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울산문화재자료

울산광역시 문화재자료 (제34호) 이근오 죽오일기

오늘의 쉼터 2023. 5. 5. 16:12

 

종    목 울산광역시 문화재자료 (제34호)
명    칭 이근오 죽오일기(李覲吾 竹塢日記)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전적류
수량/면적 1책
지 정 일 2021.06.21
소 재 지 울산광역시 남구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울산뱍물관
관 리 자 울산뱍물관

일반설명

이근오 죽오일기(李覲吾 竹塢日記)는 조선 후기 울산에서 활동한 학자 이근오(李覲吾, 1760~1834년)가 1804~1812년까지, 그의 아들인 종화(種驊, 1797~1832년)가 1831~1832년까지 쓴 일기이다. 총 2,707일간을 기록하고 있으며, 필사본이다.

주(主) 저자인 이근오의 본관은 학성(鶴城)이며, 자는 성응(聖應), 호는 죽오이다. 그는 1760년(영조 36) 울주군 웅촌면 석천리(石川里)에서 태어났다. 1789년(정조 13)에 사마시에 입격(入格)한 후, 1790년에 증광문과에 급제하였다. 승문원부정자(承文院副正字)를 시작으로, 병조정랑(兵曹正郎), 사헌부지평(司憲府持平) 등의 관직을 거쳤다. 문집으로 ?죽오유집(竹塢遺集)? 5권 2책이 있다.

이근오 죽오일기는 별도의 책자를 마련하지 않고 매년 발행된 시헌서(時憲書)라는 책력(冊曆)의 날짜에 맞춰 여백을 이용하여 초서체로 간략하게 기록하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 총 8책이 전하는데, 마지막에 해당하는 책8은 1831년에서 1832년에 해당하는 2년 치의 책력을 합철한 것이므로 실제로는 9년 치의 기록으로 볼 수 있다.

일기는 이근오가 낙향을 결행한 후부터 기록되고 있다. 이근오와 종화 두 부자의 일상을 중심으로 가정생활, 지인(知人)들과의 만남과 이별, 여행, 백일장 참석 등의 크고 작은 사건들이 기록되어 있으며, 지리적으로 울산과 주변지역을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한편, 일기와 함께 고목(告目)이 전하는데, 1808년 11월 5일 향리인 윤창문(尹昌文)이 이근오에게 보낸 것이다. 책력을 전해주고 그 답배[答牌, 아랫사람이 올린 고목(告目) 등에 대하여 윗사람이 쓰는 답장]를 부탁하는 내용이다.

 

이근오 죽오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