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 김후신(彛齋 金厚臣)/산수도. 대쾌도(大快圖) 이재 김후신(彛齋 金厚臣) 1486(성종 17)~1520(중종 15) 산수도 대쾌도(大快圖) 문화예술/고미술 2011.01.19
현은 김덕성(玄隱 金德成)/뇌공도(雷公圖) 현은 김덕성(玄隱 金德成)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여삼(汝三), 호는 현은(玄隱)으로 사정(司正) 김두근(金斗根)의 아들이며 화원 김두량(金斗樑)의 조카이다. 조선 후기의 궁중화원으로 첨사(僉使)를 지냈다. 서양화풍을 사용하여 신장도(神將圖)를 잘 그렸다. 그의 〈풍우신도(風雨神圖)〉에 강세황(.. 문화예술/고미술 2011.01.19
학포 양팽손(學圃 梁彭孫) 학포 양팽손(學圃 梁彭孫) (1488∼1545)의 본관은 제주(濟州), 자는 대춘(大春), 호는 학포(學圃)이며, 능주(綾州)에서 태어나 중종 5년(1510) 생원시에 합격한 후 중종 11년(1516)에 문과에 급제하여 사간원 정언(司諫院 正言)이 되었다. 조광조(趙光祖)와 함께 사가독서(賜暇讀書)하였으며 중종 14년(1519) 홍문.. 문화예술/고미술 2011.01.19
활호자 김수규(活毫子 金壽奎)/기려교래도. 우중산수도. 등.... 활호자 김수규(活毫子 金壽奎) 기려교래도(騎驢橋來圖) 김수규(金壽奎, ?-?)는 18세기 후반의 화가로 기서(箕墅), 순재(淳齋), 활호자(活毫子), 사익(士益) 등의 호를 사용했다는 사실 이외에는 그의 가계와 생애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조선 정조 때 시(詩)와 서(書)에 능하여 이름을 떨쳤던 사헌부.. 문화예술/고미술 2011.01.18
긍원 김양기(肯園 金良驥) 긍원 김양기(肯園 金良驥) 조선후기(김홍도의 子) 필압유도(筆鴨遊圖) 송하모정도(松下茅亭圖) 화조도 고목소림도 송하 맹호도 문화예술/고미술 2011.0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