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자병법(孫子兵法) 8篇 <구변편(九變篇)>
<기에 임하고 변에 응한다>
‘구변’이란 아홉 가지 변칙을 말하며, 여기서는 상도(常道)와 변칙을 논하고 있다.
상도란 정도로서 가장 떳떳한 법칙이지만, 이 법칙만으로는 전쟁이 되지않는 수도있다.
전쟁에서는 상도보다 예외의 변칙이 더절실할 때가 있는 것이다.
전투에는 상황에 따라 정도와 기계, 원칙과 변칙을 적절히 구사해야 한다.
(2) 적을 절대로 궁지로 몰아 넣어서는 안된다. 날카로운 군사를 공격하지 말라, 이병과는 교전하지 말라. 歸師勿遏(귀사물알) 圍師必闕(위사필궐) 철수하는 군사를 막지 말라. 포위된 군사에게는 반드시 길을 터주고, 窮寇勿迫(궁구물박) 此用兵之法也(차용병지법야) 궁한 도적에게는 육박하지 말라. 이것이 군사를 쓰는 법이다. 그러나 전면에 약한군사를 배치하고 뒤에 강한 군사를 대기시 켜 이쪽을 유인하려는 수단에 속아서는 안 된다. 특히 귀국명령이 내려져 철수 준비를 하고 있는 부대를 막으면 귀국하는 데 정신이 뭉쳐 있으므로 뜻밖에 강한 힘을 발휘하게 되므로 이런 전투를 해서는 안 된다. 만약 독안에 든 쥐로 만들면 사력을 다하여 실력 이상의 힘을 발휘 하기 때문에 이쪽의 손해도 커진다. 마지막으로 쫓기고 쫓겨 막다른 길에 빠져 버린 상대를 육박해서도 안된다. 도망갈길이 막힌 쥐가 고양이를 문다는 격으로 의외의 반격을 당하는 수가 있다. 이상에서 말한 용병법은 심리, 전력, 전략을 교묘하게 쓰는 실례이다. 그러나 약점을 찾아 옳다구나 하고 손을 대는것도 뜻밖에 적의 작전에 걸려들기 쉬으므로 조심해야 한다. 이점을 알고 나면 경영면에도 도움이 될것이다. 무슨 일에나 약점이라고 생각되는 곳이 있는 법이다. 반드시 그러한 까닭이 있는법이다. 그것도 모르고 함부로 덤비면 여러가지 난점에 부딪쳐서 애를 먹게 된다. 다음에 돌아가는 군사를 방해하지 말 것과 , 포위할 때는 한쪽을 터놓으라든가, 몰아붙인 적에게는 육박하지 말라는 세가지 주의 등은 자칫하면 그 반대 해석을 할 수가 있다. 싸움이란 언제나 그로인하여 입는 손해를 최소한도로 막는 것이 첫째 조건이다. 이와 같은 배려가 없는 한 이겨도 이긴 것이 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圍師必闕(위사필궐) 포위된 군사에게는 반드시 길을 터주고, 窮寇勿迫(궁구물박) 궁한 도적에게는 육박하지 말라. 백성들은 크게 고생을 하였다고 <사서(史書)>에 나와 있다. 이어 소제(昭帝)가 서고 학자들을 모아 심의회를 열자, 모두들 입을 모아 옳지 못함을 간하였는데, 이말들을 수록한 것이 <염철론(鹽鐵論)> 12권이다. 그 내용은 선왕의 도(道)를 말하고 정치의 요체(要諦)를 지적하여 극히 지언(至言)이었다고 공문서식으로 쓰면 그 것으로 끝나지만, 실은 계속되어온 이적(夷狄)과의 싸움, 북변의 수비, 내몽고로의 출격등 성밖의 평정등으로 말미암아 한왕조의 재정은 곤란하기 짝이 없었다. 청년은 군사(軍事)로 노인과 어린이는 군량운반으로 나날을 보내고, 조정의 재정은 적자로 허덕였다. 그러나 부호와 정상(政商)은 엄청난 부를 가지고 병역 문제를 돈의 힘으로 사는것도 불가능하지 않았으니, 나라형편은 말이 아니었다. 염철에 관리를 두고 엄하게 거둬들인것도 이 때문이었다. 제멋대로 돈을 만드는 사주전은 꼬리를 무는데다 백금에 납을섞고 주석을 섞어서 가볍고 가치없는 돈을 마구 만들어내니, 드디어는 통용이 되지 않는데까지 이르렀다. 이 무렵부터 세상은 소란해지기 시작하여 투계(鬪鷄)와 개(犬), 말(馬)에 의한 도박이나, 매관등이 매우 성행하였다. 옥상옥(屋上屋)의 독점과 규제가 이적(夷狄)에 대한 공포심과 겹쳐서 오히려 백성들에게 필사의 힘을 불어넣은 것이 아니었던가. "남자는 아무리 밭을 갈아도 식량에 굶주리고, 여자는 아무리 길쌈을 해도 의복이 부족하다. 백성들은 참다못해 드디어는 군주를 배반할 것이다" 라고 하였다. 그들에게 탈출할 기회를 주기 위해서이다. 절대절명의 궁지로 몰아 넣어서는 안된다. 곤경에 빠진 적은 믿을 수 없는 힘을 떨쳐 반격해 온다는 손자의 말은 고래의 용병철칙으로서 존중되어 왔으나, 오늘날에도 여전히 그것이 진리임에는 틀림이 없다.
銳卒勿攻(예졸물공) 餌兵勿食(이병물식)
상대편 진영중에서도 유난히 사기가 충천해 보이는 부대는 정면으로 공격하지 않는 편이 좋다.
적을 포위할때도 한쪽에는 반드시 도망갈 길을 터놓아야 한다.
상대편의 강한부분에 먼저 손을 대지말라.
무엇 때문에 약점인 상태로 방치되어 있는가를 우선 의심해봐야 한다.
[예화] 적을 절대로 궁지로 몰아 넣어서는 안된다.
기원전 119년 전제군주 한 문제때, 소금과 철에서 나오는 이익을 조정에서 독점하니,
<사기(史記)>의 저자 사마천의 아버지 사마담(司馬談)은,
삼면을 포위하더라도 한쪽만은 터놓아야 한다.
'소설방 > 손자병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8篇 (4) 받아서는 안 될 명령도 있다. (0) | 2018.01.12 |
---|---|
8篇 (3) 구지는 사귀어 합하고, 절지는 머무르지 말라. (0) | 2018.01.12 |
8篇 <구변편(九變篇)> (1) 언덕을 등진 것을 치지 말라. (0) | 2018.01.09 |
7篇 (12) 진형이 정비된 상대에게는 손대지 말라. (0) | 2018.01.09 |
7篇 (11) 편함으로써 수고로움을 기다린다. (0) | 2018.0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