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 목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76호 |
---|---|
명 칭 | 의정부 망월사 간행 진언집 책판 관련 목판 4종 |
분 류 | 기록유산 / 서각류/ 목판각류/ 판목류 |
수량/면적 | 진언집판각60장(119판), 탑다라니판 1개, 만자문 능화판 1개, 부적판 1장(ㅈ판) 불설금강정유가최승비밀성불수구즉득신견가지성취다라니3장(6판) |
지정(등록)일 | 2012.10.23 |
소 재 지 | 경기 의정부시 |
시 대 | 조선시대 |
소유자(소유단체) | 망월사 |
관리자(관리단체) | 망월사 |
상 세 문 의 | 경기도 의정부시 문화관광체육과 031-828-2153 |
일반설명 진언집 판각 60장(119판), 탑다라니판 1개, 만자문 능화판 1개, 부적판 1장, 불설금강정유가최승비밀성불수구즉득신견가지성취다라니 3장(6판)이다.
진언집이란 여러가지 다라니(다羅尼)를 한글 한문 범자(梵字)의 순으로 나란히 적은 책으로서 그 중 가장 오래된 것은 1563년(선조 2) 무등산 안심사(安心寺)에서 개판한 중간본(重刊本)이다. 혜징(慧澄) 인주(印珠) 등의 청으로 설은이 <불정심다라니경>과 여러가지 진언을 고법(古法) 대로 써서 중간하였다. 안심사판을 본떠서 만든 것이 신흥사 판이다. 1658년(효종 9) 강원도 설악산 신흥사(神興寺)에서 만들었고. 권말의 말문만 낙산사 주지 도원(道源)으로 바뀌었을 뿐. 내용은 안심사 판과 같다. 1688년(숙종 14) 평안도 묘향산 불영대(佛影臺)에서 다시 개판하였다. 안심사 판본과 비교해 볼때 진언의 종류와 수에 있어 약간의 차이가 있을 뿐 거의 비슷하다. 또한 1777년 (정조 1) 전라도 화순 만년사(萬淵寺)에서도 이 책을 중간하였다. 권두의 서문과 범례. 홍무정운자모지도(洪武正韻字母之圖) 언본십육자모(諺本十六字母) 실담장이 있고 진언에 있어서도 새로 추가한 것이 제2권으로 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1800년(정조 24) 경기도 의정부 망월사(望月寺)에서 개판한 것이 있다. 이 판본은 만연사 판본이 불타버린 뒤 영월(暎月) 스님이 고쳐 새겼는데. 여전히 망월사에 온전하게 보존되어 있다. 글을 쓴 순서도 범자 한문 한글 순으로 고쳤고. 진언의 수도 더 증가 하였다.
의정부 망월사 간행 진언집 책판 |
'문화재 > 경기유형문화재 '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78호 여주 신륵사 극락보전 삼장보살도 (0) | 2014.04.10 |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77호 여주 신륵사 건륭삼십팔년명 동종 (0) | 2014.04.10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75호 김포 금정사 석조여래좌상 (0) | 2014.04.10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74호 의왕 청계사 신중도 (0) | 2014.04.10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73호 의정부 망월사 건륭오십삼년명 동종 (0) | 2014.04.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