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사적 603

사적 (제572-9호) 제5로 직봉 - 무안 고림산 봉수 유적

종 목사적 (제572-9호)명 칭제5로 직봉 - 무안 고림산 봉수 유적 (第5路 直烽 - 務安 高林山 烽燧 遺蹟)분 류유적건조물 / 교통통신 / 통신 / 봉수수량/면적▲지정구역 4필지(551㎡) ▲보호구역 2필지(2,960㎡)지 정 일2023.11. 22소 재 지전라남도 무안군 청계면 도대리 산 84 일원시 대조선시대소 유 자산림청관 리 자무안군문화재설명​조선시대 통신체계인 ‘봉수(烽燧)’는 약정된 신호 전달체계에 따라 밤에는 횃불로, 낮에는 연기로 외적의 침입 사실을 중앙의 병조와 지방의 읍치 등에 알리기 위해 설치되었으며, 남북의 주요 끝점에서 시작하여 서울 목멱산(현재의 남산)으로 집결하도록 하였다.​『증보문헌비고』(1908년)에 따르면 조선 후기에 중앙정부는 5개의 직봉, 23개의 간봉 노선을 운..

문화재/사적 2024.06.11

사적 (제572-8호) 제5로 직봉 - 진도 첨찰산 봉수 유적

종 목사적 (제572-8호)명 칭제5로 직봉 - 진도 첨찰산 봉수 유적 (第5路 直烽 - 珍島 僉察山 烽燧 遺蹟)분 류유적건조물 / 교통통신 / 통신 / 봉수수량/면적▲지정구역 1필지(1,829㎡) ▲보호구역 2필지(9,839㎡)지 정 일2023.11. 22소 재 지전라남도 진도군 의신면 사천리 산 1 일원시 대조선시대소 유 자산림청관 리 자진도군문화재설명​조선시대 통신체계인 ‘봉수(烽燧)’는 약정된 신호 전달체계에 따라 밤에는 횃불로, 낮에는 연기로 외적의 침입 사실을 중앙의 병조와 지방의 읍치 등에 알리기 위해 설치되었으며, 남북의 주요 끝점에서 시작하여 서울 목멱산(현재의 남산)으로 집결하도록 하였다.​『증보문헌비고』(1908년)에 따르면 조선 후기에 중앙정부는 5개의 직봉, 23개의 간봉 노선을 ..

문화재/사적 2024.06.11

사적 (제572-7호) 제5로 직봉 - 해남 관두산 봉수 유적

종 목사적 (제572-7호)명 칭제5로 직봉 - 해남 관두산 봉수 유적 (第5路 直烽 - 海南 館頭山 烽燧 遺蹟)분 류유적건조물 / 교통통신 / 통신 / 봉수수량/면적▲지정구역 2필지(1,414㎡) ▲보호구역 1필지(4,870㎡)지 정 일2023.11. 22소 재 지전라남도 해남군 화산면 관동리 산 79-1 일원시 대조선시대소 유 자해*** 관 리 자해남군문화재설명​조선시대 통신체계인 ‘봉수(烽燧)’는 약정된 신호 전달체계에 따라 밤에는 횃불로, 낮에는 연기로 외적의 침입 사실을 중앙의 병조와 지방의 읍치 등에 알리기 위해 설치되었으며, 남북의 주요 끝점에서 시작하여 서울 목멱산(현재의 남산)으로 집결하도록 하였다.​『증보문헌비고』(1908년)에 따르면 조선 후기에 중앙정부는 5개의 직봉, 23개의 간봉..

