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방/한국의 野史

18. 快傑 淵蓋蘇文

오늘의 쉼터 2019. 1. 8. 19:18

18. 快傑 淵蓋蘇文



고구려의 국세는 영양왕 때가 큰 고비였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양왕 二十九년 九월, 왕이 승하하자
그의 이복 아우인 건무(建武)가 즉위했는데 그가 곧 제 二十七대 영류왕이다.
고비에 다다른 고구려의 국운도 영류왕대에 이르자 비상한 위기를 맞이하게 되었다.
 
즉 중국대륙에 있어서 수를 멸망시킨 당(唐)은 호시탐탐(虎視耽耽) 고구려를 휘하에 넣으려고
노리고 있었으며 한편 남방의 큰 세력인 신라는 김유신(金庾信)의 국방정책으로 군세가
날로 강성해졌고 김춘추(金春秋)의 외교적 활동으로 나당(羅唐) 양국의 동맹이 바야흐로
맺어지려는 시기였다.
그리고 내부에 있어서는 여러 차례 수의 침공을 겪은 만큼 국정은 피폐할 대로 피폐해 있었다.
 
이런한 위기를 극복하자면 위대한 지도자의 강력한 영도력이 절실히 요구되는 터인데
영류왕은 그런 영도자의 자격을 구비하지 못했다.
 
고작 한 일이라는 것이 신흥 당나라의 비위를 맞추느라고 사신을 보내어 친선을 꾀하는 정도였고
노자(老子)의 도교를 수입해서 강론케 한 일이 있을 정도였다.
이와 같이 최고 지도자의 영도력이 약할 때엔 그 다음 가는 위치에 있는 자가 강력한 힘을 발휘하는
수가 많다.
 
연개소문(淵蓋蘇文)의 출현이 바로 그런 현상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연개소문은 이름을 개금(蓋金)이라고도 부르는데 그의 출생연월은 정확치 않으나
고구려 동부(東部) 대인(大人)의 집에서 태어났다.
 
그의 조부와 부친은 모두 다 그 부족의 장이었을 뿐만 아니라
중앙 정부의 막리지(莫離支)를 지낸 인물이었다.
막리지란 중국의 병부상서와 중서령을 겸한 관직이었으니 다시 말하면 행정과 군사의 수반이었다.
 
개소문은 이러한 명문에서 태어났을 뿐만 아니라 성품이 호방하고 자질이 총명하여 어려서부터
엉뚱한 꿈을 품고 있었다.
그러므로 자기의 출생부터 신비화하기 위해서 ‘나는 사람의 배 속에서 태어난 것이 아니라
물 속에서 난 사람이야.’이런 소리를 하며 듣는 사람을 어리둥절하게 만들었다.
그리고 개소문의 성을 연(淵)씨 또는 천(泉)씨라고 하는데 이것도 다 물 속에서 낳았다는
전설을 낳은 원인이 되었는지도 모른다.

개소문이 十五세 되던 해, 그의 부친 태조(太祚)가 세상을 떠났다.
그러므로 부족의 장인 대인의 위를 응당 그가 계승할 일이었지만 부족의 간부들은
그것을 몹시 꺼렸다.
 
그것은 개소문의 성격이 지나치게 사납고 잔인하고 격정적이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개소문은 남들이 생각하듯이 사납기만한 저돌적인 인물은 아니었다.
사납기는 하되 치밀한 계산과 끈덕진 인내성을 겸비한 인물이었다.
 
간부들이 자기를 경원하고 대인의 위를 계승하는데 반대하려는 눈치를 알아채자
그는 태도를 돌변했다.
지난날의 그 사납고 거만한 태도는 어디다 버렸는지 거의 비굴한 정도로 공손한 태도를 취하며
부락의 간부들을 찾아다녔다.
 
“제가 철이 없어서 한때 사납게 굴고 어른들의 눈 밖에 났으니 비록 벼슬은 못하고 천인이 되더라도
원망할 것은 추호도 없습니다만 대대로 이어온 가문의 영예가 저 하나의 허물로 더럽혀진다면
무슨 낯으로 선조들을 뵙겠습니까?
오늘의 개소문은 지난날의 개소문이 아니오니 부디 노여움을 풀으시고 한 번만 보살펴 주십시오.”
 
그렇듯 사납던 젊은이가 눈물을 줄줄 흘리며 간청하니 부족 간부들의 마음도 동요되지 않을 수 없었다.
 
“그 사람이 마음을 고쳐먹은 모양일세.”
 
“그렇다면 오죽이나 좋은가. 응당 물려받을 자리를 이을 분인데…”
 
이렇게 해서 개소문은 겨우 대인의 위를 계승했다.
이때를 계기로 국정에 참여하게 된 개소문은 영류왕 二十五년경에는
고구려 장성(高句麗長城)을 축조하는데 감독관이 되었다.
 
이 고구려 장성은 당의 침입에 대비한 것으로서 동북으로는 부여성(扶餘城)으로부터
남으로 발해안(渤海岸)에 이르기까지 천여리나 되는 장성(長成)이었다.
 
