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후기의 문신 심동신(1824∼?)이 입던 금관조복 중 금관 1점이다. 금관은 조복에 갖추어 쓰던 모자로 양관(梁冠)이라고도 하는데, 량(梁)은 모자의 앞면에서 꼭대기를 지나 뒷면까지 연결되어 붙여진 금색선을 말하며, 그 수에 따라 계급이 구분된다. 이 금관은 5량관으로, 1품의 관리가 쓰던 금관이다.
금관의 모양은 원통형인데 머리둘레와 뒷면 전체에 금칠이 되어 화려하고 윗부분은 검은 비단으로 싸여 있다. 뒷면은 금칠한 나무비녀 2개를 꽂아 고정하였고 비녀의 양 끝에는 술을 감아 늘어 뜨렸다.
이 금관은 1948년 석주선씨가 심동신의 7대 손자며느리로부터 인수받았다고 하며, 1890년대를 전후한 구한말의 유품으로 추정된다.
|
윤용구(1853∼1939)는 조선시대 문신이자 서화가로 문과에 급제한 후 이조, 병조판서 등의 관직을 지냈으며, 일제시대 때에는 일본정부에서 작위를 수여하려 했으나 거절하고 세상일을 멀리한 채 집밖을 나오지 않았다. 이 유물은 그의 유품이다.
철릭은 상의와 하의를 따로 구성하여 허리에 연결시킨 특이한 형태로 지금의 두루마기 형태의 겉옷인 포의 일종이다.
조선시대 문무관리들이 외국사신으로 파견될 때, 국난을 당할 때, 임금을 궁궐밖에서 호위할 때 착용했으며 단령 밑에 입는 받침옷으로 항상 착용하도록 하였다.
이 유물은 청색 구름무늬비단의 홑옷이다. 소매가 넓고 깃이 곧은 직령이며 허리 이하는 치마에 주름을 잡았고 왼쪽 소매에 단추를 달아 떼었다 붙였다 할 수 있어 활동에 편리하게 되어있다.
전문설명 철릭은 청색(靑色) 운문사(雲紋紗)로 만든 홑옷으로 직영(直領)에 소매가 넓고 주름 잡힌 넓은 치마부분이 허리에 연결되어 있다. 왼쪽 소매는 분리되어 단추로 연결하게 되어 있다. 착용하고 있는 광다회(廣多繪)는 홍색(紅色)견사(絹絲)로 짠 것이다.
철릭 국가민속문화재216-3호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