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 목 | 국가무형문화재 제86-1호 |
|
명 칭 | 문배주(문배酒) |
|
분 류 | 무형문화재 / 전통 생활관습 / 식생활 |
|
수량/면적 | 개인 |
|
지 정 일 | 1986.11.01 |
|
소 재 지 | 경기도 김포시 |
|
시 대 | 기타 |
|
소 유 자 | 이기춘 |
|
관 리 자 | 이기춘 |
|
|
일반설명 |
문배주는 평안도 지방에서 전승되어 오는 술로, 술의 향기가 문배나무의 과실에서 풍기는 향기와 같아 붙여진 이름이다.
문배주는 해방전에는 평양 대동강 유역의 석회암층에서 솟아나는 지하수를 사용하였다고 한다. 원료는 밀·좁쌀·수수이며, 누룩의 주원료는 밀이다. 술의 색은 엷은 황갈색을 띠며 문배향이 강하고, 알코올 도수는 본래 40도 정도이지만 증류 및 숙성이 끝난 문배주는 48.1도에 달하므로, 이 술은 오래 저장이 가능하다. 보통 6개월∼1년 동안 숙성시켜 저장하는데 문배나무의 과실을 전혀 사용하지 않고도 문배향을 풍기는 특징이 있다.
현재 문배주는 기능보유자인 이기춘에 의해 그 명맥이 이어지고 있다.
전문설명
문배주는 평양지방 근처에서 빚은 소주로 그 향기가 문배나무의 과실에서 풍기는 향기와 같다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문배나무 과실을 전혀 사용하지 않았는데도 문배향이 풍기는 데에 그 특징이 있다.
문배주는 해방전에는 평양 대동강 유역의 석회암층에서 솟아나는 지하수를 사용하였다고 한다. 원료는 밀, 좁쌀, 수수이며, 누룩의 주원료는 밀이다. 주질은 엷은 황갈색을 띠며 문배향이 강하고, 알코올 도수는 본래 40도 정도이지만 증류 및 숙성이 끝난 문배주는 48.1도에 달하므로, 이 술은 오래 저장이 가능하다.
문배주의 기능은 부친인 故 이경찬에게서 전수받아 현재 기능보유자인 이기춘에 의해 그 명맥이 이어지고 있다.
향토술담그기(문배주) 향토술담그기(문배주) 향토술담그기(문배주) 향토술담그기(문배주) 향토술담그기(문배주) 술내리기(증류)
|
|
//////////////////////////////////////////////////////////////////////////////////////////////////////////////////////
종 목 | 국가무형문화재 제86-2호 |
|
명 칭 | 면천두견주(沔川杜鵑酒) |
|
분 류 | 무형문화재 / 전통 생활관습 / 식생활 |
|
수량/면적 | 기타 |
|
지 정 일 | 1986.11.01 |
|
소 재 지 | 충청남도 당진시 |
|
시 대 | 기타 |
|
소 유 자 | (사)국가무형문화재 제82-2호 면천두견주보존회 |
|
관 리 자 | (사)국가무형문화재 제82-2호 면천두견주보존회 |
|
|
일반설명 |
진달래 꽃잎을 섞어 담는 향기나는 술로 진달래꽃을 두견화라고도 하므로 두견주라고 부른다.
두견주는 고려의 개국공신인 복지겸(卜智謙)에 얽힌 전설이 있다. 그가 병이 들어 온갖 좋다는 약을 다 써도 병이 낫지 않자, 그의 어린 딸이 아미산에 올라 100일 기도를 드렸다. 신선이 나타나 이르기를 아미산에 활짝 핀 진달래꽃으로 술을 빚되 반드시 안샘(지금 면천초등학교 뒤에 있는 우물)의 물로 빚어 100일 후에 마시고 뜰에 2그루의 은행나무를 심어 정성을 드려야만 효과가 있다고 하였다. 딸이 그대로 하였더니 아버지의 병이 나았다고 한다.
술의 색은 연한 황갈색이고 단맛이 나며 점성이 있는데 신맛과 누룩냄새가 거의 없고 진달래 향기가 일품이다. 알코올 도수는 21도 정도이다.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피로회복에도 효과가 있으며, 특히 콜레스테롤을 낮추어 주어 성인병 예방에도 효과가 있다고 한다. 하지만 진달래꽃의 꽃술에는 독성분이 있으므로 술을 담글 때 꽃술이 섞여 들어가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
전통민속주 제조기능을 보존, 전승하도록 하기 위해 면천의 두견주 제조기능을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하였다.