이런 큰 역사는 과단성 있고 통솔력이 강한 그에게는 적임이었다.
이 일을 성공리에 완성하자 그의 위치는 차츰 정계에서 두드려졌으며 마침내는
그의 위세가 여러 부족의 대인들은 말할 것도 없고 영류왕까지도 능가할 지경이 되었다.
 
이렇게 되자 왕과 대인들은 크게 두려워하여 은밀히 의논한 끝에 그를 죽이려 했다.
그러나 이 사실을 사전에 탐지한 개소문은 크게 노했다.
 
“구더기같은 것들이 감히 누구를 해치려구?”
 
개소문은 각부의 장졸을 즉시 소집했다.
열병을 하겠으니 모이라는 것이었다.
그런 다음에 성남(城南)에 큰 술자리를 베풀고 여러 대인들과 중신들을 불러 열병에 참여케 했다.
개소문에게 어떠한 계책이 있는지 꿈에도 짐작 못한 대인들과 중신들은 모두다 열병장으로 모여들었다.
 
열병이 시작되었다. 개소문의 명령일하, 대오정연히 행진하는 장졸들을 바라보며 대인들과 중신들이
새삼 개소문의 실권에 겁을 먹고 있는데 갑자기 개소문이 칼을 뽑아들었다.
 
그러자 이때까지 일사불란하게 행진하던 장졸들이 일시에 함성을 올리더니
열병하고 있던 대인과 중신들에게 달려들었다.
미리 개소문의 밀명을 받고 있던 장졸들은 그 자리에 참석한 사람들을 지위 고하를 막론하고
누구를 가릴 것 없이 모조리 참살했으니 그 수가 실로 백여명이나 되었다고 한다.
 
대인과 중신들을 참살한 개소문은 곧 궁중으로 달려갔다.
궁중에는 영류왕이 변변한 호위도 없이 남아 있었다.
 
“이 어리석은 임금아! 네가 감히 누구를 죽이려고 하느냐?”
 
개소문은 소리치며 뽑아든 칼로 왕의 목을 베었다.
그러나 격정적인 그는 그것만으로 만족하지 않았다.
왕의 몸을 토막토막 끊은 다음 구렁창에 내버리고 왕의 조카뻘이 되는 장(臧)을 세워 왕으로 삼았으니
그가 곧 고구려 최후의 임금인 제 二十八대 보장왕(寶藏王)이다.
 
제 마음대로 왕을 죽이고 새 임금을 세운 개소문은 이제 완전한 독재자로 등장했다.
스스로 관직을 높여 막리지가 되는 한편 나라의 크고 작은 일을 홀로 전담했다.
 
모도하게 정권을 장악한 자들은 자기의 힘을 과시하기 위해서 부자연스러운 위세를 부리는 것이
 상례이다.
그 점에 있어서도 개소문은 지나칠 만큼 심했다.
항상 몸에는 장검을 다섯 자루나 차고 주위를 위압 했으며 말을 타고 내릴 때에는
대신이나 장군을 땅에 엎드리게 하여 발판으로 삼았다고 한다.
 
또 밖에 나갈 때에는 대오를 왕보다 더 거창하게 펴고 다녔다고 하는데 그가 지나가기에 앞서서
선도하는 자가 길게 외치면 백성들은 모두 굴 속이나 산골짝으로 몸을 피해야 하므로
그 괴로움이 이만저만하지 않았다고 한다.
 
개소문이 왕을 죽이고 독재자로소 국력을 전담한다는 정보는 고구려 침공의 명분을 찾고 있던
당태종(唐太宗)에겐 다시 없이 좋은 소식이었다.
 
보장왕 二년 윤六월, 당태종은 황족과 중신들을 모아놓고 이렇게 말했다.
 
“개소문은 저희 임금을 죽이고 국정을 전담하니 더 두고 볼 수가 없다.
그런즉 우리의 군력을 들어 정벌하기 어렵지 않으나 우리 백성들을 수고롭게 하는 것도
마땅치 않으니 내 글안, 말갈을 시켜 침공케 할까 하는데 그대들의 생각은 어떠한고?”
 
그러자 당태종의 장손(長孫) 무기(無忌)가 나서며 이렇게 간했다.
 
“개소문은 스스로 죄가 큰 것을 알고 있으므로 대국의 토벌을 두려워한 나머지 수비를
강화할 것이옵니다. 그러하온즉 폐하께서는 좀 더 참으심이 마땅하온 줄 아옵니다.”
 
“그렇지만 언제까지나 참고만 있을 수는 없는 노릇이 아닌고?”
 
태종이 재차 물었다.
 
“개소문의 성품은 원래 남달리 교만 방자하다고 들었습니다.
대국에서 토벌을 감행하지 않으면 저희를 두려워하는 것으로 그릇 알고
그 교만 방자한 본성을 드러내어 방비를 소홀히 할 것인 즉 그때를 타서
토벌해도 과히 늦지 않을 줄로 압니다.”
 
