뿌리와 역사/신라

19. 눌지마립간(訥祗麻立干)

오늘의 쉼터 2008. 10. 26. 20:23

 

 19. 눌지마립간(訥祗麻立干)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눌지마립간(訥祗麻立干)

※ 생존기간 : (?∼458)
※ 재위기간 : (417∼458)



※ 본문설명

성은 김씨. 아버지는 내물마립간이고, 어머니는 미추이사금의 딸인 보반부인(保反夫人)이며, 비는 실성이사금의 딸이다.

《삼국사기》에 의하면 최초로 마립간이라는 왕호를 사용한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삼국유사》에 보이는 마립간이 실제로는 내물왕 때 이미 사용됐음에도 불구하고 이때에 처음 사용되었다고 한 것은 종래의 왕호인 이사금(尼師今)이 마립간과 더불어 내물과 실성의 양대에 걸쳐 혼용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392년에 내물마립간이 실성을 고구려에 볼모로 보내었는데, 401년에 귀국한 실성은 내물마립간에 이어서 왕위에 오르게 되었다.

실성이사금은 즉위 후에 자신이 외국에 볼모로 갔던 것을 원망하여 고구려를 이용, 내물마립간의 아들 눌지를 해침으로써 원수를 갚으려고 하였으나 오히려 고구려의 지원을 받아 정변을 일으킨 눌지에 의하여 살해되고, 눌지는 실성이사금에 이어서 즉위하게 되었다. 이처럼 그의 왕위계승에 고구려의 힘이 작용한듯이 보인다.

그러나 즉위 후 신라에 대한 고구려의 영향력을 배제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서 418년에는 고구려에 볼모로 가 있던 동생 복호(卜好)를 고구려에서 탈출시켰으며, 또한 왜(倭)와의 화호(和好)를 위해서 실성이사금 때 볼모로 보내졌던 동생 미사흔(未斯欣)도 귀국시켰다.

그리고 고구려에 대해서는 424년에 사신을 보내어 정상적인 외교관계를 유지하는 한편, 고구려의 평양천도 이후의 남진정책에 대항하기 위하여 433년에는 종래 적대적 관계에 있던 백제와 동맹을 체결하였으며, 455년에 고구려가 백제를 공격하자 나제동맹(羅濟同盟)에 입각하여 군사를 파견, 백제를 지원하기도 하였다.

미사흔을 귀국시킨 뒤, 왜가 431년·440년·444년 등 여러 차례에 걸쳐서 신라를 침범하자 이를 모두 막아내었다. 그리고 450년에는 신라의 하슬라성주(何瑟羅城主) 삼직(三直)이 고구려의 변장(邊將)을 살해한 일로 고구려가 공격해 오자 외교적인 사과로 해결하였다.

이와같이, 불안한 대외적인 위기상황 속에서 왕실 내부의 분쟁을 미리 막기 위하여 왕위계승의 부자상속제를 확립시켰다. 이 때문에 직계인 자비마립간과 소지마립간은 혼란없이 왕위를 계승할 수 있었다.

이밖에도 중앙정청인 남당(南堂)에서 왕이 친히 노인들을 봉양함으로써 민심을 수습하였고, 저수지인 시제(矢堤:위치 미상)를 축조하여 농업생산력의 증대를 도모하였으며, 또한 백성들에게는 우차(牛車)의 사용법을 가르쳐서 화물유통을 쉽게 하였다.


※ 보충설명

2년(서기418) ▶ 봄 정월에 몸소 시조묘에 배알하였다.

3년(서기419) ▶ 4월에 우곡(牛谷)에서 물이 솟구쳐 올랐다.

4년(서기420) ▶ 봄과 여름에 크게 가물었다.

7년(서기423) ▶ 4월에 남당에서 노인들을 접대하였는데,

8년(서기424) ▶ 2월에 고구려에 사신을 보내 예방하였다.

