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전북무형문화재

무형문화재 제7호 농악(農樂)

오늘의 쉼터 2011. 3. 10. 09:32




종 목

전라북도 무형문화재 제7-1호

명 칭

부안농악 (扶安農樂)

분 류무형문화재 / 전통연행/ 음악/ 민속음악
수량/면적

개인

지 정 일1987.12.31
소 재 지전북 부안군
시 대대한민국
보 유 자나모녀
관 리 자

부안농악 보존회  

 

설명

 

농악은 농부들이 두레(마을의 공동 작업을 하기 위한 조직)를 짜서 일할 때 치는 음악으로 꽹과리·징·장구·북과 같은 타악기를 치며 벌이는 음악을 두루 가리키는 말이다.

호남우도농악의 일종인 부안농악은 호남우도농악과 경남농악·경기농악의 특색을 고루 지녀 음악·춤사위 놀이가 완벽한 짜임새를 갖추고 있다. 장단 또한 호남우도농악과 경상도농악의 중간적인 성격을 띠어 생동감 넘치는 가락이 많다.

현재 부안농악의 예능보유자인 나모녀씨는 쇠가락으로 농악대를 총지휘하는 상쇠의 예능인으로서, 춤사위나 그 짜임새가 다양하고 기교가 넘쳐난다. 그의 쇠소리는 신령이 감동하는 소리라고 평가받고 있으며, 그의 동작은 기예가 완숙된 선녀놀이에 비유되고 있다.

부안농악




/////////////////////////////////////////////////////////////////////////////////////////////////////////




종 목

전라북도 무형문화재 제7-2호

명 칭

정읍농악 (井邑農樂)

분 류무형문화재 / 전통연행/ 음악/ 민속음악
수량/면적

단체

지 정 일1996.03.29
소 재 지전북 정읍시
시 대대한민국
보 유 자유지화, 김종수
관 리 자

정읍농악 보존회  

 

설명

 

농악은 농부들이 두레(마을의 공동 작업을 하기 위한 조직)를 짜서 일할 때 치는 음악으로 꽹과리·징·장구·북과 같은 타악기를 치며 벌이는 음악을 두루 가리키는 말이다.

정읍농악은 마을마다 전승되어온 농악이 세습무 집단의 뛰어난 예능과 접합되어 예술적 수준이 향상된 농악이다. 게다가 1920년대에는 이 지역의 민중종교인 보천교가 농악을 종교음악으로 채택하여 뛰어난 농악예능인들을 널리 모아들여 통합시킴으로써 예술적 수준이 다시 한번 향상되었다. 그 후 정읍농악은 전북지역 뿐만 아니라 전국 각지의 농악에 큰 영향을 끼쳤다.

현재 정읍농악은 유지화, 김종수씨가 예능보유자로 인정되어 있다.

정읍농악

///////////////////////////////////////////////////////////////////////////////////////////////////////////////

종 목

전라북도 무형문화재 제7-3호

명 칭

김제농악 (金堤農樂)

분 류무형문화재 / 전통 공연·예술/ 
수량/면적

단체

지 정 일1996.03.29
소 재 지전북 김제시
시 대대한민국
보 유 자박판열, 이준용
관 리 자

김제농악 보존회  

 

설명

 

농악은 농부들이 두레농악은 농부들이 두레(마을의 공동 작업을 하기 위한 조직)를 짜서 일할 때 치는 음악으로 꽹과리·징·장구·북과 같은 타악기를 치며 벌이는 음악을 두루 가리키는 말이다.

김제농악은 호남우도농악의 한 종류로 김제 전역에 분포되어 있는 농악을 말한다. 일찍부터 각 마을에서 대동굿의 형태로 농악을 전승해 오다가 좀더 전문적인 예인집단에 의한 농악으로 발전하였다. 농악대의 구성에 있어서 쇠 ·장구를 주된 악기로 사용하고 큰 북을 사용하지 않으며, 평야지역의 두레굿이 발달되어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현재 김제농악은 박판열씨 외 1명이 예능보유자로 인정되어 있다.

