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도씻김굿은 죽은 이의 영혼이 이승에서 풀지 못한 원한을 풀고서 즐겁고 편안한 세계로 갈 수 있도록 기원하는 진도지역의 굿으로, 원한을 씻어준다해서 씻김굿이라 한다.
씻김굿은 불교적인 성격이 강하기 때문에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이며, 시간과 장소에 따라 굿의 내용이 다르다. 초상이 났을 때 시체 옆에서 직접하는 곽머리씻김굿과 죽은지 1년 되는 날 밤에 하는 '소상씻김굿', 죽은지 2년 되는 날 밤에 하는 '대상씻김굿', 집안에 병자가 있거나 좋지 않은 일들이 자주 일어날 때 벌이는 '날받이씻김굿', 임시로 무덤을 만든 후 묘를 만들 때(초분이장 때) 하는 씻김굿, 집안의 경사에 대해 조상의 은혜를 기리며 하는 '영화씻김굿', 물에 빠져 죽은 사람의 한을 풀어주는 '넋건지기굿', 총각이나 처녀로 죽은 사람들끼리 혼인을 시켜주는 '저승혼사굿' 등이 있다.
씻김굿의 순서는 조왕의 하강일(下降日)이거나 도회(都會)일 때 하는 조왕반과 조상께 굿하는 것을 알리는 안땅, 길에서 죽어 떠도는 혼을 불러들이는 '혼맞이', 죽은 사람의 혼을 불러들이는 '초가망석', 불러들인 영혼을 즐겁게 해주는 '처올리기', 천연두신인 마마신을 불러 대접하는 경우와 죽은 사람의 이승 친구들의 영혼을 불러 즐겁게 해주는 '손님굿', 불교적인 '제석굿', 원한을 상징하는 고를 풀어가며 영혼을 달래주는 '고풀이', 시신으로서의 영돈을 마는 '영돈놀이', 맑은 물로 깨끗이 씻어 즐겁고 편안한 세계로 가도록 기원하는 '이슬털기', 영돈 위의 넋을 끄집어내어 손에 들고 십왕풀이를 하는 '왕풀이', 이승에서 맺힌 원한을 모두 풀어주는 '넋풀이', 억울한 원한의 넋두리를 풀어주는 '동갑풀이', 약을 구하지 못해 죽은 한을 풀어주는 '약풀이', 죽은 사람의 한이 풀어졌는가를 보는 '넋올리기', 가족이나 친척들이 손대를 잡으면 죽은 사람의 혼이 내려와 원한을 말하는 '손대잡이', 저승의 육갑을 풀어주는 '희설', 좋은 세상으로 가는 길을 깨끗이 닦아주는 '길닦음', 죽은 사람의 혼을 공손히 보내는 '종촌'으로 되어 있다.
진도씻김굿의 음악은 육자배기목(시나위목)을 중심으로 피리와 대금, 해금, 장고, 징으로 구성된 삼현육각반주로 진행된다. 무당은 흰색 옷에 다홍색 띠를 걸치는 정도의 소박한 옷차림으로 불교적 성격이 짙은 승복과 비슷하며 죽은 사람의 한을 풀어주는 지전(紙錢)춤을 춘다. 노래는 홀로 부르는 통절(通節)형식과 선소리를 메기고 뒷소리로 받는 장절(章節)형식으로 되어 있으며, 선율의 부침새와 여러 가지 세련된 목구성을 구사해 매우 흥겹고 아름답다.
진도씻김굿은 죽은 사람 뿐 아니라 산 사람의 무사함을 기원하는 불교적 성격을 띠고 있는 굿으로 춤이나 음악에서 예술적 요소가 뛰어나고 자료가치가 또한 크다.
전문설명
진도에서 행해지고 있는 씻김굿은 무제(巫祭)의 일종으로 망자가 이승에서 풀지 못해 맺힌 원한을 풀어주어 극락왕생하도록 기원하는 굿이다. 그러나 장소와 시일에 따라 굿의 내용이 달라질 수도 있다.
