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설명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은 줄여서 ‘대불정수능엄경’또는 ‘능엄경’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부처님의 말씀을 머리 속으로 이해하는데 그치지 않고 자신이 직접 체득하여 힘을 갖는 것을 기본사상으로 하고 있으며, 스님들이 수련하는 과정에서 필수적으로 배우는 경전이다. 이 책은 당나라의 반자밀제(般刺密帝)가 번역하고 계환(戒環)이 해설한 것을 세조 8년(1462)에 10권 10책으로 간행한 것이다. 목판에 새겨 찍어낸 것으로, 크기는 가로 35.7㎝, 세로 22㎝이다. 이 책은 간경도감<刊經都監:세조 7년(1461)에 불경을 한글로 풀이하여 간행하기 위해 설치한 기구>을 설치한 다음 해에 만든 책으로, 당시 찍어낸 판본이 모두 완전하게 남아 전해지는 유일한 예이다. 간경도감에서 최초로 간행한 한글 해석판으로 편찬 체제와 글씨를 대자·중자·소자로 구분하여 쓰는 방법 등은 뒤에 간행되는 국역판의 길잡이가 된다는 점에서 가치가 크다.
전문설명
당(唐)의 반라밀제(般剌密帝)가 역(譯)하고, 송(宋)의 계환(戒環)이 주해(注解)한 것을 세조(世祖)의 명(命)에 의하여 간경도감(刊經都監)에서 국역(國譯)하여 인출(印出)한 목판본(木板本)이다. 사주쌍변(四周雙邊)에 평곽(平郭) 21.6 × 17.9cm 유계(有界)이며 계간(界間)1.9cm에 평엽(平葉) 9행17자이고, 주(註)는 쌍행(雙行)에, 행간(行間)0.01cm, 자간(字間)0.01cm, 자경(字徑)1.9cm 이다. 제첨(題簽)은 「대불정수릉엄경(大佛頂首楞嚴經)」이고, 판심제(板心題)는 릉엄경(楞嚴經)으로 되어 있다. 권1의 진전일장(進箋一張)1~4, 봉조조일장(奉彫造一張)1~2, 서일장(序一張)1~5, 본문일장(本文一張)6~113, 권2-장1~126, 권3-장1~119, 권4-장1~134, 권5-장1~90, 권6-장1~115, 권7-장1~95, 권8-장1~142, 권9-장1~123, 권10-장1~97이다. 각권(各卷) 각수제(卷首題) 상란(上欄) 바깥에 1.9 × 1.2cm의 교정인(校正印)이 영인(鈴印)되어 있고, 각권(各卷) 아자음(阿字音)을 「 항」로 새겼다. 진전(進箋) 말(末)에, 「 천순육년(1462) 팔월이십일도제조수충위사동덕좌익공신계양신증(? ~1464) 등근상전(天順六年(1462) 八月二十一日都提調輸忠衛社同德佐翼功臣桂陽臣증(? ~1464) 等謹上箋) 」으로 되어 있고, 권1(卷1) 상표지(上表紙) 뒷면에 「 주상삼전하수만세주한월(主上三殿下壽萬歲主漢月)」이라는 묵서(墨書) 식기(識記)가 있다. 상하(上下) 황색(黃色)의 저지(楮紙)에 릉화문배첩표지(菱花文褙接表紙)이다. 간경도감(刊經都監)이 설치된 이듬해인 세조(世祖)8년(1462)에 처음으로 조조(彫造)된 국역본(國譯本) 능엄경(楞嚴經)이며, 당시의 초간본(初刊本) 1질(1帙)이 완전하게 남아 있는 것은 이것뿐인 듯하다. 판각(板刻)이 정교하고 자체(字體)가 육중한 원필계통(圓筆系統)으로서 매우 장엄하다. 묵색(墨色)도 흑청색(黑靑色)으로 진하고 윤이 나며, 지질(紙質)도 상품고정지(上品藁精紙)임이 특징적이다. 권수엽(卷首葉) 서미(書眉)에 「교정(校正)」이 주묵(朱墨)으로 영인(鈴印)되어 있고, 제첨(題簽)은 장황(粧潢) 당시에 판각하여 제일(齊一)하게 붙인 원형이다. 전질(全帙)의 보존상태가 비교적 좋으며, 제자(題字)에서 역시 묵청색(墨靑色)의 윤흔(潤痕)이 보인다.
권1의전 권1의전말 권10의본문부분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언해)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언해)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언해)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언해)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언해)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언해)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언해)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언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