김제농악

/////////////////////////////////////////////////////////////////////////////////////////////////////////////////




종 목

전라북도 무형문화재 제7-4호

명 칭

남원농악 (南原農樂)

분 류무형문화재 / 전통연행/ 음악/ 민속음악
수량/면적

단체

지 정 일1998.01.09
소 재 지전북 남원시
시 대대한민국
보 유 자유명철
관 리 자

남원농악 보존회  

 

설명

 

농악은 농부들이 두레(마을의 공동작업을 하기 위한 조직)를 짜서 일할 때 치는 음악으로 꽹과리·징·장구·북과 같은 타악기를 치며 벌이는 음악을 두루 가리키는 말이다.

남원농악은 전라남도 남동부의 농악을 대표하는 농악으로, 가락이 다채로우며 놀이동작이 세련되고 섬세하여 예술성이 매우 높다. 농악에 참여하는 모든 사람들이 꼭지에 흰 새털이나 종이 오리를 꾸며 돌리는 상모를 머리에 쓰는 것이 특징이다.

현재 남원농악은 유명철씨가 예능보유자로 인정되어 전승에 힘쓰고 있다.

 남원농악

////////////////////////////////////////////////////////////////////////////////////////////////////////////////

종 목

전라북도 무형문화재 제7-5호

명 칭

진안농악(상쇠-조병호) (鎭安農樂)

분 류무형문화재 / 전통 공연·예술/  
수량/면적

단체

지 정 일1998.01.09~2003.04.18
소 재 지전북 진안군
시 대대한민국
보 유 자조병호
관 리 자

진안농악 보존회  

 

설명

 

농악 혹은 풍물굿이 언제부터 시작되었는지 자세히 알 수는 없다. 다만 조선 후기에 나타난 유랑예능인 집단 가운데는 풍물을 장기로 삼은 집단이 다수 있었던 것으로 보아, 이보다 훨씬 이전에 현재와 같은 풍물의 전형이 확립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풍물굿은 각 지역마다 특색있게 발전되어 왔는데, 특히 전라도 지역은 평야부와 산조부의 굿이 다르고, 산간부도 북동부지역과 동남부지역 사이에 차이가 있다. 진안굿은 북동부 산간부굿으로 해방을 전후 한 시기에 그 정체성을 드러낸 것으로 보인다. 이후 김상운, 김수동, 최상근, 천종수, 노문길, 한귀동, 정오동 김인철, 김봉열 등의 명인에 의해 그 맥이 이어져왔다. 좌도굿(전라도 북동산간부 굿) 치배는 모두 전립을 쓰며, 윗놀이의 기교가 뛰어나고, 가락이 투박하고 빠르며 맺는 데가 많다.(남원굿보다 잔가락이 적다) 남성적인 특성이 강하고, 영산 가락은 예술성과 대중성에 있어서 좌도굿을 특징지우며, 가장 자랑할 만한 가락이다. 좌도굿 중에도 남동부 지역의 굿과 북동부 지역(진안, 무주, 장수)의 굿은 차이에 있어서도 독자성이 있다.

전수자인 조병호씨가 사망하여 농악 전수자가 없음.

////////////////////////////////////////////////////////////////////////////////////////////////////////////////////

종 목

전라북도 무형문화재 제7-6호

명 칭

고창농악(설장고-정기환)(高敞農樂)

분 류무형문화재 / 전통연행/ 음악/ 민속음악
수량/면적

단체

지 정 일2005.12.16
소 재 지전북 고창군  공음면 구암리 214
시 대대한민국
보 유 자정창환
관 리 자

고창농악 보존회  

 

설명

 

고창농악은 예로부터 고창, 무장, 영광 등지의 해변을 끼고 형성된 농악이다. 호남 우도 농악의 일반적인 성격을 지니면서도 잡색놀음이 다양하게 발달한 점과 고깔소고놀음이 잘 정리되어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고깔소고놀이는 머리에 고깔을 쓰고 삼채가락에 맞추어 춤을 흥겹게 추는 것으로서 가락의 진행과 상황전개에 따라 즉흥적인 동작을 유연하게 구사하는 것이 특징이다.

강모질의 제자인 정창환 씨는 소고 부문에서 보유자로 인정되어 현재는 고창동리국악당 및 고창농악전수관에서 후진양성을 위해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고창농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