뿌리와 역사/신라

문무왕의 대당(對唐) 무력시위

오늘의 쉼터 2021. 11. 4. 20:16

  문무왕의 대당(對唐) 무력시위
 

 
국립경주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는 壬申誓記石. 신라화랑의 맹세가 새겨져 있다.

  「삼국사기」를 보면 문무왕은 674년 9월 영묘사 앞 광장에서 거행된 대대적인 열병식에 임석했다.

여기서 아찬(관등 제6위) 설수진(薛秀眞)은 육진병법(六陣兵法) 시범을 실시했다.

그 직전, 唐고종은 문무왕의 관작을 취소하고 유인궤를 총사령관으로 정벌군을 충돌시켰는데,

육진병법의 시범은 그에 대한 무력시위와 군사연습이었다.
 
  육진병법은 唐의 병법대가(兵法大家) 이정(李靖)이 對돌궐戰에서 실행한 육화진법(六花陳法)의

신라판이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왜냐하면 唐은 對신라전에서 한병(漢兵) 이외에 기마전에 능숙한 말갈·거란병을 대거 투입했던 만큼

신라 전쟁지도부로서도 육화진법이 유용했을 것이기 때문이다.
 
 
  「삼국사기」 문무왕 10년(670)조는 나당(羅唐) 7년전쟁의 개전(開戰)에 대해 다음과 같이 기술하고 있다.
 
 < 3월, 사찬 설오유(薛烏儒)가 고구려의 태대형 고연무(高延武)와 함께 각각 정병 1만 명을 거느리고,

압록강을 건너 옥골(屋骨)에 이르니 말갈 군사가 먼저 개돈양(皆敦壤)에 와서 기다리고 있었다.

여름 4월4일, 말갈 군사와 싸워 우리 군사가 크게 이겼는데, 목 벤 수가 이루 다 셀 수 없었다.

당군이 계속 몰려오자 우리 군사는 물러나 백성(白城)을 지켰다>
 
 위의 인용문은 나당(羅唐) 7년전쟁에서 선공(先攻)을 가한 것은 신라군이었음을 나타낸 기록이다.

고연무는 고구려부흥군의 지도자였다.

작전지역인 압록강 북방 옥골·개돈양은 지금의 요녕성 단동 봉황성(丹東-鳳凰城) 지역이다.

이때 신라·고구려 연합군에게 대패한 말갈의 장수는 이근행(李謹行)이었다.
 
그렇다면 신라군이 압록강을 건너 만주의 요충지 봉황성(鳳凰城)을 강타한 개전 이유는 무엇이었을까.
 
  개전(開戰) 2개월 전인 그해 1월, 신라의 파진찬(관등 제4위) 김양도(金良圖)가 唐나라 감옥에서 옥사했다.

唐고종은 신라의 사신인 각간 김흠순(金欽純)과 김양도를 감옥에 가두었다가 흠순의 귀국은 허락하고,

양도는 계속 억류했다.

흠순과 양도가 사신으로 간 이유는 신라가 백제의 유민과 고토(故土)를 차지했다고 해서 唐고종이

불같이 노했기 때문이었다. 
  
  
  안동도호(安東都護) 설인귀(薛仁貴)의 서역 전선 이동
 
  그런 唐고종이었지만, 흠순은 김유신의 아우였던 만큼 가볍게 처리하기 어려웠다.

왜냐하면 그 아비 唐태종이 흠순의 형 김유신에 대해 평양군공(平壤郡公)이라는

관작과 식읍 3000호를 내릴 만큼 우대했기 때문이다.

흠순 자신도 당시 신라조정에서 김유신·김인문에 이어 랭킹 3위의 고위직자였다.
 
  그러면 김양도는 누구일까.

김양도는 대표화랑인 풍월주(風月主 제22世)를 거친 엘리트로서 특히 중국어에 능통했다.

그런 양도는 정보장교로서 입당(入唐) 후 첩보활동을 전개했을 것이다.

양도는 당시 안동(安東)도호부의 총책임자(都護)로서 평양에 주둔하면서 신라에 압력을

가했던 설인귀(薛仁貴)의 갑작스런 병력이동상황을 탐문했던 것 같다.
 
  그렇다면 설인귀가 왜 돌연 한반도에서 종적을 감추었던 것일까.

669년 9월, 토번(吐藩: 지금의 티베트)이 실크로드를 공격했기 때문이다.

평양에 주둔 중이던 설인귀는 급거 병력을 이끌고서역(西域)으로 이동하고 있었다.
 