13년(서기429) ▶ 시제(矢堤)를 새로 쌓았는데 둑의 길이가

15년(서기431) ▶ 4월에 왜의 군사가 동쪽 변경을 침범

16년(서기432) ▶ 곡식이 귀하여 사람들이 소나무 껍질을

17년(서기433) ▶ 5월에 미사흔(未斯欣)이 죽어, 서불한을 추증

18년(서기434) ▶ 2월에 백제 왕이 좋은 말 두 필을 보냈다.

19년(서기435) ▶ 봄 정월에 큰 바람이 불어 나무가 뽑혔다.

20년(서기436) ▶ 여름 4월에 우박이 내렸다.

22년(서기438) ▶ 4월에 우두군에 산골물[山水]이 갑자기

24년(서기440) ▶ 왜인이 남쪽 변경에 칩입하여 백성을

25년(서기441) ▶ 2월에 사물현에서 꼬리가 긴 흰 꿩을

28년(서기444) ▶ 4월에 왜의 군사들이 금성을 열흘 동안

34년(서기450) ▶ 7월에 고구려의 변방 장수가 실직의 들

36년(서기452) ▶ 7월에 대산군에서 상서로운 벼이삭을

37년(서기453) ▶ 봄과 여름에 가물었다. 가을 7월에 이리떼가

38년(서기454), ▶ 7월에 서리와 우박이 내려 곡식을 해쳤다.

39년(서기455) ▶ 겨울 10월에 고구려가 백제를 침입

41년(서기457) ▶ 2월에 큰 바람이 불어 나무가 뽑혔다.

42년(서기458) ▶ 2월에 지진이 일어났고, 금성 남문이 저절로

※ 참고설명

만고충신 박제상

울주군 두동면 만화리 동쪽에는 경남과 경북의 경계를 이루는 높이 765m의 치술령이 하늘 높이 솟아 있습니다. 이 치술령에는 망부석이라는 큰 바위가 있는데 여기에는 신라의 충신 박제상과 그의 부인 김씨에 대한 충성심과 곧은 절개에 관한 이야기가 전해오고 있습니다.
옛날 우리 나라는 신라, 고구려, 백제 등 삼국으로 갈라져 있었습니다. 삼국 초기에는 고구려가 매우 강한 나라였습니다.

신라 제17대 내물왕 때 북방에 있는 강대국 고구려는 신라와 친하게 지내자는 조건으로 신라 왕족을 볼모로 보내줄 것을 요구하였습니다. 신라에서는 할 수 없이 이찬이라는 벼슬에 있는 대서지의 아들 실성을 고구려에 보냈습니다. 실성은 고구려에서 수년동안 볼모생활을 한 후 풀려나 신라로 돌아올 수 있었습니다. 실성이 돌아온 이듬해 내물왕이 세상을 뜨고 말았습니다.

내물왕에게는 눌지,복호, 미사흔 등 세명의 왕지가 있었는데 그 때 제일 큰 왕자가 겨우 열다섯 살이었습니다.이 기회를 이용하여 실성은 스스로 왕위를 차지하고 제18대 실성왕이 된 것입니다.

그 후 어느날 왜나라(지금의 일본)에서 사신이 왔습니다.왜나라는 신라와 친하게 지내자면서 왕지 한 사람을 볼모로 보내달라고 하였습니다.실성왕은 할 수 없이 10살된 막내왕자 미사흔을 왜나라로 보냈습니다.왕자 일행을 볼모로 잡은 왜나라는 신라에게 온갖 협박을 다하면서 괴롭혔지만 힘이 약한 신라는 어쩔 수 가 없었습니다. 한편 볼모가 없어진 고구려는 다시 사신을 보내와 볼모로 요구하였습니다. 신라는 어쩔 수 없이 복호 왕자를 고구려에 보냈습니다. 동생 둘을 볼모로 보낸 눌지는 실성왕에 대한 불만이 점점 커졌습니다. 이것을 알아차린 실성왕은 불안한 생각이 들어 눌지를 없애 버리기로 결심하였습니다.

