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을입구에 효자문과 정자를 지은 이씨 동족마을에 자리잡고 있는 1800년대말에 지어진 집이다. 안채, 곳간채, 사당채로 구성된 ㄱ자형의 평면을 갖춘 보기드문 유형이다.
안채는 ㄱ자형으로 사랑채를 따로 두지 않고 안채에 곁들이는 특이한 구성을 하고 있다. 서쪽부터 좌우 반칸을 부엌으로 하고 앞쪽 한칸은 부엌방이며, 그 옆으로 안방과 윗방과 골방이 있다. 안방과 윗방 앞쪽에는 툇마루가 있으며, 그 옆에 마루방을 중심으로 좌우 2칸은 바깥마루이고, 마루방 앞에는 안마루가 있다. 안마루 끝에는 사랑윗방과 꺾어져서 아래쪽에 사랑방이 놓여 있다. 사랑방은 문으로 칸막이를 하였고, 사랑방과 바깥마루 동쪽에는 툇마루가 있다. 사랑방 남쪽 끝에는 작은 부엌이 있는데 기둥의 높이가 높아서 마치 2층처럼 꾸몄고, 윗쪽은 다락으로 만들었다. 안채 뒷쪽칸에는 부엌공간을 확장하기 위해서 덧붙인 부엌광채가 있는데 광과 부엌 출입 공간으로 나뉜다.
곳간채는 모두 마루를 깔아놓은 창고로 마루 밑이 트여 있어 남쪽 지방 특유의 창고형식이 남아있다. 앞면 4칸 중 3칸에만 출입문이 있다. 안채의 동북쪽 약간 높은 곳에 자리잡고 있는 사당채는 별도의 담장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사당으로서는 비교적 규모가 크다.
전문설명
자연경관이 수려한 곳에 이씨 동성부락(同姓部落)이 자리하고 있으며 마을 어귀에 효자문(孝子門)과 동네 정자(亭子)가 커다랗게 지어져서 마을의 전통적 옛 맛을 돋운다. 마을이 그렇듯이 이 집도 마을 안 평탄한 곳에 무성한 대나무 숲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별다른 정원시설은 없다. 안채는 19세기 말에 지어진 것으로 추측되며 기타 건물은 그 보다 약간 떨어진 20세기 초에 지어진 것으로 여겨진다.
안채는 특이한 평면의 곱은자집으로서 ㄱ자를 밖으로 하여 안마당을 감싸돌면서 남향하였다. 안채 서쪽으로는 계속해서 一자형의 부엌광채가 곁달려지며 이것과 약간 중복되면서 안마당 서쪽에 동향하여 광채가 배치되었다. 안채 동쪽에는 사랑마당이 설정되었으며 이것 뒤쪽에는 다시 담장을 두르고 구획해서 사당(祠堂)을 지었다. 앞에는 서쪽 모서리로 대문이 마련되고 그 앞에 조그만 경영공간으로서 바깥마당이 설정되어 그 동쪽에 헛간채가 지어졌다. 대문간으로부터 서쪽 광채 모퉁이까지는 생나무 울타리를 심어서 울담을 만들며 안채 북동쪽 모퉁이에서 사당 담장까지는 나지막한 담장을 쳐서 사랑마당과의 동선을 차단했고 기타는 자연적인 대나무 숲으로 담장을 대신하였다.
안채는 특이한 평면을 지니고 있어 전후퇴집과 양통을 함께두는 겹집형태를 띠며 사랑채를 따로 두지 않는 대신에 안채에 사랑을 곁들이는 구성이다. 가로칸은 양통 또는 전후퇴로 하고 세로칸은 바깥퇴를 두었는데 가로는 양퇴를 가진 6칸, 세로는 4칸으로 이루어졌다. 간살이는 서쪽으로부터 뒤의 좌우 칸반을 부엌으로 하고 앞은 1칸 크기의 부엌방인데 아랫퇴에는 또 반으로 나누어 뒤는 살강으로 부엌에서 쓰고 모퇴에는 마루를 깔아 부엌방에서 이용한다.
