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28376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653호 양산 통도사 서운암 훈유어필

종 목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653호 명 칭 양산 통도사 서운암 훈유어필(梁山 通度寺 瑞雲庵 訓諭御筆) 분 류 기록유산/ 수량/면적 1첩 지 정 일 2018.12.20 소 재 지 경남 양산시 하북면 지산리 583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통도사 서운암 관 리 자 통도사 서운암 일반설명 양산 통도사 서운암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423호 공주 동불사 목조석가여래좌상

종 목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423호 명 칭 공주 동불사 목조석가여래좌상 (公州 東佛寺 木造如來坐像) 분 류 유물 / 불교조각 / 목조 / 불상 수량/면적 1구 지 정 일 2019.01.30 소 재 지 충청남도 공주시 포교당길 17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동불사 관 리 자 동불사 일반설명 동불사는 1918년 본..

충청북도 문화재자료 제95호 보은 계당과 계정

종 목 충청북도 문화재자료 (제95호) 명 칭 보은 계당과 계정 (報恩 溪堂과 溪庭) 분 류 유적건조물 / 교육문화 / 교육기관 / 서원 수량/면적 1원 지 정 일 2019.02.01 소 재 지 충청북도 보은군 삼승면 선곡리 572 시 대 조선시대 1815년(1982년 중수) 소 유 자 화순최씨 계당공파 종중 관 리 자 화순최씨 계당공파 종중 일반설명 계당(溪堂)은 조선 중기의 학자인 최흥림(崔興霖, 1506~1581)이 낙향해 은거하며 공부했던 건물이다. 최흥림의 본관은 화순(和順), 자는 현좌(賢佐), 호는 계당(溪堂)이다. 최흥림은 명종 1년(1545)에 을사사화로 많은 사림(士林)들이 화를 입자 벼슬에 뜻을 버리고 보은으로 낙향하여 줄곧 이곳에 은거하였다. 이곳에서 성운(成運), 조식(曺植), 성..

충청북도 문화재자료 제94호 영동 덕후재 일원

종 목 충청북도 문화재자료 제94호 명 칭 영동 덕후재 일원 (永同 德厚齋 一圓) 분 류 유적건조물 / 인물사건 / 인물기념 / 사우 수량/면적 1원 / 4,529㎡(지정구역 1,658㎡, 보호구역 2,871㎡) 지 정 일 2018.11.30 소 재 지 충청북도 영동군 봉곡1길 205-71 (양산면, 재실) 시 대 조선후기(1769년 초축, 1806년 중건) 소 유 자 함양여씨 울산공파 종중 관 리 자 함양여씨 울산공파 종중 일반설명 양산면(陽山面) 봉곡리(鳳谷里)는 본래 양산현(陽山縣) 지역으로 봉우재 밑이 되므로 봉골, 봉곡이라고 함. 옥천군(沃川郡) 양내면(陽內面)에 속하였다가 1906년 영동군으로 편입되었음. 여중온(呂仲溫)은 함양여씨(咸陽呂氏) 15세로 사후 울산군수(蔚山郡守)로 증직되었으며 아..

충청북도 문화재자료 (제93호) 단양 원주이씨 효열각

종 목 충청북도 문화재자료 (제93호) 명 칭 단양 원주이씨 효열각 (丹陽 原州李氏 孝烈閣) 분 류 유적건조물 / 인물사건 / 인물기념 / 사우 수량/면적 3동 지 정 일 2018.11.30 소 재 지 충청북도 단양군 매포읍 평동리 874 원주이씨 효열각 873-8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원주이씨 단양종중회 관 리 자 원주이씨 단양종중회 일반설명 효자문은 1828년 단양의 효자 이상문의 효행을 기려 정려를 내린 사실에 의거하여 나라에서 설립한 건축물이다. 열녀문은 1884년 이민열(李民烈)의 처 전의이씨(全義李氏)에게 내려진 정려에 의거하여 나라에서 설립한 건물이다. 건물 내부에는 - 효자학생원주이상문지려 (孝子學生原州李尙文之閭) - 효자증동몽교관조봉대부이상문지려(孝子贈童蒙敎官朝奉大夫李尙文之閭) - ..

충청북도 문화재자료 제92호 묘법연화경 권1

종 목 충청북도 문화재자료 제92호 명 칭 묘법연화경 권1 (妙法蓮華經 卷一)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 목판본 / 사찰본 수량/면적 1권 1책 지 정 일 2017.11.03 소 재 지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쇠내로 시 대 조선시대 1655년 소 유 자 이교만 관 리 자 이교만 일반설명 "묘법연화경"은 줄여서 ‘법화경’이라고 부르기도 하며, 부처가 되는 길이 누구에게나 열려있다는 것을 중요사상으로 하고 있다. 대승불교의 기본경전으로 한국 불교사상 확립에 크게 영향을 끼친 경전이다. 모두 7권 중 1권 1책으로 1655년에 속리산 법주사(法住寺)에서 간행한 목판본으로 간행시기와 간행처를 알 수 있고, 청주 서기사에서 다시 찍은 책으로 보인다. 또한 시주에 보살사 승려가 관여한 점도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