어느날 밤 실성왕이 보낸 자객이 눌지에게 당하고 말았습니다. 눌지는 그 길로 실성왕도 처치해 버리고 신하들에 의해서 제19대 왕으로 추대 되었습니다. 눌지가 왕위에 오르자 궁궐에서는 성대한 잔치가 벌어졌습니다. 궁녀들이 춤을 추고 노랫가락이 점점 높아갔습니다.

그러나 왕은 왜나라와 고구려에 볼모로 잡혀간 동생들을 생각하며 슬픔에 잠겨 있었습니다. 미사흔 왕자는 벌써 16년이 되었고 복호 왕자는 10년이 되었습니다. 왕의 슬픔을 알아차린 신하들은 모두가 눈물을 흘리며 왜와 고구려에 대한 적개심으로 가득 찼습니다.

그 때 수염이 허연 서발한이 "대왕님의 슬픔은 곧 우리의 슬픔이니 지혜와 용병이 뛰어나고 베짱이 좋은 사람을 뽑아 두 왕자님을 구해오도록 하자." 고 말했습니다.

왕은 믿을만한 촌장 3사람을 궁궐로 불러 왕자를 구해 올 사람을 의논한 결과 삽량주(지금의 양산시와 울주군 일대)의 태수로 있는 박제상을 추천 받았습니다.

박제상은 신라 제17대 내물왕 때 지금의 양산시 상북면 소토리에서 태어났습니다. 어릴 때의 이름은 모발이라고 하였습니다. 그의 할아버지 아도는 죽은 뒤에 갈문왕으로 추대된 분이었고, 그의 아버지는 해군 대장을 지낸 물품이었습니다. 할아버지와 아버지의 엄격한 가르침을 받은 박제상은 불쌍한 이웃을 돕고 옳지 못한 일을 보면 참지 못하는 정의의 사나이로 자랐습니다.

청년이 되어서는 자기가 사는 나라가 얼마나 소중하고 위대하다는 것을 알게 되고 또 조상들의 훌륭한 가르침을 배우는 한편 말타기, 활쏘기, 칼쓰기 등 무술을 부지런히 배워서 스무 살의 젊은 나이에 태수라는 벼슬을 맡고 있었던 것입니다.

촌장의 이야기를 들은 눌지왕은 당장 박제상을 불러 왜나라와 고구려에 볼모로 잡혀있는 두 아우를 구해 달라는 부탁을 하였습니다. 왕의 간절한 부탁을 받은 박제상은 임금님의 근심은 신하의 수치이니 명을 받들어 반드시 두 왕자님을 구해오겠다고 맹세하고 먼저 복호 왕자를 구하기 위하여 고구려로 떠났습니다.

고구려 옷으로 갈아 입은 박제상은 궁궐 안으로 숨어들었습니다.경비병들의 눈을 속이고 복호 왕자를 만난 박제상은 복호 왕자에게 자기의 신분을 말하고 고구려를 빠져나갈 방법을 아뢰었습니다. 은밀히 약속을 끝낸 박제상은 달골(지금의 강원도 고성)에 먼저 도착하여 배를 띄워 놓고 복호 왕자를 기다렸습니다. 병이 났다는 핑계로 며칠 동안 대신들의 모임에 나가지 않던 복호 왕자는 경계가 소홀한 밤을 틈타 고구려의 서울인 환도성을 몰래 빠져나와 박제상이 기다리고 있는 달골에 도착하였습니다.

박제상은 바닷가에 미리 금은 보화를 가득 뿌려놓고 급히 배에 올라 노를 젓기 시작하였습니다. 눈치를 챈 고구려 병사들이 말을 타고 달려왔습니다. 그러나 그들은 우선 바닷가에 흩어진 금은 보화를 줍기에 바빴습니다. 한참을 수선거리며 금은보화를 다 주운 고구려 병사들은 활은 쏘기 시작하였습니다.

