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경남기념물

경상남도 기념물 제48호 밀양 남전리 지석묘군

오늘의 쉼터 2010. 10. 11. 21:15
 
종 목 경상남도 기념물  제48호 (밀양시)
명 칭 남전리지석묘군(南田里支石墓群)
분 류 유적건조물 / 무덤/ 무덤/ 지석묘
수량/면적 30기
지정(등록)일 1979.12.31
소 재 지 경남 밀양시  하남읍 남전리
시 대
소유자(소유단체) 밀양시
관리자(관리단체) 밀양시
상 세 문 의 경상남도 밀양시 문화관광과 055-359-5636
 
일반설명
 
지석묘는 청동기시대의 대표적인 무덤으로 고인돌이라고도 부르며, 주로 경제력이 있거나 정치권력을 가진 지배층의 무덤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의 고인돌은 4개의 받침돌을 세워 돌방을 만들고 그 위에 거대하고 평평한 덮개돌을 올려놓은 탁자식과, 땅 속에 돌방을 만들고 작은 받침돌을 세운 뒤 그 위에 덮개돌을 올린 바둑판식으로 구분된다.

북으로는 해발 600m의 덕대산 기슭이 감싸고 남으로는 낙동강이 흐르고 있는 경상남도 밀양시 하남읍 남전리에 40여 기의 고인돌 무리가 있다. 이 고인돌은 7∼10기씩 무리를 이루고 있는데 현재 확인된 것은 40여 기이지만 주민들에 따르면 더 많은 수가 있었으나 전답을 개간하면서 제거되었다고 한다.

남전리의 고인돌은 바둑판식인데, 작은 받침돌이 있는 것과 받침돌이 없는 두 가지 형태가 섞여 있다. 일부 고인돌의 덮개돌에는 풍년을 기원하거나 자식낳기를 기원하는 의미에서 만든 알구멍<성혈(性穴)>이 있다.

돌방 안에서 발굴된 돌칼, 붉은 간토기, 돌화살촉의 유물들은 동아대박물관과 밀양시립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남전리의 고인돌 무리는 이 부근 일대에 청동기시대 사람들이 많이 살고 있었음을 알 수 있게 하는 중요한 유적이 된다.
 
 

남전리지석묘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