씻김굿의 종류로는, 초상이 났을 때 시신 옆에서 직접 하는 곽머리씻김굿, 소상날 밤에 하는 소상씻김굿, 대상날 밤에 하는 대상씻김굿이 있다. 집안에 우환이 있거나 좋지 않은 일들이 자주 일어날 때, 또는 곽머리 씻김이나 소상, 대상 씻김을 하지 못한 집에서 따로 날을 받아서 하는 날받이씻김굿, 초분을 했다가 묘를 쓸 때 행하는 초분이장 때의 씻김굿, 집안의 경사를 조상이 돌봐준 은덕이라 생각하고 조상 모두를 맞이하여 하는 영화씻김굿, 익사자의 넋을 건져 한(恨)을 풀어주는 넋건지기굿, 총각이나 처녀로 죽은 사람들끼리 사후 혼인을 시켜주는 저승혼사굿 등이 있다.
이러한 굿의 내용은 굿하는 날이 조왕 하강일이거나 조왕도회일 때 한해서 하는 조왕반과 조상께 굿하는 것을 알리는 안땅, 객사한 망자의 씻김굿을 할 때만 하는 혼맞이, 영혼들을 불러들이는 초가망석, 불러들인 영혼을 즐겁게 해주는 처올리기, 무서운 병인 마마신을 불러서 대접하는 경우와 망자가 이승에서 친했던 친구들의 영혼을 불러들여 즐겁게 해주는 손님굿, 불교적인 제석굿, 한과 원한을 의미하는 고를 풀어가면서 영혼을 달래주는 고풀이, 시신을 뜻하는 영돈을 마는 영돈말이, 맑은 물로 깨끗이 씻어 극락왕생하도록 기원하는 이슬털기, 넋을 끄집어내어 손에 들고 십왕풀이를 하는 대목인 왕풀이, 이승에서 맺힌 원한을 모두 풀어주는 넋풀이, 억울한 원한의 넋두리를 풀어주는 동갑풀이, 약을 못 구해 죽은 한을 풀어주는 약풀이, 망자의 맺힌 한이 풀어졌는가를 보는 넋올리기, 망자의 가족들이 손대를 잡고 있으면 망자혼이 내려 이승에 맺혔던 원한을 말한다는 손대잡이, 저승의 육갑을 풀어주는 희설, 극락으로 가는 길을 깨끗이 닦아주는 길닦음, 혼을 배송하는 종천 등의 내용으로 되어 있다.
진도 무속음악은 무속의 선율인 육자배기목(시나위목)이 주가 되고, 무가의 반주악기는 피리, 대금, 해금, 장고, 징으로 편성된 삼현육각(三絃六角)으로 되어 있으나 요즘에는 가야금, 아쟁, 북 등을 쓰기도 하고, 때로는 정주나 바라를 보조악기로 쓰는 수도 있다.
장단은 흘림, 대학놀이, 진양조, 삼장개비, 마음조시, 선부리, 굿거리, 중중모리, 떵떵이, 살풀이, 중모리, 자진모리, 무장구 등이며, 무가의 형식은 홀로 불러가는 통절형식(通節形式)과 선소리로 메기고 뒷소리로 받는 장절형식(章節形式)으로 되어 있으며, 선율의 부침새와 여러가지 세련된 목구성을 구사하여 매우 흥겹고 아름다운 음악으로 되어 있다.
또한 무용에 있어서는 다른 지방에 비하여 무복이 백색 바탕에 홍색 띠를 하는 정도로 소박하다. 춤은 망자의 한을 풀어주는 지전(紙錢)춤을 위주로 하고 있으며, 다른 무무와는 달리 발을 올리거나 뛰는 동작은 없고 제자리에 정지한 동작으로 감정을 맺고, 그것을 적절하게 얼었다가 우아하게 푸는 것이 특징이다.
진도씻김굿 손님굿 고풀이 지전춤 영돈말이 영돈말이 이술털이 넋올리기 길닦기 진도씻김굿 길닦기(극락으로가는길을깨끗이닦아주는대목) 넋올리기(망자의맺힌한이풀어졌는가를보는대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