박제상은 왕자를 감싸 안았습니다. 많은 화살이 박제상의 등을 명중시켰습니다. 그런데도 박제상은 상처하나 입지 않고 무사하였습니다. 고구려 병사들은 복호 왕자와 그 동안에 정이 들었고, 금은보화에 대한 고마움을 느꼈기 때문에 화살촉을 뽑은 채 화살을 쏘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추격하는 속도도 일부러 늦추어 주었습니다. 이리하여 박제상은 복호 왕자를 구출하여 무사히 서라벌로 돌아오게 되었습니다.


10년 만에 돌아온 복호 왕자를 만나니 눌지왕은 너무 기뻐서 성대한 잔치를 베풀었습니다. 그러나 복호 왕자를 보자 막내 미사흔이 더욱 보고 싶어졌습니다. 박제상은 왕의 근심을 얼른 눈치챌 수 있었습니다. 그래서 잔치도, 가족들이 기다리는 집도 아랑곳하지 않고 곧바로 왜나라로 가서 미사흔 왕자를 구해 오겠다고 말했습니다. 왕은 오늘같이 고구려에서 돌아와서 너무 무리하지 말라고 말렸습니다.

그러나 박제상은 복호왕자의 구출 소식이 왜나라에 전해지면 미사흔 왕자를 영원히 구출하기 어렵다며 당장 떠나겠다고 하였습니다.
그리고 떠나면서 왕에게 "박제상이 나라와 왕을 배반하고 왜나라로 도망쳤다." 고 헛소문을 퍼뜨려 달라고 부탁했습니다. 그것은 왜나라 사람들이 하도 간사해서 좀체 남의 말을 믿지 않기 때문이었습니다.

그리하여 고구려에서 돌아온 박제상은 잠시 쉴 여유도 없이 말을 달려 율포(지금 울주군 강동면 정자리 부근)로 향했습니다. 뒤늦게 이 소식을 들은 그의 아내 김씨 부인은 남편을 뒤쫓아 율포로 달려갔으나 남편이 탄 배는 이미 바다 멀리 가고 있었습니다. 김씨 부인은 거주지를 아예 치술령 기슭으로 옮기고 날마다 율포항이 내다 보이는 치술령 에 올라 동해 바다를 바라보며 하늘에 기도를 하였습니다.
율포를 떠난 박제상은 무사히 왜나라 땅에 도착하여 왜 왕을 찾아갔습니다. 신라의 왕이 신의 아비와 형제를 죄없이 죽인 까닭으로 원수를 갚기 위하여 왔노라고 거짓말을 하였습니다.

왜왕은 잘 믿지 않으려고 하였으나 신라로부터 박제상이 조국을 배반하였다는 소문이 들려오자 그제서야 집과 양식을 주어 편히 지내게 해주었습니다. 왜인들의 경계가 약해질 즈음 박제상은 미사흔 왕자를 만나 자초지종을 아뢰고 은밀히 탈출 계획을 세웠습니다. 그는 미사흔 왕자에게 배를 타는 법과 고기를 잡는 법, 바다의 길을 찾는 법등을 가르쳤습니다. 가르치면서 잡은 고기는 왜왕에게 갖다 바쳐 그들의 신임을 얻는 것도 잊지 않았습니다.

몇 달 후 날씨가 흐리고 안개가 끼인 날 새벽, 박제상은 신라 사람 강구려를 시켜 미사흔 왕자를 배에 태워 먼저 탈출하게 하였습니다. 그리고 자신은 미사흔 왕자가 멀리 탈출할 수 있는 시간을 벌어주기 위하여 숙소로 돌아와 왕자가 쓰던 방에서 자고 일부러 늦게 일어났습니다.
감시한던 왜인들이 왕자를 확인하기 위해 방에 들어와 보려고 하였습니다. 그러나 박제상은 왕자님이 어제 고기잡이로 매우 피곤하여 늦게 일어나실 것이니 물러가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나 결국 왕자의 탈출이 발각되고 말았습니다.사실을 알게된 왜왕은 급히 말탄 군사를 보내어 뒤쫓게 했으나 배는 이미 수평선 너머로 사라져 흔적도 없었습니다.
미사흔 왕자는 무사히 먼 바닷길을 건너 신라땅에 닿았습니다. 임금님과 복호 왕자는 신하들과 함께 성문 밖까지 행차하시어 미사흔을 맞이하였습니다. 눌지왕은 꿈에 그리던 삼형제를 다시 만나게 되어 큰 잔치를 열었습니다.