무기가 이렇게 진언하니 태종은 그 말을 따랐다.
 
한편 고구려가 당과 맞서고 있을 때 신라는 이면으로 당과 연락을 취하고
당의 힘을 빌어 고구려와 백제를 멸망시킬 공작을 활발히 전개하고 있었다.
 
즉 신라는 사신을 당나라로 보내어
“고구려와 백제는 서로 군사를 합해서 대국으로 출입하는 길을 끊으려 하므로
우리는 하는 수 없이 군사를 내게 되었으니 대국의 구원을 바라오.”
이렇게 고해 바쳤다.
 
그래서 당태종은 사농승상 이현장(司農丞相 里玄裝)을 파견하여 고구려의 정책을 꾸짖었으나
개소문은 그 말을 듣지 않고 오히려 신라의 변경을 자주 침공했다.
이현장이 귀국해서 이와 같은 사실을 보고하자 당태종은 마침내 고구려 정벌의 군사를 일으켰다.
 
보장왕 四년, 당태종은 친히 수륙대군을 거느리고 고구려에 쳐들어 왔는데 수군은
요동반도의 남쪽 끝에 있는 비사성(卑沙城=지금의 大連)을 공략하고 육군은 요하를 건너
요동성, 백암성(白岩城)을 차례로 함락시킨 다음 마침내 안시성(安市城)을 포위했다.
 
이때 개소문은 고연수(高延壽), 고혜진(高惠眞) 등을 파견해서 말갈군과 합세한 다음
안시성을 구원케 했는데, 당태종은 고연수 등의 원군을 고전 끝에 격파하고 총력을 기울여
안시성을 공격하기 시작했다.
 
안시성은 원래 험한 산을 의지한 요새일 뿐 아니라
성내의 장졸들은 백전연마의 정병들이었으며 성주는 또한 지용이 겸비한 명 지휘관이었다.
 
때로는 성을 넘어 당군을 기습하는가 하면 당군의 깃발이 나타나면 모두들 성 위에 올라서서
함성을 지르며 조롱하기도 했다.
이에 당태종은 크게 노하여 끝내 안성성을 공취할 생각으로 성 동남쪽에 흙으로 뫼를 쌓아
성벽을 넘어보려는 궁한 계책을 강구하게 되었다.
 
그러나 성중에서도 그것을 방관하지는 않았다. 적이 뫼를 한 자 높이면 성벽을 두 자 높이고
적이 열 자 높이면 스무 자를 높이어 대항하니 적군은 그 계책도 포기하지 않을 수 없었다.
그래서 운제(雲梯), 충거(衝車), 포석(砲石)과 같은 성을 공격하는 무기를 써서 성벽을
파괴하려 하면 성중에서는 목책을 세워 굳게 방어했다.
 
이렇게 시일을 끌다가 마침내 날씨가 추워지자 풀은 마르고 물은 얼어 인마가
그 이상 머물러 있기 어렵게 되었고 아울러 식량도 거의 떨어지게 되었다.
그래서 당태종은 하는 수 없이 철군을 단행하게 되었다.
 
당군이 철군하기 시작하자 안시성주는 성위에 높이 올라 철군하는 적군을 전송했다.
해석하기에 따라서는 패전하고 돌아가는 적군을 조롱하는 것 같기도 했으나
당태종은 역시 배포가 큰 영웅이었다. 작은 성으로 대군의 공격을 六十여일이나 막아낸
그 용기와 슬기를 크게 찬양하며 비단 백필을 주어 그 뜻을 표시했다고 한다.
 
당의 대군을 격퇴한 사실은 개소문은 자만심을 더욱 키웠다.
그는 대국 당도 이제 두려워하지 않게 되었으므로 남방에 있는 신라쯤은 어린애처럼 보았다.
치고 싶으면 언제나 치고 말고 싶으면 언제나 마는 태도였다.
 
이와 같은 방약무인(傍若無人)한 개소문의 태도에 당태종은 재차 원정을 일으키려 했으나
고구려를 정벌하기가 얼마나 어려운가를 뼈저리게 체험한 그는 대군으로 일시에 공격하기보다
먼저 적은 군사를 보내어 신경전을 전개해서 고구려측을 피로케 한 다음 대대적으로 공멸할
방침을 세웠다.
 
그래서 이번에는 수군을 시켜 해상으로부터 자주 침입했지만 끝내 별 성과를 보지 못하고
당태종은 마침내 세상을 떠났다(西紀 六四九).
 
이와 같이 대국 당의 침략을 좌절시킨 연개소문은 그의 당대엔 강력한 위세를
조금도 굽히지 않았다가 보장왕 二十五년, 파란 많은 생애를 마쳤다.


'소설방 > 한국의 野史'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제 궁중비사] 1. 沸流와 溫祚  (0) 2019.01.08
19. 强者의 아들들  (0) 2019.01.08
17. 名將 乙支文德  (0) 2019.01.08
16. 公主의 사랑  (0) 2018.12.29
15. 小國의 君主  (0) 2018.1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