 부자[패철 9층 - 봉침분금(縫針分針)] 패철 8층으로 입향수수(立向收水)를 해 가난을 구제했어도, 그 시기가 100년 혹은 200년 후라면 풍수적 효험은 떨어진다. 그래서 양균송은 패철 9층인 봉침분금(縫針分針)을 지어 당대의 발복을 유도하였다.. 풍수지리/나경 2009.04.14
패철제8층설명 천반봉침 패철제8층설명 천반봉침 물을 보고 향을 정한다[패철 8층 - 천반봉침(天盤縫針)] 천반봉침(天盤縫針)은 외반봉침(外盤縫針) 혹은 봉침이라 부르며, 양균송이 자연의 이치를 터득하여 패철에 올려놓은 층이다. 양균송은 봉침을 이용해 양기가 들어오는 방위[득수]와 양기가 빠지는 방위[파, 수구]로 땅의 .. 풍수지리/나경 2009.04.14
제7층(투지60룡)사용법 제7층(투지60룡)사용법 7층은 4층 지반정침의 쌍산(雙山) 방위에 각각 5개룡씩 60갑자가 등재되어 있다. 1개의 투지룡은 6도다. 투지(透地)란 주산 현무봉에서 천산의 과정을 거치며 혈장의 입수도두까지 내려온 주룡의 용맥이 입수도두에서 혈까지 들어가는 것을 말한다. 주룡의 생기가 최종적으로 혈에 .. 풍수지리/나경 2009.04.14
제6층 인반중침(人盤中針) 제6층 인반중침(人盤中針) 6층 인반중침은 혈 주변의 산(사격)의 방위를 측정하는데 사용한다. 모두 24방위가 배열되어 있는데 4층 지반정침에 비해 반위(7.5도) 뒤쪽에 놓여있다. 시계 바늘 방향을 순행으로 볼 때 반대 방향으로 7.5도 뒤에 있다. 그 이유는 물은 양이기 때문에 반위 앞서고, 산은 음이기 .. 풍수지리/나경 2009.04.14
제5층 천산72룡(穿山七十二龍) 제5층 천산72룡(穿山七十二龍) 나경패철의 5층 천산72룡은 4층 지반정침의 24방위를 각각 3칸으로 나누어 모두 72칸으로 되어 있으며 1칸은 5도다. 4층 지반정침의 지지자 밑에는 3룡씩 갑자(甲子)가 등재되어 있고, 8천간과 4유자 밑에는 중앙은 공칸으로 되어 있고 좌우 양쪽에 2룡씩 갑자가 등재되어 모.. 풍수지리/나경 2009.04.14
제4층 지반정침(地盤正針) 제4층 지반정침(地盤正針) 층 지반정침은 천지의 기본 방위를 나타내는 기본 층으로 글자가 제일 크고 굵으며 24방위가 표시되어 있다. 4층 지반정침은 첫째 24방위의 정확한 위치를 측정하는데 사용하고, 둘째 입수룡을 비롯하여 용의 방위를 측정하는데 사용하며, 셋째 혈의 좌향(坐向)을 측정하고, .. 풍수지리/나경 2009.04.14
제3층 오행(五行) 제3층 오행(五行) 3층은 모두 24칸으로 나누어졌으나 목(木), 화(火), 금(金), 수(水) 오행은 4층의 12지지자(地支字) 위에만 표시되었다. 오행이라 함은 우주만상의 기본적 작용 이법으로 목화토금수(木火土金水) 5가지이나 토(土)는 중앙을 나타내므로 빠져있다. 나경패철의 3층은 삼합오행(三合五行)으로.. 풍수지리/나경 2009.04.14
제2층 팔로사로황천살(八路四路黃泉殺) 제2층 팔로사로황천살(八路四路黃泉殺) 나경패철의 1층은 입수룡에 대한 황천살의 방위 표시였다면, 2층은 향(向)에 대한 황천살의 방위를 표시해두었다. 나경패철 2층은 모두 24칸으로 나누어져 있으나 황천살을 가르치는 글자가 쓰여있는 곳은 12곳이다. 4층 지반정침을 기준으로 지지자(地支字 : 子,.. 풍수지리/나경 2009.04.14
제1층 팔요황천살(八曜黃泉殺) 제1층 팔요황천살(八曜黃泉殺) 나경패철의 1층에는 진(辰), 인(寅), 신(申), 유(酉), 해(亥), 묘(卯), 사(巳), 오(午) 8칸으로 나누어 표시되어 있는데 이 8방향은 4층 지반정침의 방위에 대한 황천살(黃泉殺)을 의미하는 것으로 1층으로 방위를 측정하는 것은 아니다. 팔요황천살은 악살 중에서도 가장 흉한 .. 풍수지리/나경 2009.0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