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경기유형문화재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78호 여주 신륵사 극락보전 삼장보살도

오늘의 쉼터 2014. 4. 10. 21:50

 

 

종 목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78호
명 칭 여주 신륵사 극락보전 삼장보살도(驪州 神勒寺 極樂寶殿 三藏菩薩圖)
분 류 유물 / 불교회화/ 탱화/ 보살도  
수량/면적 전체크기 190.5×287.8 화면크기 173×280cm
지정(등록)일 2013.11.12
소 재 지 경기 여주시  천송동 신륵사길 73 
시 대 조선시대
소유자(소유단체) 신륵사
관리자(관리단체) 신륵사
상 세 문 의 경기도 여주군 문화재사업소 031-887-3566

 

일반설명

 

1758년(건륭 23)에 각총(覺聰)·여현(如玄)·재선(再禪) 등 13명의 화사가 제작했다. 전형적인 삼장보살도의 이단구성법을 따르고 있는데, 상단에 삼장과 권속들, 하단에 협시들을 배치했다. 중앙에는 천장보살이 있고, 왼쪽의 협시보살인 진주보살, 오른쪽의 협시보살인 대진주보살, 권속인 사공천중(四空天衆)·십팔천중(十八天衆)·육욕천중(六欲天衆)·일월천중(日月天衆)·제성군중(諸星君衆)·오통선중(五通仙衆)의 천부중(天部衆)으로 이루어진다. 중앙의 대좌에 앉은 천장보살은 이중원광(二重圓光)이 있고 왼손을 올려 엄지와 중지를 맞대고 오른손은 내려서 엄지와 중지를 맞대고 있다. 지지보살은 이중원을 갖추고 왼손에 경책을 들고 있다. 전체적으로 주색은 호분이 섞인 녹색과 암적색으로, 보조색은 황색과 백색으로 삼아 차분한 분위기가 난다. 화면 속 인물들의 자세가 유연하며, 사실적인 묘사법을 보인다.

 

 

 

 

여주 신륵사 극락보전 삼장보살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