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국가무형문화재

국가무형문화재 (제145호) 떡 만들기

오늘의 쉼터 2023. 4. 11. 22:06

 

종    목 국가무형문화재 (제145호)
명    칭 떡 만들기
분    류 무형문화재 / 전통 생활관습 / 식생활
수량/면적 일괄
지 정 일 2021.11.01
소 재 지 기타
시    대 대한민국
소 유 자 사유
관 리 자 사유
문화재설명

떡은 곡식가루를 시루에 안쳐 찌거나, 쪄서 치거나, 물에 삶거나, 혹은 기름에 지져서 굽거나, 빚어서 찌는 음식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예로부터 일생의례(백일·돌·혼례·상장례·제례)를 비롯하여 주요 절기 및 명절(설날·정월대보름·단오·추석) 등에 다양한 떡을 만들고 나누어 먹는다.

또한 떡은 마을신앙 의례, 가정신앙 의례, 각종 굿 의례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제물(祭物)일 뿐만 아니라 오늘날에도 개업떡·이사떡 등을 만들어서 이웃 간에 나누는 문화가 지속적으로 유지·전승되고 있다.

이처럼 떡은 한국인이 일생동안 거치는 각종 의례와 행사 때마다 만들어서 사회구성원들과 함께 나누어 먹는 음식으로 ‘나눔과 배려’, ‘정(情)을 주고받는 문화’의 상징이며, 공동체 구성원 간의 화합을 매개하는 특별한 음식이다. 또한 의례별로 사용되는 떡은 상징적 의미가 깃들어 있을 뿐만 아니라 한국의 문화를 이해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무형적 자산이다.

청동기·철기 시대 유적에서 시루가 발견된 점 등을 미루어 고대에도 떡을 만들어 먹었다고 추정된다. 삼국시대와 고려시대의 각종 문헌 등에서도 떡을 만들어 먹은 내용이 구체적으로 확인된다. 조선시대에는 농업 기술이 발달하고, 조리가공법이 발전하면서 떡 재료와 빚는 방법이 다양화되어 각종 의례에 떡의 사용이 보편화되었다. 특히, 궁중과 반가(班家)를 중심으로 떡의 종류와 맛이 한층 다양해지고 화려해졌다.

우리나라의 떡은 지역별 지리적 특성을 반영한 산물들이 그 재료로 활용되고 있다. 강원도는 감자와 옥수수의 생산이 많아 ‘감자시루떡’·‘찰옥수수시루떡’ 등이 전승되고 있고, 사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섬인 제주도는 예로부터 쌀이 귀하고 잡곡이 많이 생산되어 떡 재료로 팥·메밀·조 등이 재료로 활용되어 ‘오메기떡’·‘빙떡’·‘차좁쌀떡’ 등이 전승되고 있다.

19세기 말 서양식 식문화 도입으로 우리 고유의 식생활에 변화가 생겼고, 떡 만들기 문화도 일부 축소되었으며, 떡 방앗간의 증가로 떡 만들기가 분업화되고 떡의 생산과 소비 주체가 분리되었다. 그러나 현재까지도 다양한 떡이 지역별로 전승되고 있으며, 의례, 세시음식으로 만들고 이웃과 나누는 문화가 그 명맥을 잇고 있다.

이처럼 ‘떡 만들기’는 오랜 역사를 가지고 한반도 전역에서 전승·향유되고 있다는 점, 삼국 시대부터 각종 고문헌에서 떡 제조방법 관련 기록이 확인되는 점, 식품영양학, 민속학 등 다양한 학문 분야의 학술연구 자료로서의 가능성이 높다는 점, 지역별 지리적 특성을 활용한 다양한 떡의 제조가 활발하고, 지역별 떡의 특색이 뚜렷한 점, 현재에도 생산 주체, 연구 기관, 일반 가정 등 다양한 전승 공동체를 통하여 떡을 만드는 전통지식이 전승·유지되고 있는 점에서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할 가치가 있다고 평가받았다.

다만, ‘떡 만들기’는 한반도 전역에서 온 국민이 전승·향유하고 있는 문화라는 점에서 특정 보유자나 보유단체는 인정하지 않는 공동체종목으로 지정하였다.

 

떡메로 떡을 찧는 모습(국립민속박물관)
청태콩을 소로 넣어 송편을 빚는 모습(서애 류성룡 종가)
옹기시루(국립민속박물관)
떡메와 떡판(국립민속박물관)
떡살(국립민속박물관)
찐 송편(성은 남이흥 종가)
수리취떡(국립민속박물관)
15대조 시제 제물 상차림(우복 정경세 종가)
불천위 제사에 올린 완성된 편(충재 권벌 종가)
편과 편청(심온 종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