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충남무형문화재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41호 대장장

오늘의 쉼터 2011. 3. 7. 22:24
 

 

 

 

종 목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41-1호

명 칭 대장장()
분 류 무형유산 / 공예기술/ 금속공예/ 금속공예
수량/면적

개인

지정(등록)일

2009.07.10

소 재 지 충남 아산시 온천동  
시 대대한민국
소유자(소유단체)허창구
관리자(관리단체)

허창구

상 세 문 의

충청남도 아산시 문화관광과 041-540-2069

 

일반설명

 

대장간은 쇠를 달구어 각종 연장을 만드는 곳이다. 옛날에는 시골 장터나 마을 단위로 대장간이 있어 무딘 농기구나 기타 각종 연장을 불에 달구어 벼리기도 하고 새로 만들어내기도 하였다. 그런 일을 업으로 하는 사람을 대장장이라고 하는데, 대장장이는 오랜 숙련을 통해 담금질로 쇠의 강도나 성질을 조절한다. 풀무는 손풀무와 발풀무가 있는데 발풀무가 더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다. 대장장은 전통적으로 이어져 내려오는 수공 방법으로 열처리와 가공방식이 인정되어 아산의 허창구 충남도 무형문화재로 지정됐다.대장장이 허창구씨가 운영하는 창구대장간에는 낫과 호미, 괭이, 쇠스랑, 도끼, 작두 등 농기구뿐만 아니라 식칼, 부엌칼 등 생활용품도 팔고있다. 왼쪽 빈공간이 대장간이다.

 

 

 



대장장

 


 

 

/////////////////////////////////////////////////////////////////////////////////////////////////////////////////////




 

종 목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41-2호
명 칭 대장장()
분 류 무형유산 / 공예기술/ 금속공예/ 금속공예
수량/면적

개인

지정(등록)일 2009.07.01
소 재 지 충남 홍성군 
시 대대한민국
소유자(소유단체)모무회
관리자(관리단체)모무회
상 세 문 의 충청남도 홍성군 문화공보실 041-630-1227

 

일반설명

 

대장간은 금속[쇠]을 단야(鍛冶)하여 전통 농기구 등 각종 연장[도구]을 제작하는 곳으로, 대장장은 전통 농기구 등을 만드는 기술 또는 그 기술을 가진 사람을 말한다.

현재 대장간의 시설로는 풀무, 모루, 정, 메 등이 있으며 대장장은 쇠의 성형,천공, 열처리[담금질] 등을 통해 각종 연장[도구]을 생산하고 있다. 1960년대 까지만 하여도 다수 존재하였던 대장장은 현재는 산업화에 밀려 대장장의 전통적 제작기법 및 전승에 위기를 맞고 있는데, 전통적인 대장장 제작기능을 이어받아 가업으로 이어오고 있다. 특히, 성형, 천공, 열처리 기술 등에 있어 전통적인 기능을 보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전통 대장간의 맥을 이어받아 제작기능의 전통성과 수월성이 뛰어나는 등 전통적인 대장장의 기능을 보유하고 있다.

 

 

 


대장장

대장장

대장장

대장장



/////////////////////////////////////////////////////////////////////////////////////////////////////////////////////

 



종 목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41-3호

명 칭대장장()
분 류무형유산 / 공예기술/ 금속공예/ 금속공예
수량/면적

개인

지정(등록)일

2009.07.11

소 재 지충남 당진시 읍내동 142-4 
시 대대한민국
소유자(소유단체)손창식
관리자(관리단체)손창식
상 세 문 의충청남도 당진시 문화체육과 041-350-3581~4

 

일반설명

 

당진 지역 토박이인 손창식씨는 1960년대 아버지로부터 야장(冶匠-대장장) 기술을 전수받아 가업을 이어 오고 있다. 그는 증조부 때부터 시작된 가업을 이어받아 50여년 동안 지역의 역사와 궤를 같이하며 대장간을 운영해 온 손씨는 전통 방식의 제작기술과 내용을 잘 이해하고 있다고 평가받고 있다. 그가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41-3호의 기능 보유자로 인정받을 수 있었던 이유는 바다와 관련한 해양 분야의 어로기술에 있어 독창적인 기술을 보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오랜 세월에 걸쳐 축적된 야장기술이 가히 독보적이기 때문이다. 특히, 1980년 부친으로부터 ‘당진대장간’을 인수한 이후 현재까지도 손씨는 반농반어(半農半漁)적 지역 특색을 지닌 조새나 갯벌용 쇠스랑을 비롯한 20여 종 이상의 어업용 기구를 다양하게 제작할 수 있는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당진의 지역과 향토 문화적 특성을 고스란히 간직한 바다와 관련된 어로도구인 장어 잡이용 창과 고기잡이용 창, 수초제거용 낫, 긁갱이, 닻, 굴 따기 조새, 갯벌용 호미, 갯벌용 쇠스랑 등을 비롯해 각종 그물수선도구와 배수선용 도구 외에도 농업도구인 자귀와 가래, 천치 등 수렵어로 도구와 농경용 도구를 절충한 그의 철물 제작품은 융합문화의 정수를 보여 준다.





대장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