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후기의 문신 심동신(1824∼?)이 입던 금관조복 중 금관 1점이다. 금관은 조복에 갖추어 쓰던 모자로 양관(梁冠)이라고도 하는데, 량(梁)은 모자의 앞면에서 꼭대기를 지나 뒷면까지 연결되어 붙여진 금색선을 말하며, 그 수에 따라 계급이 구분된다. 이 금관은 5량관으로, 1품의 관리가 쓰던 금관이다.
금관의 모양은 원통형인데 머리둘레와 뒷면 전체에 금칠이 되어 화려하고 윗부분은 검은 비단으로 싸여 있다. 뒷면은 금칠한 나무비녀 2개를 꽂아 고정하였고 비녀의 양 끝에는 술을 감아 늘어 뜨렸다.
이 금관은 1948년 석주선씨가 심동신의 7대 손자며느리로부터 인수받았다고 하며, 1890년대를 전후한 구한말의 유품으로 추정된다.
|
윤용구(1853∼1939)선생은 조선시대의 문신이자 서화가로, 1871년 문과에 급제한 후 이조, 병조판서 등의 벼슬을 지냈으며, 일제시대때에는 일본정부에서 작위를 수여하려 하였으나 거절하고 세상일을 멀리한 채 집밖을 나오지 않았다.
이 동다리옷은 그의 유품으로 다른 의복과 함께 발견되었다.
동다리옷은 다른 말로 협수라고도 하며 전복안에 입는다. 그 모양은 두루마기와 비슷하면서 뒤가 트이고, 주황색 깃에 붉은색 소매를 달았다. 곧은 깃에 겨드랑이 아래에는 무가 있으며 이 위에 전복을 입으면 조선시대 무관들이 갖추어 입던 군복인 구군복이 된다.
이 유물은 흑색 전복에 동달이의 소매만 바느질하여 약식화한 구군복 형태인데, 이것은 한말의 제도이며 여름에 착용했던 것으로 보인다.
전문설명 길은 흑색갑사(黑色甲紗)로 하고 소매는 주황색갑사(朱黃色甲紗)로 달고 소매 위에는 홍색(紅色)으로 동을 단 옷이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99D886375DE1325916)
동다리옷 국가민속문화재216-2호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