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경남유형문화재 755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683호) 창원 정법사 목조관음보살좌상

종 목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683호) 명 칭 창원 정법사 목조관음보살좌상 (昌原 正法寺 木造觀音菩薩坐像) 분 류 유물 / 불교조각 / 목조 / 보살상 수량/면적 1구 지 정 일 2022.04.21 소 재 지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몽고정길 46 (추산동, 정법사) 시 대 17세기 중반 소 유 자 정법사 관 리 자 정법사 ​ 일반설명 정법사 원통보전에 봉안된 목조관음보살좌상은 높이 66.5cm로 조선후기 제작된 중형 보살상으로, 복장 조사 시 후령통, 다라니, 동경 등이 발견되었다. 17세기 전반에 저작된 기년명 보살상보다 머리에 비해여 어깨가 좁고 하반신이 낮고 넓은 편이며, 17세기 중반 불상과 가까운 신체비례를 보여준다. 조성발원문이 발견되지 않아 제작 시기와 작가를 알 수 없지만, 보살상의 ..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682호) 창원 성주사 무염국사 진영

종 목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682호) 명 칭 창원 성주사 무염국사 진영 (昌原 聖住寺 無染國師 眞影) 분 류 유물 / 불교회화 / 탱화 / 기타 수량/면적 1점 지 정 일 2022.04.21 소 재 지 경상남도 창원시 시 대 1876년(고종 13) 소 유 자 성주사 관 리 자 성주사 ​일반설명 은 대웅전 안에 유리액자로 표구되어 신중도 옆에 봉안되어 있으며, 1876년에 조성되었다는 내용이 화단 중앙에 기록된 화기를 통해 확인된다. 조성 당시부터 성주사 대법당에 봉안되었으며, 화면 상부 중앙 '차사초창무염국사진영'(此寺草刱無染國師之眞影)이라는 영제(影題)를 통해 성주사를 창건한 무염국사임을 알 수 있다. 화면 속 무염국사는 화문석 위에 가부좌의 자세로 앉아있는 전신좌상의 모습으로, 대부분 진영 속 인..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681호) 진주 남악서원 최치원 초상

종 목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681호) 명 칭 진주 남악서원 최치원 초상 (晉州 南岳書院 崔致遠 肖像) 분 류 유물 / 일반회화 / 인물화 / 초상화 수량/면적 1점 지 정 일 2022.04.21 소 재 지 경상남도 진주시 시 대 일제강점기 (채용신이 그린 초상화) 소 유 자 남악서원 관 리 자 남악서원 ​일반설명 '진주 남악서원 최치원 영정'은 조선말에서 근대기까지 활동한 대표적 초상화가 채용신(1850~1941)이 1921년 그린 작품이다.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680호) 진주 남악서원 김유신 초상

종 목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680호) 명 칭 진주 남악서원 김유신 초상 (晉州 南岳書院 金庾信 肖像) 분 류 유물 / 일반회화 / 인물화 / 초상화 수량/면적 1점 지 정 일 2022.04.21 소 재 지 경상남도 진주시 시 대 일제강점기 (채용신이 그린 초상화) 소 유 자 남악서원 관 리 자 남악서원 ​일반설명 구한말에서 근대기까지 활동한 초상화가인 채용신이 1921년에 그린 진주 남악서원 김유신 영정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679호) 조영석 필 고사관수도

종 목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679호) 명 칭 조영석 필 고사관수도 (趙榮祏 筆 高士觀水圖) 분 류 유물 / 일반회화 / 인물화 수량/면적 1점 지 정 일 2022.04.21 소 재 지 경상남도 함안군 시 대 1735년, 1743년 소 유 자 함*** 관 리 자 함*** ​ 일반설명 1735년 관아재 선생이 의령현감으로 부임하면서 무암 조야선생에게 그려준 부채 그림인 고사관수도에 1743년 그림의 내력을 담은 제발(題跋)과 무암거사의 초상화를 추가하여 만든 작품이다. 제발에는 무암선생이 자주 의령현감으로 있는 관아재선생을 자주 찾아 글을 논하고 시를 읊었는데, 그때 무암선생의 부채를 빼앗아 무암선생의 모습과 비슷한 인물화(고사관수도)를 그렸다는 내용, 1735년 세조의 어진을 그리라는 영조의 명에 응하..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678호) 김해 대성동 91호분 출토 청동세와 청동완

