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 목 | 보물 (제2135호) |
명 칭 | 서울 영국사지 출토 의식공양구 일괄 (서울 寧國寺址 出土 儀式供養具 一括) |
분 류 | 유물 / 불교공예 / 공양구 |
수량/면적 | 10건 10점 |
지 정 일 | 2021.08.24 |
소 재 지 | 서울특별시 송파구 위례성대로 71 (방이동, 한성백제박물관) |
시 대 | 고려 시대 |
소 유 자 | 국유 |
관 리 자 | 한성백제박물관 |
문화재설명 ‘서울 영국사지 출토 의식공양구 일괄’은 조선시대 유학자 조광조(趙光祖, 1482∼1519)를 기리기 위해 세운 도봉서원(道峯書院)의 중심 건물지로 추정되는 제5호 건물지의 기단 아래에서 2012년 수습된 것으로, 금동금강저 1건 1점, 금동금강령 1건 1점, 청동현향로 1건 1점, 청동향합 1건 1점, 청동숟가락 3건 3점, 청동굽다리그릇 1건 1점, 청동유개호 1건 1점, 청동동이 1건 1점 등 총 10건 10점이다. 이후 2017년 추가 발굴조사를 진행하는 도중 고려 초기 고승 혜거국사(慧炬國師) 홍소(弘炤, 899∼974)의 비석(碑石) 파편이 발견되었고, 비문의 내용 중 ‘견주도봉산영국사’(見州道峯山寧國寺)라는 명문이 판독됨에 따라 이 지역이 ‘영국사(寧國寺)’의 터였음이 새롭게 밝혀졌다. 이로써 도봉서원이 고려시대 영국사 터에 건립된 사실과 발굴지에서 수습된 금속공예품은 바로 영국사에서 사용한 고려시대 불교의식용 공예품이었음을 알 수 있게 되었다. 처음 발굴된 금속공예품은 총 67건 79점이었으나, 이 중 조형성, 공예적 기법이 우수하거나 크기가 크고 대표적인 유물(금강저, 금강령, 청동유개호), 유물이 담겨 명확한 출토정황을 증명해주는 유물(청동동이), 명문이 있어 편년기준이 되는 유물(청동현향로, 청동향합, 대부완), 의식공양구 세트(숟가락 3건) 등 일정한 의의가 있는 유물 10건 10점을 지정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 10건의 ‘서울 영국사터 출토 의식공양구 일괄’의 역사적ㆍ예술적ㆍ학술적 가치는 다음과 같이 정리된다. 첫째, 유물 중 현향로, 향합, 숟가락, 굽다리접시 등의 명문을 통해 유물의 사용처와 사용 방식, 중량, 제작시기, 시주자 등에 관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그릇의 굽다리에 새겨진 ‘계림공시(雞林公施, 계림공이 시주함)’라는 명문은 1077년∼1095년 사이에 내려준 ‘계림공’의 작위명을 통해 고려 숙종(肅宗, 1054∼1105)이 시주한 사실을 알 수 있어 출토유물의 시대적 편년과 더불어 고려왕실의 후원으로 이루어졌음을 알려주는 중요한 정보를 제공해 준다. 둘째, 본 유물들은 출토지가 확실하고 영국사에서 사용하였다가 일괄로 퇴장(退藏, 특별한 목적으로 매납함)된 유물로, 보존 상태가 양호하고 원형을 유지하고 있어 기물의 용도나 의례적 성격을 파악할 수 있는 자료로서 학술적인 의미도 매우 크다.. 셋째, 불교의식구인 금강저와 금강령은 완형의 세트로 발견되었는데, 주조기술이 정밀하고 세부 조형도 탁월해 지금까지 알려진 금강저와 금강령 중 가장 완성도 높은 금속공예품으로 꼽히고 있다. 더욱이 금강령의 탁설(鐸舌)이나 사리공(舍利孔)의 존재는 국내 유일한 사례이자, 금강령의 몸체 상단에 새긴 오대명왕(五大明王)과 하단의 범천(梵天), 제석천(帝釋天) 및 사천왕(四天王) 등 11존상의 배치 또한 그동안 보기 드문 희귀한 사례로서 우리나라 밀교(密敎) 법구에 대한 연구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영국사지 출토 의식공양구는 고려시대의 수준 높은 금속 공예기법과 불교의례와 공양의식에 사용했던 다양한 금속기들을 종합적으로 보여준다는 점에서 불교공예사적, 불교의례사적 의의가 크다. 아울러 도봉산 영국사라는 출토지가 분명하고, 고려시대 왕실 관련 밀교 법구로서 원형을 갖고 있으며, 금강령에 조각된 11존상의 조형예술적 특성도 우수하다고 평가된다. 이러한 사유로 다량으로 출토된 금속유물 중 예술적, 공예사적으로 우수한 금강령과 금강저를 비롯하여, 명문을 통해 사용처와 용도, 시주자를 분명히 알 수 있는 현향로, 청동향합, 청동굽다리 그릇, 숟가락과 이들을 담겼던 청동항아리와 청동동이를 보물로 지정하였다. |
'문화재 > 보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물 (제2137호) 고흥 능가사 목조석가여래삼존상 및 십육나한상 일괄 (0) | 2023.04.14 |
---|---|
보물(제2136호) 광주 덕림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0) | 2023.04.14 |
보물 (제2134호) 수운잡방 (0) | 2023.04.14 |
보물 (제2133호) 대구 동화사 수마제전 (0) | 2023.04.14 |
보물 (제2132호) 대구 동화사 극락전 (0) | 2023.04.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