문화재/사적 2024.06.11

사적 (제572-6호) 제5로 직봉 - 해남 달마산 봉수 유적

종 목사적 (제572-6호)명 칭제5로 직봉 - 해남 달마산 봉수 유적 (第5路 直烽 - 海南 達摩山 烽燧 遺蹟)분 류유적건조물 / 교통통신 / 통신 / 봉수수량/면적▲지정구역 2필지(3,029㎡)지 정 일2023.11. 22소 재 지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 서정리 산 303-2 일원시 대조선시대소 유 자산림청관 리 자해남군문화재설명​조선시대 통신체계인 ‘봉수(烽燧)’는 약정된 신호 전달체계에 따라 밤에는 횃불로, 낮에는 연기로 외적의 침입 사실을 중앙의 병조와 지방의 읍치 등에 알리기 위해 설치되었으며, 남북의 주요 끝점에서 시작하여 서울 목멱산(현재의 남산)으로 집결하도록 하였다.​『증보문헌비고』(1908년)에 따르면 조선 후기에 중앙정부는 5개의 직봉, 23개의 간봉 노선을 운영하였으며, 전체 노선에..

문화재/사적 2024.06.11

사적 (제572-5호) 제5로 직봉 - 해남 좌곡산 봉수 유적

종 목사적 (제572-5호)명 칭제5로 직봉 - 해남 좌곡산 봉수 유적 (第5路 直烽 - 海南 佐谷山 烽燧 遺蹟)분 류유적건조물 / 교통통신 / 통신 / 봉수수량/면적▲지정구역 5필지(1,514㎡) ▲보호구역 5필지(4,616㎡)지 정 일2023.11. 22소 재 지전라남도 해남군 북일면 방산리 산 14 일원시 대조선시대소 유 자노***관 리 자해남군문화재설명​조선시대 통신체계인 ‘봉수(烽燧)’는 약정된 신호 전달체계에 따라 밤에는 횃불로, 낮에는 연기로 외적의 침입 사실을 중앙의 병조와 지방의 읍치 등에 알리기 위해 설치되었으며, 남북의 주요 끝점에서 시작하여 서울 목멱산(현재의 남산)으로 집결하도록 하였다.​『증보문헌비고』(1908년)에 따르면 조선 후기에 중앙정부는 5개의 직봉, 23개의 간봉 노선..

문화재/사적 2024.06.11

사적 (제572-4호) 제5로 직봉 - 장흥 전일산 봉수 유적

종 목사적 (제572-4호)명 칭제5로 직봉 - 장흥 전일산 봉수 유적 (第5路 直烽 - 長興 全日山 烽燧 遺蹟)분 류유적건조물 / 교통통신 / 통신 / 봉수수량/면적▲지정구역 3필지(600㎡) ▲보호구역 4필지(3,025㎡)지 정 일2023.11. 22소 재 지전라남도 장흥군 안양면 수락리 산 40 일원시 대조선시대소 유 자산림청관 리 자장흥군문화재설명​조선시대 통신체계인 ‘봉수(烽燧)’는 약정된 신호 전달체계에 따라 밤에는 횃불로, 낮에는 연기로 외적의 침입 사실을 중앙의 병조와 지방의 읍치 등에 알리기 위해 설치되었으며, 남북의 주요 끝점에서 시작하여 서울 목멱산(현재의 남산)으로 집결하도록 하였다.​『증보문헌비고』(1908년)에 따르면 조선 후기에 중앙정부는 5개의 직봉, 23개의 간봉 노선을 운..

문화재/사적 2024.06.11

사적 (제572-3호) 제5로 직봉 - 고흥 장기산 봉수 유적

종 목사적 (제572-3호)명 칭제5로 직봉 - 고흥 장기산 봉수 유적 (第5路 直烽 - 高興 帳機山 烽燧 遺蹟)분 류유적건조물 / 교통통신 / 통신 / 봉수수량/면적▲지정구역 3필지(1,465㎡) ▲보호구역 6필지(3,984㎡)지 정 일2023.11. 22소 재 지전라남도 고흥군 도양읍 용정리 산 194-9 일원시 대조선시대소 유 자한*** 관 리 자고흥군문화재설명​조선시대 통신체계인 ‘봉수(烽燧)’는 약정된 신호 전달체계에 따라 밤에는 횃불로, 낮에는 연기로 외적의 침입 사실을 중앙의 병조와 지방의 읍치 등에 알리기 위해 설치되었으며, 남북의 주요 끝점에서 시작하여 서울 목멱산(현재의 남산)으로 집결하도록 하였다.​『증보문헌비고』(1908년)에 따르면 조선 후기에 중앙정부는 5개의 직봉, 23개의 간..

