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방광불화엄경은 줄여서 ‘화엄경’이라고 부르기도 하며, 부처와 중생이 둘이 아니라 하나라는 것을 기본사상으로 하고 있다. 화엄종의 근본경전으로 법화경과 함께 한국 불교사상 확립에 크게 영향을 끼친 불교경전 가운데 하나이다.
이 책은 동진의 불타발타라가 번역한 『화엄경』 진본 60권 중 권 제37의 내용이다. 닥종이에 찍은 목판본으로 크기는 세로 26㎝, 가로 768.3㎝이며, 종이를 계속 이어붙여 두루마리처럼 말아서 보관하고 있다.
책 끝에는 고려 숙종 3년(1098)에 이필선의 시주로 간행하였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보존상태는 양호한 편이지만, 원래 불상 속에서 발견된 것이라서 책머리의 제목과 책의 차례 일부분이 누락되고 본문에 손상이 있다.
이 책은 간행기록이 정확하게 전하는 화엄경 목판본 중에서 가장 오래된 것으로 가치가 크며, 고려 초기의 목판인쇄 및 화엄경 판본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되고 있다.
전문설명 이 책은 권말(卷末)에 다음과 같은 간기(刊記)가 있어 간행연대와 간행연기(刊行緣記)가 밝혀져 있다.
『고려합천호장동정이필선 상보사은 하자삼유지원 시재조판화엄경제삼십칠권시수창사년오월일기(高麗陜川戶長同正李必先 上報四恩 下滋三有之願 施財雕板花嚴經第三十七卷 時壽昌四年五月日記)』곧 고려(高麗) 숙종(肅宗) 3년에 합천(陜川) 이필선(李必先)의 시재(施財)로 간행된 것이다.
판식(板式)은 상하(上下) 단변(單邊)이며 계선(界線)이 없고, 1행 17자이다. 각법(刻法)과 인쇄(印刷)가 모두 우수하다. 전단목(전檀木)으로 만든 권축(卷軸) 양끝에는 홍칠(紅漆)이 선명하게 보존되어 있다.
이 책이 간기(刊記)로 인하여 연대가 확인됨에 따라, 같은 시기에 판식(板式)으로 된 다른 경본(經本)의 연대를 추정하는 데에도 크게 도움이 된다.
대방광불화엄경 진본 권37 대방광불화엄경 진본 권37 대방광불화엄경 진본 권3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