읍성이란 군이나 현의 주민을 보호하고, 군사적·행정적인 기능을 함께 하는 성을 말한다.
신라 신문왕(재위 681∼692) 때 지방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남원지역에 소경(지방도시)을 설치하였고, 691년에 쌓은 네모난 형태의 평지 읍성이다.
1597년에는 왜군의 침입에 대비하기 위해, 성을 크게 다시 쌓고 수리하여 담을 높였다. 그해 8월 조·명연합군과 왜군 사이에 전투가 벌어져 왜군에게 크게 패했고, 이때 싸우다 죽은 군인과 주민들의 무덤이 만인의총이다. 1894년 동학농민전쟁 때 많이 허물어져 약간의 성터 모습만 남아있다.
돌축대의 길이는 2.4km가 넘고, 높이 약 4m에 이르며 성 안에는 70여 개의 우물이 있었다. 성 내에는 남북과 동서로 직선대로가 교차하고, 그 사이에도 너비가 좁은 직선도로가 교차하여 바둑판 모양의 도로구성을 볼 수 있다. 근대에 들어와 도시가 들어서며 성곽은 대부분 헐려나갔으나, 시내 중심부의 도로는 지금도 바둑판 모양으로 되어 있어, 과거 성내의 가로 구성의 흔적을 보이고 있다.
조선시대 읍성의 가장 전형적인 구조를 하고 있으며, 규모가 크고 우리나라 성곽에서는 거의 보이지 않는 네모 반듯한 구성과 성내의 가로가 직선으로 구성된 점이 흥미롭다.
전문설명
남원성은 통일신라< 統一新羅 > 신문왕< 神文王 >때 소경< 小京 >을 설치하고 동왕< 同王 > 11년(691)에 쌓은 것이다. 사방에 문을 가진 평지의 읍성< 邑城 >으로서 정유재란< 丁酉再亂 >(1597)때에 격렬한 전투로 파괴되었다. 조선< 朝鮮 > 숙종< 肅宗 > 18년(1692) 개축하였으나 고종< 高宗 > 31년(1894) 동학혁명< 東學革命 >때 많이 허물어져 지금은 약간의 성터 모습만 남아 있다. 규모는 석축< 石築 >의 길이가 8천척< 八天尺 >이 넘고 높이가 13척에다 성안에는 70여개의 우물이 있었다.
성곽전경 성벽 성내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