문화재/사적 2024.06.11

사적 (제572-2호) 제5로 직봉 - 고흥 마북산 봉수 유적

종 목사적 (제572-2호)명 칭제5로 직봉 - 고흥 마북산 봉수 유적 (第5路 直烽 - 高興 馬北山 烽燧 遺蹟)분 류유적건조물 / 교통통신 / 통신 / 봉수수량/면적▲지정구역 1필지(990㎡) ▲보호구역 2필지(3,510㎡)지 정 일2023.11. 22소 재 지전라남도 고흥군 포두면 차동리 산 163-1 일원시 대조선시대소 유 자산림청관 리 자고흥군문화재설명​조선시대 통신체계인 ‘봉수(烽燧)’는 약정된 신호 전달체계에 따라 밤에는 횃불로, 낮에는 연기로 외적의 침입 사실을 중앙의 병조와 지방의 읍치 등에 알리기 위해 설치되었으며, 남북의 주요 끝점에서 시작하여 서울 목멱산(현재의 남산)으로 집결하도록 하였다.​『증보문헌비고』(1908년)에 따르면 조선 후기에 중앙정부는 5개의 직봉, 23개의 간봉 노선..

문화재/사적 2024.06.11

사적 (제572-1호) 제5로 직봉 - 여수 돌산도 봉수 유적

종 목사적 (제572-1호)명 칭제5로 직봉 - 여수 돌산도 봉수 유적 (第5路 直烽 - 麗水 突山島 烽燧 遺蹟)분 류유적건조물 / 교통통신 / 통신 / 봉수수량/면적▲지정구역 3필지(1,589㎡) ▲보호구역 3필지(4,444㎡)지 정 일2023.11. 22소 재 지전라남도 여수시 돌산읍 둔전리 산 248 일원시 대조선시대소 유 자산림청관 리 자여수시문화재설명​조선시대 통신체계인 ‘봉수(烽燧)’는 약정된 신호 전달체계에 따라 밤에는 횃불로, 낮에는 연기로 외적의 침입 사실을 중앙의 병조와 지방의 읍치 등에 알리기 위해 설치되었으며, 남북의 주요 끝점에서 시작하여 서울 목멱산(현재의 남산)으로 집결하도록 하였다.​『증보문헌비고』(1908년)에 따르면 조선 후기에 중앙정부는 5개의 직봉, 23개의 간봉 노선..

문화재/사적 2024.06.09

사적 (제571호) 장수 침령산성

종 목사적 (제571호)명 칭장수 침령산성 (長水 砧嶺山城)분 류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성 / 성곽수량/면적7필지 29,150㎡지 정 일2023.08.02소 재 지전라북도 장수군 계남면 침곡리 1090-1시 대삼국~고려소 유 자장수군관 리 자장수군문화재설명​「장수 침령산성」은 둘레 497m의 산성으로 7세기 초 백제가 축조한 후 고려 초기까지 사용했으며, 낙동강 유역의 신라세력과 금강 유역의 백제 세력의 접경지역에 위치한 전략적 요충지였다.​‘침령’은 침령산성이 위치한 고개의 지명으로 「만기요람」, 「대동지지」, 「해동지도」, 「대동여지도」등의 문헌자료에 ‘침치’, ‘침치고성’, ‘침령’ 으로 기록된 바 있으며, 현재는 침령산성으로 불린다.​침령산성은 2005년 정밀지표조사를 시작으로 2014년부터 ..

문화재/사적 2024.0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