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상식/세상사는이야기

꿀은 악조건인 겨울의 산물이다

오늘의 쉼터 2009. 6. 4. 10:50



    ◈ 꿀은 악조건인 겨울의 산물이다 ◈ 어떤 양봉업자가 열대지방에 갔다. 열대지방은 사시사철 여름이라 온갖 꽃이 만발하였고, 벌을 키우면 많은 꿀을 딸 수 있을 듯하였다. 양봉업자는 시험적으로 벌통 열 개를 가지고 갔다. 얼마 못되어 벌통 에는 꿀이 가득하였다. 확신을 얻은 양봉업자는 빚을 내서 벌통 만개를 사 들고 다시 열대지 방으로 갔다. 첫해에는 벌통 만개에서 꿀을 두 번 따는 수입을 올렸다. 양봉업자는 쾌재를 불렀다. 그런데 다음해부터 문제가 생기기 시작했다. 꿀을 한 번밖에 못 따는가 싶더니 그다음해 부터는 아예 꿀이 거의 모이지 않았다. 그 양봉업자는 결국 망하고 말았다. 그 양봉업자가 망한 이유는 이렇다. 꿀벌들이 꿀을 모으는 것은 꽃이 없는 추운 겨울을 나기 위해서이다. 그런데 처음에는 겨울 준비를 하던 꿀벌들이 열대지방에서는 꽃이 언제나 핀다는 것, 즉 겨울이 없다는 것을 본능적으로 알아버린 것이다. 꿀벌들은 더는 꿀을 모으지 않아도 얼마든지 살 수 있다는 것을 알아버렸기 때문에 꿀을 모으지 않았던 것이다. 문명은 자연환경이 좋은 곳이 아니라, 자연환경이 열악한 곳에서 꽃 피었다는 사실을 기억할 필요가 있다. 황하, 나일 강, 메소포타미아, 인더스 강 모두 자연환경이 매우 열악 한 곳이었다. 과일이나 사냥감이 풍부했던 것도 아니고 하천의 범람은 늘 일상생활을 위협했다. 그곳에서 살아남자니 머리 쓰고, 노력하고, 일할 수밖에 없었고 그 과정에서 문명의 불길이 타오르기 시작했던 것이다. 항상 여름인 나라에서는 꿀을 얻을 수 없다. 꿀은 겨울이라는 악조건 때문에 얻을 수 있는 열매이다. 사람의 삶도 그렇다. 우리는 고통과 아픔이 없기를 바란다. 그러나 고통과 아픔이 없다면 우리 삶은 곧 시들고 만다. 남다른 고난을 극복했을 때만이 진정한 성취의 기쁨을 맛볼 수 있다. 빛과 그림자가 둘 아닌 하나이듯 삶과 죽음이 둘 아닌 하나이듯 행복과 불행도 둘 아닌 하나이다. 사는 게 힘들다고 푸념만 할 것이 아니라 그곳이 바로 진정한 행복의 출발점이라는 것을 깨우쳐 갔으면 한다. 꿀은 악조건인 겨울의 산물이다. 오늘 비록 역경에 고통스럽더라도 내일의 희망을 향해 힘차게 전진해 갔으면 한다. <<수필가 황태영 >> :::::::::::::::::::::::::::::::::::::::::::::::::::::::::::::::::::: “목마른 사람이 우물을 파고” “필요가 창조를 낳는다.”는 말이 있습니다. 황태영 작가님의 마음에 양식이 될 참 좋은 글에서도 읽을 수 있듯 우린 늘 필요에 의해서 생산을 하였고, 필요에 의해서 발명을 하였고, 필요에 의해서 일하며 하루하루 보람된 삶을 영위 할 수 있었습니다. “살기 위해 먹느냐?” “먹으려고 사느냐?” 아직도 명확한 답을 낼 수 없는 명제(命題) 앞에 황태영 작가님은 어떤 장소에서 어떻게 사느냐에 대한 조그만 힌트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겨울이 없는 곳에서 벌은 꿀을 모을 필요가 없지요, 그렇듯 내일이 없는 우리 앞에 오늘도 그 존재의 가치를 잃고 맙니다. 자신의 존재가치를 높이려면 자신이 꼭 필요한 자리를 찾아야 합니다. 세상에는 필요치 않은 물질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하찮은 조약돌 하나 까지 필요에 따라 만들어진 것입니다. 하물며 사람임에야 더 말해 무엇 하겠습니까. 국보가족 여러분! 난세에 명장이 태어난다고 했습니다. 여러 가지 일들로 많이 힘들어진 이때 절망의 한숨보다는 긍정의 힘을 믿고 한 발, 한 발 앞으로 나가는 용기가 필요한 때입니다. 오늘 하루도 우리 가족님들께서는 꼭 필요한 곳에서 자신의 능력을 십분 발휘하여 희망을 위해 꿀을 모으는 보람된 하루를 보내시길 기원합니다. 점차 무더워지는 날씨에 건강 유념하십시오. 뜨거운 여름을 환한 웃음으로 보내려면 지금부터 건강에 관심을 기울 여야 할 때입니다. ♣이기은 드림♣

    

 

 

'종합상식 > 세상사는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돌미나리   (0) 2009.06.08
경상도 보리 문디  (0) 2009.06.05
고독  (0) 2009.06.03
바보의 행진  (0) 2009.06.02
소리  (0) 2009.06.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