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전남유형문화재 358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348호) 순천송광사 천자암 목조아미타여래좌상

종 목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348호) 명 칭 순천 송광사 천자암 목조아미타여래좌상 (順天 松廣寺 天子庵 木造阿彌陀如來坐像) 분 류 유물 / 불교조각 / 목조 / 불상 수량/면적 1구 지 정 일 2022.03.17 소 재 지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 천자암길 105 시 대 조선 (1640년) 소 유 자 대한불교조계종 송광사 천자암 관 리 자 송광사 일반설명 조성발원문이 확인되어 조성연대(1640년, 인조 18년), 조성 동기, 참여 인물, 조각승(석삼, 학한) 등이 정확히 밝혀져 불교 조각사 연구의 중요 자료이다. 장타원형의 엄숙한 상호, 두껍고 간결한 옷주름, 신체 비례 등 17세기 중반 불상들과 양식이 유사하고, 보존상태도 양호하여 지정 가치 충분하다.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347호) 영광 정호남 관련 고문서

종 목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347호) 명 칭 영광 정호남 관련 고문서 분 류 기록유산 / 문서류 / 문서류 수량/면적 41점 지 정 일 2021.08.26 소 재 지 전라남도 영광군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영광군 관 리 자 영광군 일반설명 정호남 관련 고문서는 정호남이 무과에 급제해 수여받은 홍패를 포함해 그가 관직 생활 동안 받았던 교령류 등 모두 41점이다. 무신 정호남(1736~1812)은 조선 후기 무신으로 영조 45년(1769) 무과에 급제해 관직 생활을 시작했다. 정호남은 정조 때 수원 화성 축조에 참여했으며 장용영 소속 군관으로 활약, 후에 종3품 안흥첨사를 역임했다. 고문서에서는 무신 정호남의 관직 생활 과정과 관원의 임명 및 지역 인물의 정계 진출, 문중의 위상 변화를 관찰할 수 ..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346호) 나주 영천사 목조지장보살좌상

종 목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346호) 명 칭 나주 영천사 목조지장보살좌상 (羅州 靈泉寺 木造地藏菩薩坐像) 분 류 유물 / 불교조각 / 목조 / 불상 수량/면적 1구 지 정 일 2021.05.13 소 재 지 전라남도 나주시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영천사 관 리 자 영천사 일반설명 나주시 가야산에 위치한 기슭에 위치한 영천사靈泉寺는 대한불교조계종 제18교구 본사인 백양사의 말사(末寺)로(도1), 1954년에 관불 스님(속명 전귀례)이 창건하였다. 주민들의 말에 의하면 영천사 이전에 ‘해동암’이 있었는데 빈대가 극심하여 폐사되었다고 한다. 영천사의 법당을 세울 때 절터에서 금불상과 고려청자 등 많은 유물이 수습되었다 전하지만 확인 할 수 없다. 영천사를 창건할 당시 유일한 전각인 인법당에는 폐사(廢寺)..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345호) 나주 척서정 정해일 초상

종 목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345호 명 칭 나주 척서정 정해일 초상(羅州 陟西亭 鄭海鎰 肖像) 분 류 유물 / 인물화 / 초상화 / 초상화 수량/면적 1점 지 정 일 2021.05.13 소 재 지 전남 나주시 노안면 (국립나주박물관 기탁보관) 시 대 1914년 소 유 자 국립나주박물관 관 리 자 국립나주박물관 일반설명 척서 정해일(陟西 鄭海鎰, 1858~1925)의 초상화(비단에 채색, 족자 형태의 전신상)로 연대(1914년)와 작가(채용신)가 확실하고, 보존상태도 양호하여 초상화 연구의 중요 자료 · 청록색 관복, 화문석의 정교한 묘사가 돋보이고, 특히 마른 얼굴, 이마의 세로 주름, 응시한 눈의 모습, 반백의 수염 등 꼿꼿한 주인공의 성정을 잘 표현한 수작 · 석지 채용신(石芝 蔡龍臣, 1850~1..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344호) 순천 목미암

종 목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344호) 명 칭 순천 목미암(順天 木美菴) 분 류 유적건조물/ 사우 수량/면적 2동/1,205㎡(2필지) 지 정 일 2021.03.04. 소 재 지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 우산리 537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죽산안씨교관공파종중 관 리 자 죽산안씨교관공파종중 일반설명 죽산안씨 문중의 서당 기능을 했던 목미암과 상관재는 정면 3칸, 측면 1칸, 우진각 지붕의 소박하고 단아한 느낌을 주는 건물로 보존상태도 양호하여 문화재 지정 필요 조선후기 건축물로 고격 유지와 기문, 시문, 주련, 현판, 편액 등 기록유산이 잘 남아 있고, 향촌 사회에서 교육활동을 했던 공동체 공간으로서 역사적, 학술적 가치 보유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343호) 해남 도장사 목조석가여래좌상 및 보살좌상과 복장 유물

