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국가무형문화재

국가무형문화재 제2호 양주별산대놀이

오늘의 쉼터 2008. 2. 7. 11:49



종     목

국가무형문화재  제2호

명     칭

양주별산대놀이(楊州別山臺놀이)

분     류

무형문화재 / 전통 공연·예술 / 연희

수량/면적

단체

지 정 일

1964.12.07

소 재 지

경기도 양주시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양주별산대놀이 보존회

관 리 자

양주별산대놀이 보존회

일반설명

산대놀이란 중부지방의 탈춤을 가리키는 말이다. 양주별산대놀이는 서울·경기지방에서 즐겼던 산대도감극(山臺都監劇)의 한 갈래로 춤과 무언극, 덕담과 익살이 어우러진 민중 놀이이다. 이 놀이는 약 200년 전부터 사월초파일, 단오, 추석 등 크고 작은 명절과 비가 오길 기원하는 기우제 행사 때에 공연되었다.

양주별산대놀이는 양주고을 사람들이 한양의 ‘사직골 딱딱이패’를 초청하여 놀다가 그들이 지방공연 관계로 약속을 어기는 일이 많아지자 고을 사람들이 직접 탈을 만들어 놀기 시작한데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놀이는 전체 8과장으로 구성되어 있고, 놀이를 시작하기에 앞서 가면과 의상을 갖추고 음악을 울리면서 공연장소까지 행진하는 길놀이와 관중의 무사를 기원하는 고사를 지낸다. 놀이에는 파계승, 몰락한 양반, 무당, 사당, 하인 및 늙고 젊은 서민들이 등장하여 현실을 풍자하고 민중의 생활상을 보여준다. 등장배역은 모두 32명지만 탈은 함께 사용하는 것이 있어 보통 22개가 활용된다.

양주별산대놀이는 중부지방 탈춤을 대표하는 놀이로서 해서지역 탈춤과 함께 한국 가면극 중 연극적인 볼거리가 풍부한 가면극이라 하겠다.


전문설명 

 

양주별산대놀이는 서울 중심의 경기지방에서 연희(演戱)되던 산대도감극(山臺都監劇)의 한 분파이다. 지금은 본산대(本山臺)라고 불리던 녹번, 아현, 사직골 등지의 산대놀이가 전하지 않으므로, 본산대를 본받아 만들었다는 양주별산대놀이에서 본산대의 모습을 찾을 수 있다.

이 놀이는 조선시대 양주목사가 군행정을 집행하던 양주구읍(楊州舊邑)에서 약 200년 전부터 놀아오던 명절놀이였다. 사월 초파일과 오월 단오와 팔월 추석 등 대소명절에 연희되고 기우제의 행사로 놀기도 하였다. 놀이터는 전에는 마을 북서쪽 불곡산(佛谷山) 아래의 사직골이었고, 나중에는 마을 뒷산 송림 속의 잔디밭에서 놀았으나 최근에는 향교 바깥마당에서 놀거나 마을 뒤에 새로 지은 전수교육관 앞마당에서 먼저 길놀이에 이어 고사를 지내고, 제1과장은 개장 의식무인 상좌춤이, 제2과장은 옴중과 상좌놀이, 제3과장은 목중과 옴중놀이, 제4과장은 천령(天靈)과 지령(地靈)을 나타낸다는 연잎과 눈끔쩍이가 나와 거드름춤을 추고, 제5과장과 제6과장은 파계승놀이이다.

제5과장 팔목중은 제1경(景)이 팔목중들의 염불놀이이고, 제2경은 침놀이, 제3경은 애사당북놀이이다. 제6과장 노장은 제1경이 파계승놀이로 대사 한 마디 없이 노장이 소무와 더불어 파계하는 과정을 춤과 몸짓으로만 보여주는 장면이다. 제2경은 신장수놀이로 신장수가 노장에게 신을 팔고, 돈 받으러 원숭이를 보낸다. 제3경은 취발이놀이로 취발이는 노장의 파계를 꾸짖고, 소무를 빼앗아 사랑놀이 끝에 아이를 갖게 된다. 제7과장 샌님은 양반놀이로 제1경은 의막사령놀이(依幕使令놀이), 제2경은 포도부장놀이로 평민인 젊은 포도부장이 늙은 양반의 소첩을 빼앗는다. 끝으로 서민생활의 실상을 보여주는 제8과장 신할아비와 미얄할미놀이로 이어지고, 신할아비의 박대로 미얄할미가 죽어 지노귀굿을 한다. 상좌춤으로 시작하여 지노귀굿으로 끝나는 과정은 주술종교(呪術宗敎)적인 의례에서 출발하여 연극으로 옮겨온 가면극의 내력을 말하여 준다고 할 수 있다.

봉산탈춤의 대사가 비교적 운문억양을 고집하고 있는데 비하여 양주별산대놀이의 대사는 일상회화조의 대사이다. 옴중과 취발이와 말뚝이 대사가 백미로서, 특히 취발이나 말뚝이 대사는 민중을 대변하는 대사라고 할 수 있어 관중의 흥미를 끌었다. 양주별산대놀이에 등장하는 배역은 모두 32명이지만 겸용하는 가면이 있기 때문에 실제 사용되는 가면수는 보통 22개(상좌 2개, 옴, 목중 4개, 연잎, 눈끔쩍이, 완보, 신주부, 왜장녀, 노장, 소무 2개, 말뚝이, 원숭이, 취발이, 샌님, 포도부장, 신할아비, 미얄할미 등)이다.

양주별산대놀이는 중부지방 탈춤을 대표하는 놀이로서, 해서 탈춤인 봉산탈춤과 더불어 한국가면극의 쌍벽을 이루는 놀이이다.




양주별산대놀이(취발이놀이)

양주별산대놀이

길놀이

목중과 옴중놀이

애사당북놀이

신장수놀이

포도부장놀이

신할아비와 미얄할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