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흥산성 서쪽 시냇가에 있는 3층 석탑이다. 중흥산성에는 신라 경문왕 때 도선대사가 창건한 중흥사(中興寺)가 자리하고 있었으나, 임진왜란 당시 왜병과의 격전끝에 승병들은 모두 죽고 절은 불에 타버렸다고 전한다.
이 탑은 원래 쌍사자석등(국보 제103호)과 함께 있었으나, 석등은 서울 국립중앙박물관으로 옮기고 석탑만이 남아 있다. 탑은 2단의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형태이다. 위층기단에는 모서리 기둥을 굵직하게 조각하였다. 한 면을 둘씩 나누어서 앞면에는 인왕상(仁王像)을, 양 측면에는 사천왕상(四天王像)을, 뒷면에는 보살상(菩薩像)을 도드라지게 새겼다. 탑신부는 몸돌과 지붕돌이 각각 하나의 돌로 되어 있으며, 각 층 몸돌에는 두꺼운 모서리기둥을 조각하였다. 1층 몸돌의 각 면에는 연꽃대좌 위에 앉아 있는 여래상(如來像)을 조각하였고, 2층 이상의 몸돌은 훨씬 작아지는 모습이다. 지붕돌은 밑면의 받침이 3단씩이고 처마 밑은 수평을 이루고 있다. 탑의 꼭대기에는 머리장식으로 노반(露盤:머리장식받침)만 남아 있고 그 위에 보주(寶珠:연꽃봉오리모양의 장식)가 있다.
이 석탑은 특히 각 부분의 풍부한 조각들이 눈에 띄는데, 보존상태가 좋고 조각된 상들도 뚜렷하다. 탑신에 비해 밑의 기단부가 너무 커 보이는 경향이 있으나 매우 안정된 느낌을 주는 통일신라시대의 석탑이다.
전문설명
원래 이 석탑(石塔)과 함께 쌍사자석등(雙獅子石燈) 등이 있었으나 석등(石燈)은 서울 국립중앙박물관(國立中央博物館)으로 옮기고 석탑만이 남아 있다.
이중기단(二重基壇) 위에 세워진 3층석탑(三層石塔)으로 신라석탑(新羅石塔) 양식을 따랐고 각부의 조각과 장식이 풍부하다.
탑신부는 탑신과 옥개석이 각각 돌 하나로 되어 있고 초층탑신에는 네 귀에 기둥(隅柱)이 서 있고 각면(各面)에는 앙련(仰蓮), 복련(覆蓮)의 연화좌(蓮華座) 위에 여래좌상(如來坐像) 1구(一軀)씩이 있어 사방불(四方佛)을 이루었다. 2층 이상의 탑신은 점점 줄어들고 4개의 우주(隅柱)만이 모각(模刻)되었다.
옥개석(屋蓋石)은 각층 받침이 3단(三段)이고 추녀밑은 수평(水平)이다. 그리고 상륜부(相輪部)의 부재는 모두 없어졌다. 특히 초층탑신에는 사방불을 조각한 외에 그 밑으로 인왕(仁王), 사천왕(四天王), 보살(菩薩) 등을 질서 있게 배치한 것이 특이하며 탑 전체가 안정된 느낌을 주는 우수한 탑이다.
신라(新羅) 말기(末期)에 조성(造成)된 작품(作品)으로 보존(保存) 상태(狀態)가 양호(良好)한 석탑(石塔)이다.
광양 중흥산성 삼층석탑 광양 중흥산성 삼층석탑 측면 상층기단부 면석 사천왕상 광양 중흥산성 삼층석탑 측면 상층기단부 면석 사천왕상 광양 중흥산성 삼층석탑 1층탑신 사방불(동면) 사천왕상
사천왕상 광양 중흥산성 삼층석탑 광양 중흥산성 삼층석탑 광양 중흥산성 삼층석탑 사천왕상 광양 중흥산성 삼층석탑 기단 남쪽 금강약사상 동쪽 사천왕상 전경 탑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