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목장은 나무를 재목으로 하여 집짓는 일에서 재목을 마름질하고 다듬는 기술설계는 물론 공사의 감리까지 겸하는 목수로서 궁궐, 사찰, 군영시설 등을 건축하는 도편수로 지칭하기도 한다. 대목장은 문짝, 난간 등 소규모의 목공일을 맡아 하는 소목장과 구분한 데서 나온 명칭이며, 와장·드잡이·석장·미장이·단청장 등과 힘을 합하여 집의 완성까지 모두 책임진다. 즉 현대의 건축가라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는 예로부터 목조건축이 발달하여 궁궐과 사찰건물이 모두 목조였다. 따라서 목수에 주어진 벼슬 또한 상당하였다. 통일신라의 관직을 보면 목척(木尺)이 70인이라 하였는데, 그 가운데 상당수가 전문직으로서의 목수로 보인다. 고려시대에는 목업에 벼슬이 주어졌고 조선시대에는 60인의 목장을 선공감에 두었고, 세종(재위 1418∼1450) 때 서울 남대문 재건기록에 의하면 대목이 정5품이었다. 그러나 조선 후기에 이르러 목수에게 벼슬을 주는 제도가 없어졌다. 오늘날에는 사찰이나 개인의 집을 목조로 짓는 것으로 기술의 명맥이 전수되어 오는 형편이다.
대목장은 그 기법이 엄격히 전승되기 때문에 기문(技門)이 형성되어 있다. 기문은 기술로서 한 가문이 만들어지는 것인데, 기문에서의 대목장은 절대권위를 누린다. 대목장은 능력에 따라 새로운 기법이 도입되기도 하고 기능이 향상되기도 하며 새로운 문물을 받아들이기도 한다.
대목장은 전통적인 공예기술로서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고, 대목장 기능보유자로는 경복궁을 중건할 때 활약하였던 도편수 최원식-조원재-이광규로 이어지는 기문의 계승자로 신응수 씨와 김덕희·김중희 계열의 전흥수와 최기영 씨, 그리고 조원재·배희한으로 이어지는 고택영 씨가 그 맥을 이어가고 있다.
전문설명
대목은 궁궐이나 불전(佛殿), 가옥과 같은 것을 축조하는 목수를 말한다.
나라에서 큰 역사가 시작되면 도감(都監)이 열린다. 도제조(都提調)를 비롯하여 제조(提調)와 감역관(監役官)들이 정해지면 지유(指諭)에게 명하여 행수(行首)들로 하여금 목장(木匠), 석장(石匠), 야장(冶匠), 와장(瓦匠), 화원(畵員)들을 동원 조직하게 한다.
목조건축물일 경우는 목장이 위주가 되는데 목장은 국가에 예속된 사람들과 민간에서 차출된 기능인들로 구성되며 전문에 따라 분야를 맡는다. 조선조에서의 조직은 도변수(都邊首), 편수 (片手)를 정점으로 삼는다. 도대목(都大木)이라고도 하는데 일을 총괄하는 우두머리로 지을 집의 법식(法式)을 정하고 맡을 일의 분담과 기법을 지도하는 소임을 감당한다. 현대의 건축가라 할 수 있다.
신라에 초빙된 백제의 아비지(阿非知)도 그런 건축가였다. 신라의 대소장인을 동원하여 황룡사구층탑(皇龍寺九層塔)을 짓는데 현존하는 유지(遺址)에서 보면 사용된 기와마저도 백제의 특성을 갖고 있다. 아비지가 모든 분야를 관장하였다는 증거가 된다. 이런 도대목의 능력은 후대에도 계승된다.
서울의 남대문을 비롯한 여러 건축물의 상량문(上樑文)이나 묵서명(墨書銘)에 기록된 내용에서 당시 대목들의 조직과 이름을 읽을 수 있는데 남대문의 경우는 좌우의 부변수(副邊首), 부사목(副司木)을 도편수가 거느렸다. 부편수들은 치목(治木)과 조립(組立)을 각기 분담하는데 치목(治木)에서는 목재의 벌목과 운반, 제재까지 관여하고 조립에서 방의 수장과 두껍닫이 설치까지 관장한다. 전공정을 두 분야에서 다 맡아 처리하는 방식이다. 이를 위하여 부편수들은 각 분야의 전문집단을 통솔한다. 제재하는 일만 도맡은 기거장(岐鋸匠)이나 큰 나무를 다듬어내는 선장(船匠) 등도 그의 수하에 든다. 도목수는 석수(石手), 야장(冶匠), 소목장(小木匠), 이장(泥匠), 와장(瓦匠), 도배장(途褙匠), 화원(畵員)까지도 지휘한다. 대목들이 구축해주는 뼈대가 진척되어야 시공이 가능하기 때문에 일은 저절로 그렇게밖에 진행되지 않을 수 없다.
이와 같은 건축의 공역은 민간에서도 이루어진다. 마을에서 소문난 대목(大木)을 초빙한다. 능력있다고 평가된 기문(技門)의 소속 도대목이 그 일을 맡아 조직을 단출하게 해서 일을 했다.
대목장 보유자로 인정된 고 배희한과 신응수는 각기의 특질을 지녔다. 배옹(裵翁)은 사가(私家)의 일을 차근히 하는 데 특장이 있는 분이고 신응수는 도대목(都大木)으로서 큰 조직을 운영하고 지휘하는 능력을 지닌 사람이다. 배옹이 섬세하고 새틋한 작품을 차분하게 완성시킨다면 신옹은 수십 명의 조직을 가동시켜 불국사(佛國寺) 대웅전(大雄殿)의 일부를 조성하는 등 대규모 공역을 감당한다.
마루도리를얹어끼울때달구질장면 파련각장식조각 마름둥굴이양면을깎아마름질하기 화반을깎기위해초상그리기 다포집의포맞춤작업 호롱틀일 먹칼질 다포집의포맞춤 환도리다듬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