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진왜란(1592) 때 왜군과 싸우다가 장렬히 전사한 700명의 병사들을 위한 무덤과 사당이다.
조헌(1544∼1592)은 의병장으로, 문과에 급제한 후 호조좌랑, 예조좌랑, 감찰을 거쳐 보은현감으로 나갔으나, 여러 번 재등용되었는데 사직하고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옥천에서 1,700여 명의 의병을 일으켜 영규대사와 합세하여 청주를 탈환하였다. 이어 금산에서 왜군을 막기 위해 남은 군사 700명과 함께 금산전투에서 장렬히 싸우다 전사하였다. 시호는 문열(文烈)이다.
그들이 전사한 후 조헌 선생의 제자인 박정량과 전승업이 시체를 거두어 무덤을 만들었는데, 이것이 칠백의총이다. 조선 선조 36년(1603)에 ‘중봉조헌선생일군순의비’가 세워지고, 인조 25년(1647)에 종용사를 세워 700의사의 위패를 모셨다.
일제시대에 일본인들이 의총을 허물고 순의비를 폭파했으나, 금산군 사람들이 비석 조각을 감추어 보존하였다. 1963년, 국가에서는 묘역을 확장하고 1970년에 기념관·순의탑을 새로 지었다.
전문설명
칠백의총은 임진왜란(壬辰倭亂)때 왜군과 싸우다가 장렬히 순절한 700의사의 무덤이다.
1592년(선조(宣祖) 25) 8월 1일 조헌(趙憲)의 의병과 영규(靈圭)의 승병이 합군하여 청주성(淸州城)을 수복하고, 이어 8월 18일 남은 의병 700명을 인솔하여 금산으로 진격, 고바야가와(小早川隆景)의 막강한 왜군과 혈전을 벌였으나 중과부적으로 전원이 순절하였다. 이 해 9월 왜군이 퇴각한 전장터에 조헌의 제자 박정량(朴廷亮) 등이 달려가 모든 유골을 거두어 하나의 큰 무덤을 만들고, 그 지방의 백성들이 해마다 시향(時享)을 받들어 제사를 지냈다.
이 때 순절한 의사 중 이름이 드러난 사람은 삼봉(參奉) 이광륜(李光輪), 봉사(奉事) 임정식(任廷式), 사인(士人) 김절(金節), 이여(李勵), 봉사 곽자방(郭自防), 만호(萬戶) 변계온(邊繼溫), 현감(縣監) 양응춘(楊應春), 무인(武人) 김헌(金獻), 강인서(姜仁恕), 박봉서(朴鳳瑞), 김희철(金希哲), 정원복(鄭元福), 이인현(李仁賢), 김인남(金仁男), 이양립(李養立), 황삼양(黃三讓), 박춘년(朴春年), 한기(韓琦), 박찬(朴贊), 사인 박사진(朴士振), 김선복(金善復), 복응길(卜應吉), 신경일(申慶一), 서응시(徐應時), 윤여익(尹汝翼), 김성원(金聲遠), 박혼(朴渾), 조경남(趙敬男), 전충남(全忠男), 고명원(高明遠), 강몽조(姜夢祖) 등이다.
1603년(선조 36) 중봉조헌선생일군순의비(重峯趙憲先生一軍殉義碑)가 세워졌다. 1647년(인조(仁祖) 25) 종용사(從容祠)를 세워 700의사의 위패를 모시고, 1663년(현종 4) 「종용사(從容祠)」라는 사액과 4결(結) 토지를 내려 춘추제향을 쓰게 하였다. 또 이 해에 고경명(高敬命), 조헌, 유팽노(柳彭老) 등 임진왜란때 금산에서 전사한 의병장을 제향하기 위하여 세워진 순의단(殉義壇)이 사액되었다. 이 순의단이 설치되면서부터 각 지방 수령(守令)과 유생(儒生)의 성금과 의연금이 답지하여 옆에 종용당서원(從容堂書院)도 세워졌다. 그 뒤 일제 강점기인 1940년에는 일제가 진화사(進化祠)를 만들고, 사우(祠宇)와 의총을 허물고 일군순의비를 폭파한 다음 제토(祭土)를 강제로 빼앗아 팔아 버렸다. 광복후 1952년에 금산군민이 성금을 모아 의총과 종용사를 재건하였다. 1970년 국가에서는 경역을 2만 2,800평으로 확장하고 종용사, 기념관, 순의탑 등을 새로 지어 사적(史蹟)으로 지정(指定)하였다.
칠백의총 칠백의총 칠백의총 칠백의총전경 칠백의총묘소 칠백의총종용사 금산혈전순절도 칠백의총 칠백의사순의탑 순의비 기념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