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악은 농부들이 두레(마을의 공동 작업을 하기 위한 조직)를 짜서 일할 때 치는 음악으로 꽹과리·징·장구·북과 같은 타악기를 치며 벌이는 음악을 두루 가리키는 말이다.
호남우도농악의 일종인 부안농악은 호남우도농악과 경남농악·경기농악의 특색을 고루 지녀 음악·춤사위 놀이가 완벽한 짜임새를 갖추고 있다. 장단 또한 호남우도농악과 경상도농악의 중간적인 성격을 띠어 생동감 넘치는 가락이 많다.
현재 부안농악의 예능보유자인 나모녀씨는 쇠가락으로 농악대를 총지휘하는 상쇠의 예능인으로서, 춤사위나 그 짜임새가 다양하고 기교가 넘쳐난다. 그의 쇠소리는 신령이 감동하는 소리라고 평가받고 있으며, 그의 동작은 기예가 완숙된 선녀놀이에 비유되고 있다.
부안농악
/////////////////////////////////////////////////////////////////////////////////////////////////////////
종 목 | 전라북도 무형문화재 제7-2호 |
---|
명 칭 | 정읍농악 (井邑農樂) |
---|
분 류 | 무형문화재 / 전통연행/ 음악/ 민속음악 |
---|
수량/면적 | 단체 |
---|
지 정 일 | 1996.03.29 |
---|
소 재 지 | 전북 정읍시 |
---|
시 대 | 대한민국 |
---|
보 유 자 | 유지화, 김종수 |
---|
관 리 자 | 정읍농악 보존회 |
---|
설명 농악은 농부들이 두레(마을의 공동 작업을 하기 위한 조직)를 짜서 일할 때 치는 음악으로 꽹과리·징·장구·북과 같은 타악기를 치며 벌이는 음악을 두루 가리키는 말이다.
정읍농악은 마을마다 전승되어온 농악이 세습무 집단의 뛰어난 예능과 접합되어 예술적 수준이 향상된 농악이다. 게다가 1920년대에는 이 지역의 민중종교인 보천교가 농악을 종교음악으로 채택하여 뛰어난 농악예능인들을 널리 모아들여 통합시킴으로써 예술적 수준이 다시 한번 향상되었다. 그 후 정읍농악은 전북지역 뿐만 아니라 전국 각지의 농악에 큰 영향을 끼쳤다.
현재 정읍농악은 유지화, 김종수씨가 예능보유자로 인정되어 있다.
정읍농악 /////////////////////////////////////////////////////////////////////////////////////////////////////////////// 종 목 | 전라북도 무형문화재 제7-3호 |
---|
명 칭 | 김제농악 (金堤農樂) |
---|
분 류 | 무형문화재 / 전통 공연·예술/ |
---|
수량/면적 | 단체 |
---|
지 정 일 | 1996.03.29 |
---|
소 재 지 | 전북 김제시 |
---|
시 대 | 대한민국 |
---|
보 유 자 | 박판열, 이준용 |
---|
관 리 자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