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사적

사적 제313호 영주 순흥 벽화 고분

오늘의 쉼터 2008. 2. 21. 21:34



종     목 사적  제313호
명     칭영주 순흥 벽화 고분 (榮州 順興 壁畵 古墳) 
분     류 유적건조물 / 무덤/ 무덤/ 봉토묘
수량/면적 178,984㎡
지 정 일 1985.11.07
소 재 지 경북 영주시  순흥면 읍내리 산29-1
시     대신라
소 유 자국유,사유
관 리 자영주시

일반설명

비봉산 정상(높이 431m)에서 서남쪽으로 뻗어 내려온 구릉의 경사면에 있는 무덤이다.

무덤의 외형은 둥글고 내부는 널방(현실)과 그 방에서 입구를 연결하는 널길(연도)로 이루어진 굴식돌방무덤(횡혈식석실분)이다. 널방은 4각형으로, 크기는 동·서 약 3.5m, 남·북 약 2m, 높이 약 2m이다. 벽에서 천장으로 갈수록 좁아지며 천장은 2장의 돌이 나란히 덮혀 있다. 천장을 제외한 모든 벽면에는 채색화가 그려져 있다.

동벽에는 새의 머리 그림이, 남벽에는 사람과 글씨가, 북벽에는 3개의 산과 연꽃, 구름무늬가, 서벽에는 나무와 집이 있고 수문장으로 추정되는 역사(力士)가 그려져 있다.

널길의 동·서쪽 벽면에도 그림이 있는데, 서벽엔 뱀을 손에 잡아 감고 있는 사나이의 모습이, 동벽에는 눈을 부릅 뜬 힘 센 사람의 그림이 있다. 이것은 무덤의 시신을 보호하려는 의도에서 그려진 것으로 해석된다.

이 무덤의 그림들은 삼국시대 회화는 물론 당시의 종교관·내세관, 고구려와의 문화교류를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순흥읍내리벽화고분 → 영주 순흥 벽화 고분)으로 명칭변경 되었습니다.(2011.07.28 고시)


전문설명


표고(標高) 431m인 비봉산(飛鳳山)에서 동(東)·서(西) 두 개의 능맥(稜脈)이 남(南)쪽으로 뻗어 내려오고 있는데 서(西)쪽 능맥(稜脈)끝에는 1971년(年)에 발견된 순흥어숙묘(順興於宿墓)(벽화분(壁畵墳))이 있고 동(東)쪽 능맥(稜脈) 기슭에는 이 읍내리벽화고분(邑內里壁畵古墳)이 있으며 두 고분(古墳)의 직선(直線)거리는 약 500m쯤 된다.

이 벽화고분은 1985년 2월에 발견(發見)되어 8월에 문화재연구소(文化財硏究所)에 의(依)해 발굴조사(發掘調査)된 것으로 신라지역(新羅地域)에서는 두 번째의 벽화분(壁畵墳)이라는 점(點)에서 매우 귀중(貴重)하다.

벽화분(壁畵墳)이 있는 위치(位置)에는 따로 16기(基)의 봉토분(封土墳)이 모여 있다. 묘실 (墓室)은 장대석(長大石)을 평적(平積)하여 만들었으며 장벽(長壁)(북(北)·남벽(南壁)) 길이 3.53m. 단벽(短壁)(동(東)·서벽(西壁)) 길이 2.02m의 동서장축(東西長軸)의 장방형(長方形)이다. 천정(天井)(고(高) 2.05m)은 서벽(西壁)을 약간(若干)내경(內傾)시켜 큰 판석(板石) 2매(枚)로 덮었으며 입구(入口)는 단벽(短壁)이 아니고 장벽(長壁)인 남벽(南壁)의 서(西)쪽 끝에 열리고 있는 것이 특이(特異)하다.

석실내부(石室內部)에는 동반부(東半部)에 북(北)·동(東)·남벽(南壁)에 붙여 2m 방형(方形), 고(高) 0.67m의 관대(棺臺)를 만들었고 따로 입구(入口)에서 마주 보이는 서북(西北) 구석에 관대(棺臺)보다 얕고 면적(面積)도 관대(棺臺)의 약 6분지(分之)1 밖에 안 되는 작은 대(臺)를 만들어 놓고 있다. 사벽(四壁)에 회(灰)칠이 탈락(脫落)된 채로 남아 있으며 동벽(東壁)에는 봉황(鳳凰)이 묵선(墨線)과 담갈채색(淡褐彩色)으로, 남벽(南壁)에는 현문(玄門)위쪽에 기미■묘■인명■■(己未■墓■人名■■)이라는 묵서명(墨書銘)과 좌수(左手)에 어형기(魚形旗)를 든 인물(人物), 북벽(北壁)에는 묵선(墨線)과 담주채(淡朱彩)의 삼산도(三山圖), 구름, 서조도(瑞鳥圖), 서벽(西壁)에는 수목(樹木), 가옥(家屋), 역사도 (力士圖) 등이 부분적(部分的)으로 남아 있다. 묵서명(墨書銘)의 기미년(己未年)은 479, 539, 599의 세 년대(年代) 중의 하나이겠는데 479년(年) 아니면 539년(年)일 가능성(可能性)이 크다.

이 벽화고분은 1971년에 발견된 어숙묘(於宿墓)와 함께 신라최북경(新羅最北境), 소백산맥(小白山脈)의 남(南)쪽에 자리잡고 있으며 비록 그것이 신라영토(新羅領土)라 하더라도 고구려(高句麗)의 벽화분전통(壁畵墳傳統)의 영향(影響)에서 생긴 문화접경지(文化接境地)의 문화산물(文化産物)이라고 보아야 할 것 같다. 사적(史蹟)으로 지정(指定)된 면적(面積)은 54,143평(坪)이며 이 고분(古墳)과 동시(同時)에 축조(築造)되었다고 생각되는 뒤 비봉산(飛鳳山) 정상(頂上)의 산성(山城)도 포함(包含)되었다.




비봉산 정상(높이 431m)에서 서남쪽으로 뻗어 내려온 구릉의 경사면에 있는 무덤

순흥읍내리벽화고분

순흥읍내리벽화고분

순흥읍내리벽화고분

순흥읍내리벽화고분

서측벽수목도

고분내부(정면-동벽)

선도서벽의역사상과벽서

북벽서측의연화문과괴운문

연도동측벽반나인물상

고분 오르는 계단

모형 고분

복원된 벽화1

복원된 벽화2

복원된 벽화3

복원된 벽화4

전면

정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