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경남유형문화재 755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663호) 창원 봉림사 함허당득통화상현정론

종 목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663호) 명 칭 창원 봉림사 함허당득통화상현정론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목판본 / 사찰본 수량/면적 1책 지 정 일 2020.05.21 소 재 지 경상남도 창원시 시 대 조선시대(1544년 간행된 불교의 정당성을 논변한 귀중본) 소 유 자 봉림사 관 리 자 봉림사 ​ 일반설명 「함허당득통화상현정론」은 조선전기 승려 기화(己和)가 유생들의 불교에 대한 그릇된 견해와 비판에 대해 승려의 입장에서 반박하고 불교의 정당성을 논변한 책으로 이 자료는 귀중본(貴重本)의 기준이 되는 임진왜란(1592년)을 기점으로 보면, 임란 이전(以前)인 ‘1544년’에 간행하였다는 명확한 간행 기록(刊記)이 수록되어 있고, 본문의 인출(印出) 및 보관상태가 양호한 책이다. 특히 조선 전기의..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662호) 창원 봉림사 중도가

종 목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662호) 명 칭 창원 봉림사 중도가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목판본 / 사찰본 수량/면적 1책 지 정 일 2020.05.21 소 재 지 경상남도 창원시 시 대 조선시대(1474년이라는 간행기록이 수록된 경자자로 인출한 역사서) 소 유 자 봉림사 관 리 자 봉림사 ​ 일반설명 「증도가」는 영가 대사 현각이 선종의 진리에 관한 깨달음을 칠언으로 노래한 장편시임. 이 책은 귀중본(貴重本)의 기준이 되는 임진왜란(1592년)을 기점으로 보면 임란 이전인 ‘1474년’이라는 명확한 간행 기록(刊記)을 알 수 있고, 본문의 인출(印出) 및 보관상태가 양호한 책임. 특히 역대 수많은 선사들의 수행지침서로서, 고려시대 말기와 조선초기의 불교 사상 연구에 유용한 자료로 가치를 지니며..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661호) 창원 봉림사 자치통감강목

종 목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661호) 명 칭 창원 봉림사 자치통감강목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활자본 / 금속활자본 수량/면적 2권2책 지 정 일 2020.05.21 소 재 지 경상남도 창원시 시 대 조선시대( 1428년이라는 간행기록이 수록된 경자자로 인출한 역사서) 소 유 자 봉림사 관 리 자 봉림사 ​ 일반설명 창원 봉림사 자치통감강목은 조선전기 집현전 학자들이 세종의 명으로 주희(朱熹)의 「자치통감강목(資治通鑑綱目)」을 훈의(訓義)하여 간행한 역사서임. 이 자료는 세종 초기에 경자자(庚子字)로 간행된 책이다. 이 책의 권말에 ‘1428년‘이라는 명확한 간행 기록(刊記)이 수록되어 있고, 본문의 인출(印出) 및 보관상태가 양호한 책이며 1420년에 주조된 경자자본(庚子字本)의 간본(刊本)은..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660호) 사천 백천사 목조보살좌상 및 복장유물

종 목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660호) 명 칭 사천 백천사 목조보살좌상 및 복장유물 (泗川 白泉寺 木造菩薩坐像 및 腹藏遺物) 분 류 유물 / 불교조각 / 목조 / 불상 수량/면적 1구, 일괄 지 정 일 2020.05.21 소 재 지 경상남도 사천시 시 대 고려시대( 至正 24년(1364)) 소 유 자 백천사 관 리 자 백천사 ​ 일반설명 사천 백천사 소장 목조보살좌상은 至正 24년(1364) 천성산 관음사의 아미타여래삼존상으로 조성되었고 이후 弘治 15년(1502) 전 흥교사 주지 道裕의 후원으로 관음과 대세지보살상을 다시 만들었다고 하며 이 보살상은 1502년에 만든 협시보살상으로 원래는 평안남도 순천군 천성산 관음사에 봉안되었던 것임을 복장기를 통해 확인됨. 이 목조보살좌상은 단순한 형태와 당당하면..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659호) 고성 거산리 마애약사여래좌상

종 목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659호 명 칭 고성 거산리 마애약사여래좌상 (固城 巨山里 磨崖藥師如來坐像) 분 류 유물 / 불교조각 / 석조 / 불상 수량/면적 1좌 지 정 일 2020.02.06 소 재 지 경상남도 고성군 거류면 거산리 산 43-2 시 대 고려시대 소 유 자 고성군 관 리 자 고성군 ​ 일반설명 고성 거산리 마애약사여래좌상은 전체 높이가 약 3m에 이르는 거대한 마애불로서 왼손에 둥근 보주를 든 약사여래상임. 얼굴은 얕은 도들새김으로 조각한 반면 신체부위로 내려갈수록 선각으로 조각되었으며 이러한 조각기법과 약사불 형식은 통일신라시대부터 고려시대까지 계승되는 특징임. 마애불의 특징은 좁은 콧대에 큰 콧방울과 도드라진 큰 입술, 편단우견으로 추정되는 대의 형식으로 법주사 마애여래의좌상 등 고..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658호) 창녕 무심사 대혜보각선사서

종 목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658호) 명 칭 창녕 무심사 대혜보각선사서(昌寧 無心寺 大慧普覺禪師書)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목판본 / 사찰본 수량/면적 1책 지 정 일 2019.12.12. 소 재 지 경상남도 창녕군 이방면 손실길 62-215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무심사 관 리 자 무심사 ​ 일반설명 「大慧普覺禪師書」는 송나라 대혜보각선사의 편지 모음집이다. 주변 사람들의 질의 편지에 대혜 보각선사가 간화선법(看話禪法)에 바탕을 두고 일일이 그 요지를 설명한 답신으로서 간화선법(看話禪法)에 바탕을 두고 대혜(大慧) 종고에게 법을 물어 온 42인에게 헛된 견해를 깨뜨리고 정법(正法)의 눈을 열어 주기 위해서 보낸 62통의 편지글을 모아 엮은 책이다. 1568년이라는 명확한 간행 기록(刊記)..

ㅁ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656호 합천 청량사 아미타설법도

종 목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656호 명 칭 합천 청량사 아미타설법도(陜川 淸凉寺 阿彌陀說法圖) 분 류 유물/ 불교화화/ 탱화/ 불도 수량/면적 1폭 지 정 일 2019.08.01 소 재 지 경상남도 합천군 가야면 청량동길 144 28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대한불교 조계종 해인사 (청량사 감원) 관 리 자 ..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655호 밀양 만어사 아미타오존도

종 목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655호 명 칭 밀양 만어사 아미타오존도(密陽 萬魚寺 阿彌陀五尊圖) 분 류 유물/ 불교회화/ 탱화/ 불도 수량/면적 1폭 지 정 일 2019.08.01 소 재 지 경상남도 밀양시 삼랑진읍 만어로 776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대한불교 조계종 만어사 관 리 자 대한불교 조계종 만어사 ​ 일반설명 『밀양 만어사 아미타오존도』는 보존 상태가 양호하며 1880년 조성된 불화이다. 정행(正涬), 정첨(正添) 2인에 의해 제작되었으며 19세기 후반의 아미타불화로 안정된 화면 구성, 세련된 필선과 비례를 잘 갖춘 인물표현 등 조선후기 19세기에 유행한 아미타오존도 형식과 양식이 잘 갖추어진 작품이다. 19세기 불화의 화풍과 안정된 인물 구성이나 인물들의 비례감이 잘 표현된 돋보이는 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