다음은 전후퇴로 구성해서 뒷퇴를 포함하여 칸반 크기의 큰(안)방을 두고 그 위 복판에는 웃방, 뒷퇴에는 골방, 그리고 큰방과 웃방의 앞퇴에는 툇마루가 시설되었다. 다음은 다시 양통으로 나누는 바 뒤의 복판칸은 고방이, 그 위 머리에 좌우 2칸은 바깥마루가, 고방 앞 좌우 2칸은 안마루가 배치되었다. 안마루머리에는 사랑웃방, 꺾어져서 아래쪽에 사랑방이 놓였고, 사랑방과 바깥마루 동쪽 바깥퇴에는 툇마루가 시설되었다. 사랑방 남쪽 끝에는 작은부엌이 축조되고 상부에는 다락이 꾸며졌다. 안채 뒤 부엌에서 부터 바깥마루까지는 쪽마루가 놓여져서 서로의 동선을 연결하였다. 고방, 안마루, 바깥마루에는 모두 우물마루가 깔렸는데 안마루는 사랑방과 곧장 동선이 연결되지는 않았다.
구조는 안방 부분(가로)을 2고주5량으로 하고 마루 부분을 1생기기둥5량집으로 처리했다. 곧 집 복판에 종보를 바로받는 생기기둥(고주)을 세우고 1 칸 길이의 대들보를 전후면평주까지 걸었다. 그 가운데에 동자주를 세워 종보를 받았고 종보 중앙(생기기둥 상부)에는 사다리꼴 판대공을 세워 종도리를 얹었다. 상당히 고식(古式)이며 자주 볼 수 없는 구조기법이다.
댓돌은 막돌 허튼층쌓기 두벌대 정도의 높이이고 초석은 듬성듬성한 네모꼴 덤벙주초이다. 기둥은 네모이며 납도리를 맞췄는데 장혀는 쓰지 않았다. 대들보도 옆구리를 훑어서 단면이 달걀꼴이며 장혀 배바닥도 수평으로 다듬고 모나 죽이는 정도이지 굴려서 수장폭을 표현하진 않았다. 지붕은 골기와 합각인데 전면 날개는 박공으로 처리했다. 합각에 기와로 간단한 문양을 넣었다.
부엌광채는 부엌공간을 확장하는 용도로 덧붙인 것이다. 전면 3칸, 측면 단칸의 맞걸이 맞배집이며 안채 뒤쪽칸에 덧붙였다. 간살이는 광과 부엌 출입공간으로 나뉘어지며 골기와 박공지붕이다.
광채는 맞걸이 3량, 4칸 맞배집이다. 모두 광으로 구성되었으며 빈지널과 판장문으로 되었다. 자연석 외벌대의 댓돌, 조금 높은 덤벙주초, 네모기둥, 장혀 없는 납도리집이다.
사당은 사랑마당 북쪽에 따로 담장을 두르고 일각대문(一角大門)을 달아서 그 안에 만들었다. 전면 2칸, 전후퇴집인데 전퇴는 토방으로 개방되었고 박공지붕이다. 그리고 대문간은 단칸이며 박공지붕집이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99FFC53E5DF471741A)
안채 ![](https://t1.daumcdn.net/cfile/blog/995B0A3E5DF4717518)
사당 ![](https://t1.daumcdn.net/cfile/blog/9947A83E5DF471771E)
안채와 곳간채 ![](https://t1.daumcdn.net/cfile/blog/9979823E5DF471781D)
광채 ![](https://t1.daumcdn.net/cfile/blog/9945A63E5DF471791E)
대청 ![](https://t1.daumcdn.net/cfile/blog/999A7D3E5DF4717A17)
돌담 ![](https://t1.daumcdn.net/cfile/blog/99E5F93E5DF4717B1B)
마루 ![](https://t1.daumcdn.net/cfile/blog/992533385DF4717C1B)
안마루 ![](https://t1.daumcdn.net/cfile/blog/99A41D385DF4717D14)
안채 ![](https://t1.daumcdn.net/cfile/blog/99511C385DF4717F1A)
안채전경 ![](https://t1.daumcdn.net/cfile/blog/9991C4385DF4718019)
재각1 ![](https://t1.daumcdn.net/cfile/blog/991CBB385DF4718112)
재각2 ![](https://t1.daumcdn.net/cfile/blog/99EFDF385DF4718217)
재각내부 ![](https://t1.daumcdn.net/cfile/blog/99662C385DF471831A)
재각마루 ![](https://t1.daumcdn.net/cfile/blog/99C1F6405DF471841F)
전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