종 목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343) 명 칭 해남 도장사 목조석가여래좌상 및 보살좌상과 복장 유물 분 류 유물 / 불교조각 / 목조 / 불상 수량/면적 10점(여래좌상 1, 보살좌상 1, 대좌 2, 좌대 2, 조상기 2, 후령통 2) 지 정 일 2020.12.24 소 재 지 전라남도 해남군 황산면 내산길 143(관춘리 780) 도장사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도장사 관 리 자 도장사 일반설명 해남 도장사(道場寺)는 대한불교조계종 제22교구 본사인 대흥사 소속 사찰로 보타산(寶陀山, 일명 中峯山) 중턱에 있는데 비학승천형(飛鶴昇天形) 형국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주변은 수 백년된 동백나무가 숲을 이루고 있으며 고려 명종(1170년)때 창건되었다고 전하고도 있으나, 여러 기록으로 보아 조선후기에 창건된 것..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342호) 담양 고세태 분재기

종 목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342호) 명 칭 담양 고세태 분재기 (潭陽 高世泰 分財記) 분 류 기록유산 / 문서류 / 민간문서 / 분재기류 수량/면적 문재기 1매, 인장 1점 지 정 일 2020.12.24 소 재 지 전라남도 담양군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장흥고씨 양진재파 관 리 자 고훈국 일반설명 '담양 고세태 분재기'는 분재기 1매(가로 354cm, 세로 32cm)와 인장 1점(가로 2cm, 세로 3cm)으로, 1711년 12월 이전에 작성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재산의 주인이 생전에 정한 대로 미리 정해진 상속분을 분배했다. ​ 이 분재기는 남아선호사상이 깊었던 조선 중기에 작성되었지만, 장남의 몫과 함께 태어난 순서대로 딸·아들이 구별 없이 상속분을 기재했다는 특징이 있다. 출가한 딸에게도..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341호) 영광 불갑사 목조 석가여래삼존좌상과 나한상 일괄

종 목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341호 명 칭 영광 불갑사 목조 석가여래삼존좌상과 나한상 일괄(靈光 佛甲寺 木造 如來三尊坐像과 十六羅漢 一括) 분 류 유물 / 불교조각 / 목조 / 보살상 수량/면적 17구 지 정 일 2020.06.18 소 재 지 전라남도 영광군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불갑사 관 리 자 불갑사 일반설명 본존불인 석가여래좌상은 육계와 머리, 얼굴 등이 조선 후기 불상에서 나타나는 공통적인 특징을 보이며 전체적으로 안정된 구도에 두부를 크게 조성하고 있는 점이 특징적이며, 나한상 복장유물 발원문에서는 나한상의 존명을 비롯해 정확한 제작연대와 제작사유를 알 수 있는 귀중한 자료가 발견돼, 17세기 후반 전라도 대표적 조각승인 색난의 제자였던 초변이 1706년 수조각승으로 조성한 유일한 불교조..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340호) 영광 불갑사 명부전 목조지장보살삼존상과 시왕상 일괄

종 목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340호) 명 칭 영광 불갑사 명부전 목조지장보살삼존상과 시왕상 일괄 (靈光 佛甲寺 冥府殿 木造地藏菩薩三尊像과 十王像 一括) 분 류 유물 / 불교조각 / 목조 / 보살상 수량/면적 21구 지 정 일 2020.06.18 소 재 지 전라남도 영광군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불갑사 관 리 자 불갑사 일반설명 불갑사 명부전 존상들은 효종 5년(1654)에 대웅전 목조삼세불좌상(1635년)을 조성한 조각승 무염(無染)과 그의 제자인 해심(海心)과 그 일파 조각승들에 의해 조성되었다. 지장보살상을 비롯한 여러 존상에서 발견된 발원문에는 화원질(畫員秩)에 수화승(首畵僧) 해심 이름 앞에 스승 무염과 사형으로 추정되는 정현(正玄)이 기록돼 있어, 조선후기 조각승 사승 관계를 살필 수 있..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339호) 완도 백련암 천수관음보살도

종 목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339호 명 칭 완도 백련암 천수관음보살도 분 류 유물 / 불교회화 / 괘불화 / 석가불도 수량/면적 1폭 지 정 일 2020.06.18 소 재 지 전라남도 완도군 시 대 조선시대 1865년(동치4) 소 유 자 백련암 관 리 자 백련암 일반설명 완도 청산도 백련암의 『천수관음보살도』가 지난 18일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339호로 지정되었다. 천수관음보살은 27개의 얼굴과 천개의 손과 눈을 가지고 지옥에 있는 중생의 고통을 자비로써 구제하는 보살로 알려져 있다. 이번에 지정된 불화는 화기와 복장유물이 잘 남아 있어 이를 통해 조성 년대가 1865년(동치 4)이고, 초의스님이 이 불화를 증명하였음을 알 수 있으며, 조성 경위 등 19세기 불교사와 천수관음신앙 연구의 중요한 자료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