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층 팔요황천살(八曜黃泉殺) 팔요황천살은 악살 중에서도 가장 흉한 살로 죽음과 파멸을 뜻하므로 장사 지낼 때 반드시 피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사람이 다치고 재산이 망한다.(인상손재, 人傷損財) 옛 글에는 <살요위제악지수(煞曜爲諸惡之首) 조장최기(造葬最忌)>라 하였다. 팔요황천살은 입수룡의 오행을 향의 오행이 극하면 용상팔살(龍上八煞)이고, 입수룡의 오행을 물이 극하면 황천수(黃泉水)가 되며, 입수룡의 오행을 바람이 극하면 황천풍(黃泉風)이며, 장사를 지내는데 날짜(일진, 日辰)의 오행이 묘의 좌 오행을 극하면 황천일(黃泉日)이 된다.
용상팔살(龍上八殺) : 혈의 향(向) 오행이 입수룡(入首龍=입수1절룡)을 극(剋)하는 것. <예1> 입수1절룡을 나경패철 4층 지반정침으로 측정하니 임자계(壬子癸) 3방위 중 하나로 감룡(坎龍)이었다. 이때는 묘의 좌향을 술좌진향(戌坐辰向)이나 진좌술향(辰坐戌向)을 못 놓는다. 감(坎) 입수룡은 진(辰)향이나 술(戌)향의 황천살을 받기 때문이다 <예2> 입수1절룡을 나경패철 4층으로 측정하니 미곤신(未坤申) 3방위 중 하나의 용맥으로 입수되었다. 이때는 곤룡(坤龍)이며 유좌묘향(酉坐卯向)을 못 놓는다. 왜냐하면 곤(坤)의 오행은 토(土)이고 묘(卯)향의 오행은 목(木)이다. 오행의 상극 관계에서 목이 토를 극하여 관살(황천살)이 되기 때문이다. <예3> 입수1절룡을 패철의 4층으로 측정하니 손룡(巽龍) 즉 진손사(辰巽巳) 3방위 중 하나였다. 이때는 묘좌 유향(卯坐酉向)을 못 놓는다. <예4> 입수1절룡이 나경패철 4층으로 측정하니 술건해(戌乾亥) 3방위중 하나로 입수했는데 자좌오향(子坐午向)을 놓으면 용상팔살에 걸려 인상재패(人傷財敗)한다. 황천수(黃泉水) : 물이 있는 방위의 오행이 입수룡의 오행을 극하는 것을 말한다. 물은 8층 천반봉침으로 측정한다. <예1>입수1절룡을 나경패철 4층 지반정침으로 측정하니 축간인(丑艮寅) 3방향 중 하나로 간룡(艮龍)이다. 물이 들어오는 득수처나 물이 보이는 저수지의 방위를 나경패철의 8층 천반봉침으로 측정하니 인(寅) 방위였다면 황천수로 사람이 상하고 재산이 망할 염려가 있다. <예2> 입수1절룡을 4층으로 측정하니 진룡(震龍)으로 갑묘을(甲卯乙) 3방위 중 하나였다. 득수처의 위치를 8층으로 측정하니 신(申) 방위라면 황천수로 매우 흉하다. <예3> 입수1절룡을 나경패철 4층으로 측정하니 이룡(離龍)으로 병오정(丙午丁) 3방위 중 하나였다. 8층 천반봉침으로 저수지의 위치를 측정하니 해(亥) 방위에 있다면 저수지 물은 황천수가 되어 매우 흉한 물이 된다. 황천수는 혈을 향하여 들어오는 내수(來水) 즉 득수(得水)와 혈에서 보이는 호수나 저수지 물을 보는 것으로 물이 나가는 파구(破口=수구)의 방위는 상관하지 않는다. 황천풍(黃泉風) : 혈 주위가 움푹 꺼지거나 골이 있으면 직사곡풍(直射谷風)이 불어 매우 흉한데 더욱이 그 방위가 황천방에 있으면 필시 사람이 상하거나 재산이 망할 흉사를 당한다. 사격은 6층 인반중침으로 측정한다. <예1> 입수1절룡을 4층 지반정침으로 측정하니 경유신(庚酉辛) 3방향 중 하나였고 6층 인반 정침으로 움푹 파인 곳이나 혈을 향하여 있는 골짜기를 측정하니 사(巳) 방위에 있다면 움푹 파인 곳이나 골짜기에서 불어오는 바람은 황천풍이 되어 매우 흉하다. <예2> 입수1절룡을 4층 지반정침으로 측정하니 임자계(壬子癸) 감룡(坎龍)이며 험한 골짜기의 방위를 6층 인반중침으로 측정하니 진(辰) 또는 술(戌) 방위였다면 황천풍을 받아 매우 흉한 일을 당한다. 황천일(黃泉日) : 이장을 비롯해서 장사 일을 하는데 날짜인 일진(日辰)의 오행이 묘의 좌(坐)의 오행을 극하면 황천일이 된다. <예1> 묘의 좌향을 4층 지반정침으로 측정하니 임좌병향(壬坐丙向), 자좌오향(子坐午向), 계좌정향(癸坐丁向) 중 하나인데 진일(辰日, 甲辰,丙辰,戊辰,庚辰,壬辰)이나 술일(戌日, 戊戌, 庚戌, 壬戌, 甲戌, 丙戌)에 장사 지내면 황천일이 되어 흉하다. <예2> 혈의 좌향이 4층 지반정침으로 측정하니 갑좌경향(甲坐庚向), 묘좌유향(卯坐酉向), 을좌신향(乙坐辛向) 중 하나인데 신일(申日, 丙申,戊申,庚申,壬申,甲申)에 장사지내면 황천일이 이장을 비롯해서 장사 일을 하는데 날짜인 일진(日辰)의 오행이 묘의 좌(坐)의 오행을 극하면 황천일이 된다. <예1> 묘의 좌향을 4층 지반정침으로 측정하니 임좌병향(壬坐丙向), 자좌오향(子坐午向), 계좌정향(癸坐丁向) 중 하나인데 진일(辰日, 甲辰,丙辰,戊辰,庚辰,壬辰)이나 술일(戌日, 戊戌, 庚戌, 壬戌, 甲戌, 丙戌)에 장사 지내면 황천일이 되어 흉하다. <예2> 혈의 좌향이 4층 지반정침으로 측정하니 갑좌경향(甲坐庚向), 묘좌유향(卯坐酉向), 을좌신향(乙坐辛向) 중 하나인데 신일(申日, 丙申,戊申,庚申,壬申,甲申)에 장사지내면 황천일이다. |
'풍수지리 > 나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3층 오행(五行) (0) | 2009.04.14 |
---|---|
제2층 팔로사로황천살(八路四路黃泉殺) (0) | 2009.04.14 |
나경패철로 방위를 측정하는 방법 (0) | 2009.04.14 |
▣ 9층 패철중 1층~9층까지 설명 (0) | 2009.04.14 |
수맥(水脈)의 정의 (0) | 2009.04.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