전문설명
두견주는 고려조 때 전래된 술로 옛부터 "백약지장(百藥之長)"이라 일컬어 오고 있으며, 그 기록은 『규합총서』『산림경제』『임원십육지』『동국세시기』『경도잡지』등에 잘 나타나 있다.
두견주는 정월 첫 해일(亥日)인 상해일에서 3월 진달래꽃이 만개될 때까지 술밑이 만들어지고 2차에 걸쳐 담금한 다음 2~3주간의 발효·숙성기간을 두어 만들어진 매우 정성이 깃들은 고급약주로 두견주 기능은 박승규의 증조모→박성흥(1895년생)→박천성(1913년생)→박승규(1937년생)에게 전승되었으며, 빚은 장소는 충남 면천면 성상리 안샘근방이다.
향토술담그기(면천두견주) 향토술담그기(면천두견주) 향토술담그기(면천두견주) 향토술담그기(면천두견주) 향토술담그기(면천두견주) 향토술담그기(면천두견주) 향토술담그기(면천두견주) 향토술담그기(면천두견주)
|
|
////////////////////////////////////////////////////////////////////////////////////////////////////////////////////
종 목 | 국가무형문화재 제86-3호 |
|
명 칭 | 경주교동법주(慶州校洞法酒) |
|
분 류 | 무형문화재 / 전통 생활관습 / 식생활 |
|
수량/면적 | 개인 |
|
지 정 일 | 1986.11.01 |
|
소 재 지 | 경상북도 경주시 |
|
시 대 | 조선시대 |
|
소 유 자 | 배영신 |
|
관 리 자 | 배영신 |
|
|
일반설명 |
경북 경주시 교동에 있는 최부자 집에서 대대로 빚어 온 전통있는 술이다. 경주법주를 처음 만든 사람은 최국준으로, 그는 조선 숙종(재위 1674∼1720) 때 궁중음식을 관장하는 사옹원(司饔院)의 참봉을 지냈다고 한다. 법주를 만들 때에는 최씨 집안 마당의 우물물을 쓰는데, 물의 양과 온도가 사계절 내내 거의 일정하며 옛부터 물맛이 좋기로 이름이 나 있다.
술을 빚을 때는 이 물을 일단 팔팔 끓인 다음 식혀서 사용한다. 법주의 주원료는 토종 찹쌀이고 물과 누룩과 쌀로 빚어지는 순수한 곡주로서, 색은 밝고 투명한 미황색을 띠며, 곡주 특유의 향기와 단맛, 약간의 신맛을 지니고 있다. 알코올 도수는 16∼18도이다. 제조방법의 가장 큰 특징은 밑술을 먼저 빚은 다음 이를 바탕으로 제2차 발효과정을 거쳐서 원래의 술을 숙성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제조하는데 약 100일 정도가 소요되며 온도만 주의하면 1년 이상 보관이 가능하다고 한다.
현재 기능보유자인 배영신은 최국준의 8대손과 결혼하여 약 40여 년 동안 법주를 빚어오며 기능전수에 전념하고 있다.
전문설명
경주 교동법주는 경주시 교동에 있는 최부자집에서 누대에 걸쳐 빚어 온 비주(秘酒)이다. 경주법주를 처음 만든 이는 최국준이라는 분으로 조선조 숙종때 궁중음식을 관장하는 사옹원(司甕院)의 참봉을 지냈다고 한다.
법주는 경주시 교동에 있는 집안 마당의 우물물이 쓰이며 내부는 자연석의 재래식 우물로 사철 내내 수량과 수온이 거의 일정하며 옛부터 물맛이 좋기로 이름이 나 있다. 술을 빚을 때는 이 물을 일단 팔팔 끓인 다음 식혀서 사용한다. 법주의 주원료는 토종 찹쌀이고 물과 누룩과 쌀로 빚어지는 순수한 곡주로서, 밑술을 먼저 빚은 다음 이를 바탕으로 제2차 발효과정을 거쳐서 원래의 술을 숙성시켜 만든다.
현재 기능보유자인 배영신은 최국준의 8대손과 결혼하여 약40여 년동안 법주를 빚어오며 기능전수에 전념하고 있다.
향토술담그기(경주교동법주) 향토술담그기(경주교동법주) 향토술담그기(경주교동법주) 향토술담그기(경주교동법주) 향토술담그기(경주교동법주) 향토술담그기(경주교동법주) 향토술담그기(경주교동법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