한편 왜왕은 박제상을 잡아다 놓고 엄한 문초를 하였습니다. 그러면서도 높은 벼슬을 내릴테니 자기의 신하가 되어 달라고 달랬습니다.
그러나 박제상은 "내 차라리 신라의 개나 돼지가 될지언정 왜나라의 신하는 되지 않을 것이면,신라의 모진 매를 맞을지언정 왜나라의 벼슬을 싫으니라." 하고 말했습니다.

크게 화가 치밀은 왜왕은 심한 고문을 하면서도 박제상에게 또 물었습니다.
"너는 어느 나라 신하지?"
"나는 신라의 신하다."
왜왕은 격노하여 또다시 모진 고문을 하였습니다. 그러다가 다시 물었습니다.
"너는 누구의 신하이냐?"
"천만 번 물어도 나는 신라의 신하다."
박제상은 끝내 굴복하지 않았습니다. 온갖 고문을 당한 박제상은 결국 대마도로 귀양 갔다가 마침내 낯선 일본땅에서 화형으로 쓸쓸하고도 처참한 죽음을 당하였습니다.

한편 치술령에 올라 날마다 기도하던 김씨 부인은 미사흔 왕자가 돌아왔다는 소식을 듣고 서라벌로 달려갔으나 남편이 아직 덜아오지 못하였다는 이야기를 듣고 그만 까무러치고 말았습니다. 하지만 날마다 치술령에 올라 하늘에 기도하며 남편이 무사히 돌아오기를 빌고 또 빌었습니다. 간절한 기도의 보람도 없이 남편이 왜왕은 모진 고문 끝에 화형을 당하였다는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그 소식을 들은 김씨 부인은 이를 갈고 몸서리를 쳤습니다. 그리고 남편 박제상을 따라 가기로 결심했습니다.동해바다 저 멀리 남편의 모습이 떠올랐습니다.

김씨 부인은 비틀거리며 동해를 향해 절을 올렸습니다. 그리고 두 딸과 함께 조용히 눈을 감았습니다. 세 모녀가 숨지고 난 뒤 그 혼들은 세 마리의 새로 변하였다고 합니다. 후세 사람들은 김씨 부인과 딸들이 남편을 기다리며 날마다 오르던 바위를 '망부석'이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박제상의 자녀는 아기,아영,아경 등 딸 셋과 아들 문량이 있었습니다. 두 딸 아기,아경은 어머니를 뒤따르고 아영은 미사흔 왕자와 결혼하여 어린 막내 동생 문량을 부모님 대신 길렀습니다. 문량이 자라니 그가 바로 아름다운 음악을 많이 남긴 그 유명한 신라의 음악가 백결 선생인 것입니다.
지금도 울주군 두동면 만화리에는 박제상의 52대손 박치간이 라는 사람이 살고 있어 박제상 부부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지나고 있었습니다. 그리고 화형을 당했던 일본 대마도에서조차 박제상의 충절을 기리고 그에 대한 연구를 계속하고 있다고 합니다.


※ 본문참고 :
三國史記
三國遺事
新羅古代의 dual organization(金哲埈, 歷史學報 1, 1952)
新羅奈勿王系의 血緣意識(李基東, 新羅骨品制社會와 花郎徒, 1980)
新羅建國考(末松保和, 新羅史の諸問題, 近澤書店, 1954)

※ 본문출처 : 엠파스 지식/ 한국학/한국의 왕
※ 보충출처 : www.koreandb.net/ Sam/bon/samkuk/04_0300.htm
※ 참고 출처 : http://samil-us.es.kr/community/godliness.html
※ 이미지출처 : http://samil-us.es.kr/community/godliness.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