종 목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678호) 명 칭 김해 대성동 91호분 출토 청동세와 청동완 분 류 유물 / 생활공예 / 금속공예 / 청동용구 수량/면적 2점 지 정 일 2022.03.24 소 재 지 경상남도 김해시 시 대 4세기 전반 추정 소 유 자 문*** 관 리 자 김*** ​일반설명 김해 대성동 91호분에서 출토된 청동세와 청동완은 중국 한(漢)~진(晉) 대 귀족층 이상의 무덤에서 출토되는 유물로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출토됐고 백제·신라권역에서 발굴된 중국계 청동용기들이 5~6세기대의 것인 것과 비교해 대성동 91호분 출토 청동용기들이 시기적으로 훨씬 앞서 있다. 4세기 전반으로 편년되는 대성동 91호분에서 완전한 상태로 발굴돼 출토지가 확실한 청동용기로 문화재로의 가치가 매우 높다는 평이다. 청동세..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677호) 함안 말이산 25호분 출토 굽다리등잔

종 목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677호) 명 칭 함안 말이산 25호분 출토 굽다리등잔 분 류 유물 / 생활공예 수량/면적 1점 지 정 일 2021.10.28 소 재 지 경상남도 함안군 고분길 153-31 (가야읍, 함안박물관) 시 대 가야 6세기경 소 유 자 함안박물관 관 리 자 함안박물관 ​ 일반설명 아라가야 최고 지배층의 무덤으로 추정되는 함안 말이산 25호분에서 출토된 6세기 초에 생산된 굽이 달린 등잔임. 굽다리 등잔은 신라, 가야지역에서 출토된 바 있지만 잔이 7개로 이루어진 것은 희소할 뿐 아니라 굽다리의 상하 나란한 투창이 서로 마주하는 점 등은 가야 토기의 특징을 분명하게 보여주고 있음. 따라서 함안 말이산 25호 출토 굽다리등잔은 아라가야 지역에서 출토된 역사성이나 희소성 등이 인정되는 ..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676호) 병사 겸 목사 이수일유애비

종 목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676호) 명 칭 병사 겸 목사 이수일유애비 (兵使 兼 牧使 李守一遺愛碑) 분 류 기록유산 / 서각류 / 금석각류 / 비 수량/면적 1기 지 정 일 2021.10.21 소 재 지 경상남도 진주시 남성동 64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국유 관 리 자 진주시 ​ 일반설명 진주성 내에 있는 조선 중기 무신인 이수일(李守一)의 선정을 기리기 위해 세운비이다. 이수일[1554~1632]의 본관은 경주 호는 은암(은암) 사호는 충무(충무)이다. 임진왜란 때 경상좌도 수군절도사로 왜적을 격퇴에 공을 세우고 1603년 진주성을 증축하는 등 1605년 길주목사로 갈 때까지 진주를 위해 많은 공적을남겼다. 이주일이 진주병사로 재임중 병사를 사랑하며 선정을 베푼공덕을 가리기 위해 1606년(..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675호) 창녕 무량사 법어

종 목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675호) 명 칭 창녕 무량사 법어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간경도감 수량/면적 1책 지 정 일 2021.10.21 소 재 지 경상남도 창령군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무량사 관 리 자 무량사 ​ 일반설명 '창녕 무량사 법어(法語)'는 조선 세조 때 설치됐던 간경도감에서 판각한 판본을 사용해 16세기에 인출한 불교경전이다. 불교사뿐만 아니라 초기 훈민정음 연구에도 귀중한 자료이며, 조선 전기 국어사 자료로서 학술 가치가 높다.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674호) 통영 연화도 연화사 삼장보살도

종 목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674호) 명 칭 통영 연화도 연화사 삼장보살도 (統營 蓮花島 蓮花寺 三藏菩薩圖) 분 류 유물 / 불교회화 / 탱화 / 보살도 수량/면적 3점 지 정 일 2021.10.21 소 재 지 경상남도 통영시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연화사 관 리 자 연화사 ​일반설명 「통영 연화도 연화사 삼장보살도」는 1744년 화승 효안(曉岸)이 그린 작품으로 안정된 화면 구성, 양감과 비례를 잘 갖춘 인물표현 등이 돋보이는 작품이다. 화승 효안(曉岸)은 18세기 전반 경상도 황악산 직지사를 중심으로 활동하였으며, 통영 연화도 연화사 삼장보살도는 그가 제작한 고성 옥천사 지장보살도 및 시왕도와 함께 18세기 전반기 불화의 특징을 잘 나타내고 있는 작품이므로 경상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