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 목 | 전라북도 무형문화재 제36호 | ||||||||||||||||||||||
---|---|---|---|---|---|---|---|---|---|---|---|---|---|---|---|---|---|---|---|---|---|---|---|
명 칭 | 석장(석조각 김옥수)(石匠) | ||||||||||||||||||||||
분 류 | 무형유산 / 공예기술/ 석공예/ 석공예 | ||||||||||||||||||||||
수량/면적 | 개인 | ||||||||||||||||||||||
지정(등록)일 | 2006.11.10 | ||||||||||||||||||||||
소 재 지 | 전북 익산시 부송동 우남아파트 104동 406호 | ||||||||||||||||||||||
시 대 | 대한민국 | ||||||||||||||||||||||
소유자(소유단체) | 김옥수 | ||||||||||||||||||||||
관리자(관리단체) | 김옥수 | ||||||||||||||||||||||
상 세 문 의 | 전라북도 익산시 문화관광팀 063-859-5791 | ||||||||||||||||||||||
설명
석장(石匠)’이란 석조물을 제작하는 장인으로, 주로 사찰이나 궁궐 등에 남아있는 불상, 석탑, 석교 등이 이들의 작품이라 할 수 있다. 삼국시대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고 다채로운 석조문화재가 전해지고 있어 우리나라의 석조물 제작 기술이 상당한 수준에 이르렀음을 알 수 있다. 석공예의 재료는 물론 석재로, 전국적으로 가장 많이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화강암이 있으며 이 밖에도 납석과 청석, 대리석 등이 활용되고 있다. 전통적인 석장들은 망치, 정 등 수공구를 사용하여 돌이라는 단단한 물질에 생명력을 불어넣어 수준 높은 석조문화를 탄생시키고 발전시켜왔다. 무형문화재로 지정된 김옥수씨는 석공기술과 모든 정비 등을 전통방식을 고수하고 있으며, 특히 힘들고 어려운 석공기술을 연마해 전통불교조각에 심취하고 있는 장인으로 평가받고 있다. 김씨는 지난 1970년에 석장에 입문했으며, 5년 뒤인 1975년에 제10회 전국기능경기대회 2위를 차지함으로써 석공기술의 능력을 입증했다. 1989년 전남 강진의 전통사찰의 보수공사를 시작으로 완주 위봉사, 무주 만복사, 전남 정수사, 경남 안정사, 치악산 구룡사, 경북 관음사 등 우리나라 주요 사찰의 석물을 보수하는 등 전통불교조각에서 최고의 기량을 자랑하고 있다.
석조각 김옥수 석조각 김옥수 /////////////////////////////////////////////////////////////////////////////////////////////////////////////////////////////////////////////
|
'문화재 > 전북무형문화재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라북도 무형문화재 제38호 호남 넋풀이 굿(넋건지기 굿) (0) | 2011.03.10 |
---|---|
전라북도 무형문화재 제37호 고창오거리당산제보존회 (0) | 2011.03.10 |
전라북도 무형문화재 제35호 지장(전통한지) 홍춘수 해제 (0) | 2011.03.10 |
전라북도 무형문화재 제34호 가사 김봉기 (0) | 2011.03.10 |
전라북도 무형문화재 제33호 호남당골굿(당골굿) 전금순 <해제> (0) | 2011.0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