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선이란 바늘에 실을 꿰어 꿰맴을 말하는 것으로, 복식의 전반이라 할 수 있다. 복식이란 의복과 장식을 총칭하므로 그 범위는 바늘에 실을 꿰어 바느질로써 만들 수 있는 모든 것을 포함한다. 이러한 침선기술과 그 기술을 가진 사람을 침선장이라 한다.
사람이 바느질을 시작한 것은 역사 이전부터였다고 한다. 지금의 바늘과 흡사한 신라시대 금속제가 발견되었고, 삼국시대에 이미 상당한 수준의 침선이 고구려벽화나『삼국사기』를 통해 잘 나타나 있다. 고려시대와 조선시대로 이어지면서 더욱 발달하여 오늘날까지 전승되고 있다.
침선에 필요한 용구로는 옷감, 바늘, 실, 실패, 골무, 가위, 자, 인두, 인두판, 다리미, 다리미판, 못바늘 등이다. 옷감으로는 주로 비단, 무명, 모시, 마 등이 쓰인다. 실은 무명실을 많이 사용하며, 실의 선택은 옷감의 재질, 색상, 두께 등에 따라 달라진다. 바느질 방법은 기초적인 감침질과 홈질, 박음질, 상침질, 휘갑치기, 사뜨기, 공그리기 등으로 옷의 부위에 따라 필요한 바느질법을 사용한다. 계절변화에 따라 여름에는 홑으로 솔기를 가늘게 바느질하고, 봄·가을에는 겹으로 바느질하며, 겨울에는 솜을 넣어 따뜻한 옷을 만든다.
예전에는 여자면 누구나 침선을 할 줄 알아야만 했기에 집안에서 바느질법을 익히고 솜씨를 전수받아서 침선법이 계속 이어져왔다. 궁중에서도 침방이 있어 기법이 전승된 때도 있었으나 이제는 전승자가 다 작고하고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계승해왔는데 이제는 그것마저 불가능하게 되었다. 현재는 중요무형문화재 침선장 기능보유자인 정정완 씨가 우리의 고유한 침선기법을 전승하고 있다.
전문설명
침선이란 바늘에 실을 꿰어 꿰맴을 말하는 것으로 복식 전반을 만드는 일이라고 할 수 있다. 그것은 옷을 마름질하여 꿰매는 바느질일 뿐만 아니라, 거기에 더 아름답게 하기 위하여 어울리는 무늬에 수를 놓는 것, 또는 옷에 더하여 장식하는 노리개 등을 만드는 것이다.
사람이 바느질을 한 것은 역사 이전부터였다고 생각되며 이러한 바느질로 증명이 된다. 그러나 이 바늘이 옷감을 꿰매기 위한 것이었는지는 알 수 없다. 그 후의 유물로서 지금의 바늘과 비슷한 신라시대 금속제품이 발굴되었는데, 옷을 꿰매는 바늘이 틀림없을 것이다. 고구려벽화를 통하여 보면 삼국시대에는 높은 수준의 침선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고려시대와 조선시대로 접어들면서 문화의 발달과 더불어 침선도 발전하였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장식요소도 늘어나고 구성의 변화도 다양해졌다.
조선조에서는 계절에 따라서 옷감과 바느질 방법이 달라져서 오묘한 아름다움을 지녔다. 겨울에는 솜을 넣어 따뜻한 옷을 지었고 봄 가을이 되면 겹으로 하되 이른 봄 늦가을에는 다듬이질 한 옷감으로 바느질하고 늦은 봄 이른 가을에는 쟁친 옷감으로 바느질하였다. 여름이 되면 생올로 된 옷감에 홑으로 솔기를 가늘게 바느질하였다. 지금은 한복이 없어져가고 양장화되었지만 아직도 의례용으로는 우리 전통 의복을 고수하고 있어 다행한 일이다.
예전에는 여자면 누구나 침선을 할 줄 알아야만 했다. 따라서 여자들은 집안에서 바느질법을 익히고 솜씨를 전수받아 침선법은 계속 이어져 내려왔다. 우리나라의 침선기법은 궁중에서는 침방이 있어 기법이 전승된 때도 있었으나 이제는 전승자가 다 작고하고 일반적으로는 가정에서 계승하여 온 것이었는데 이제는 그것마저도 불가능하게 되었다. 현재 침선장으로 정정완여사가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을 받고 후배 양성에 전념하고 있다.
침선장-구혜자 침선장-구혜자 침선장-구혜자 침선장의제작모습 침선장전수장면 시침질 침선장전수장면 침선장의제작모습 마무리작업 각종침선도구 자수활옷 모시중치막 모시저고리,바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