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도들노래란 전라남도 진도지방의 농부들이 농사일을 할 때 부르는 노래를 가리키는데 크게 논일 노래와 밭일 노래로 이루어진다.
모판에서 모를 찔 때에는 모뜨는 소리를 부르고, 논에 모를 심을 때에는 못소리를 부르며 논에서 김을 맬 때에는 절로소리를 부른다. 김매기가 끝나고 농부들이 마을에 들어올 때에는 길꼬냉이를 부른다. 여흥으로 진도아리랑을 부르기도 한다. 농부들이 들일을 하며 노래를 부르는 것은 예로부터 어느 고장에서나 볼 수 있었으나 전라도 서남지역의 노래는 특히 그 종류가 많고 음악성도 뛰어나다. 또한 진도군의 논매는 소리는 전라남도의 다른 지방에 비해 단순한데, 이는 토질이 비옥하여 호미로 논을 맬 필요없이 손으로 매면 족하기 때문이다. 밭일 노래는 콩밭을 매며 부르는 콩밭노래, 목화밭 일을 하면서 부르는 미영밭노래가 있다.
남도들노래는 향토색이 짙고 가락이 매우 흥겨운 노래이다.
전문설명 남도들노래란 호남지방의 농요라는 뜻이며, 남도들노래 가운데 전라남도 진도군 지산면의 농요가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농부들이 들일을 하며 농요를 부르는 것은 예로부터 어느 고장에서나 볼 수 있으나 특히 전라도 서남지역의 농요는 그 종류가 많고 음악성도 뛰어나다.
남도들노래의 고장, 진도군 지산면에서는 논농사에 농부들이 많은 농요를 부른다. 농부들이 모판에서 모를 찔 때에는 모뜨는 소리를 부르고 논에 모를 심을 때에는 못소리를 부르며 논에서 김을 맬 때에는 절로소리를 부르며 김매기가 끝나고 농부들이 마을에 들어올 때에는 길꼬냉이를 부른다.
모뜨는 소리에는 한배에 따라 느린 한배의 긴 모뜨는 소리와 빠른 한배의 잦은 모뜨는 소리가 있다. 봄철에 모자리(모판)에다 씨를 뿌려 자라게 되면 이것을 떠서(뽑아서) 논에 심게 되는데 먼저 여러 농부들이 모판에 달라붙어 모를 뜬다. 이 때 소리를 메기고 받는다. 처음에는 중모리장단으로 긴 모뜨는 소리를 부른다. 선소리꾼이 두 장단으로 앞소리를 메기면 농부들이 모를 찌며 여럿이 함께 두 장단으로 뒷소리를 여기야 허허 여허 헤라/ 머한난 디요 하고 받는다. 이 소리의 선율은 육자배기토리로 구슬프게 들린다. 끝판에는 잦은 모뜨는 소리로 몰아간다. 도드리장단 두 장단을 메기면 두 장단을 '에헤야 여기여라/ 머난디가 산안지라' 하고 받는다. 잦은 모뜨는 소리는 경토리(경조, 京調)에 가까워서 밝고 흥겹다. 모판에 모를 떠서 논에 여기저기 던져놓고 여러 농부들이 늘어서서 못방구(모북)를 치고 못소리(상사소리)를 메기고 받으며 모를 심는다. 처음에는 긴못소리를 부른다. 선소리꾼이 못방구를 치며 중모리 두 장단에 앞소리를 메기면 여러 농부들이 모를 심으며 다 함께 중모리 두 장단에 뒷소리를 '여기야 허허 여- 헤라/ 상사로세' 하고 받는다. 긴못소리는 육자배기토리로 되어 있는데 구슬프게 들린다. 끝판에는 자진모리를 자진모리장단으로 몰아간다. 두 장단을 메기면 두 장단에 '어라 뒤여 저라 뒤여/상사로세' 하고 뒷소리를 받는다. 뒷소리 또한 육자배기토리로 되어 있는데 흥겨운 느낌을 준다.
모가 자라면 여러 농부들이 풍장을 치고 절로소리를 부르며 김을 맨다. 처음에는 불규칙한 박자로 된 진양장단으로 경토리에 육자배기토리가 섞인 긴 절로소리를 메기고 받으며, 중간에는 단중모리 장단에 육자배기토리로 된 중 절로소리를 메기고 받고, 끝판에는 세마치장단에 경토리로 된 잦은 절로소리를 메기고 받는다.
마지막에 농부들이 마을로 들어올 때에는 상머슴을 소에 태우고 풍장을 치며 느린 세마치장단에 경토리로 된 길꼬냉이를 흥겹게 메기고 받으며 들어온다.
남도들노래는 향토색이 짙고 가락이 매우 흥겨운 농요이다.
논매는소리 남도들노래 절로소리 길꼬냉이소리 남도들노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