 
 
불국사 옆에 위치한「東里·木月문학관」진입로의 연못. 김동리와 박목월은 신라정신을 대표하는 작가들로 손꼽힌다.

  
  당-토번의 대비천(大非川) 전투에서 전멸당한 설인귀 부대
 
  토번은 현재 청해성(靑海省)에 위치한 백주(白州) 등 18개 주를 점령했다. 실크로드의 허리를

끊어 버린 토번의 전격작전이었다. 唐으로서는 반격전을 서두르지 않을 수 없었다.

그러나 반격전의 결과는 참담했다.
 
  670년 7월, 곽대봉(郭大封)과 설인귀가 지휘한 당군은 청해호(靑海湖) 부근 대비천(大非川)

전투에서 참패했다. 이때 설인귀는 혼비백산해 자신의 몸만 겨우 빠져나왔다.

이 전투에 의해 안동도호부(安石護府) 휘하 4진(鎭)이 토번에 함락되었다.

안서4진(安西4鎭)이라면 지금 신강 위구르자치구에 있는 쿠차·카슈가르·호탄·카라샤르에 있던

오아시스 북로(北路)와 남로(南路)의 군사거점도시였다.

안서도호부는 서주(西州: 지금의 투루판)로 물러났다.
 
  唐의 서역경영에 있어 최대의 라이벌은 토번(吐藩)이었다.

토번은 662년부터 西돌궐의 일부인 궁뤌(弓月)과 손을 잡고, 당군(唐軍)에 도전해 왔다.
 
  670년 3~4월, 신라의 압록강 도강 직전과 봉황성 전투는 안동도호부의 唐軍주력이

서역으로 대거 이동한 상황에서 그허(虛)를 찔렀던 선제공격이었다.
 
  670년은 파란만장했던 한 해였다.

5월, 唐은 좌감문대장군 고간(高侃)을 동주도(東州道)행군총관으로 임명했다.
 
  6월, 고구려부흥군은 평양의 안동도호부를 점령하고, 唐의 관인(官人)과 부역자들을 처형했다.

고간이 지휘한 기병 1만과 이근행(부총관)이 지휘한 거란·말갈병 3만의 공격을 받은

고구려부흥군은 평양성에서 퇴각했다.
 
  문무왕은 보장왕의 조카 고안승(高安勝)이 이끌고 남하하던 고구려 유민들을

금마저(金馬渚: 지금의 익산)로 집단이주시켜 웅진도독부를 견제했다.
 
  그때 웅진도독부는 백제 유민들을 포섭해 對신라戰의 전열을 가다듬고 있었다.

문무왕은 대아찬(관등 제5위) 김유돈(金儒敦)을 웅진도독부에 급파해 화의를 요청하는

유화전술을 구사하면서 백제 고토(故土) 강점작전에 들어갔다.
 
  7월, 신라군은 당군(唐軍)과의 전면전에 대비해 교두보로 활용할 수 있는

주요 거점에 대한 일제 공세에 나섰다.

3개 방면에서 전개된 이 전격작전에서 신라군은 82개의 대소 성곽을 점령함으로

백제 고토 남부지역에 대한 지배권을 완전히 확보했다.

또 그 주민들을 대거 내지(內地: 신라영토)로 이주시켰다.

병력과 노동력 확보를 위한 사민(徙民)정책이었다.
 
  8월1일, 문무왕은 고구려 유민의 지도자 고안승을 고구려왕으로 책봉하고,

군량미 2000석과 비단 등을 지원했다.

신라는 고안승이 일본과 교류하는 것은 직·간접으로 지원했다.
 
  671년은 백제 고토 강점작전이 마무리되는 해였다.

1월, 신라군은 웅진도독부의 치소(治所)인 공주 남쪽 근교에서 唐軍과 접전을 벌였다.

이 전투에서 당주(幢主: 부대장) 김부과(金夫果)가 전사했다.

이때 신라의 국경을 침범한 말갈군과의 전투에서 적병 300여 명의 목을 베었다.
 
  6월, 김죽지(金竹旨)는 웅진도독부의 병량공급처인 부여 근교 가림성(임천면 성흥산성)

주위 들판을 불태웠다.

이때 唐軍과 부여-논산 교통로 사이에 위치한 석성(石城)에서 싸워 적 5300명의 머리를 베고,

백제 장군 2명과 唐의 과의(果毅: 고급장교) 6명을 포로로 잡았다.
 
  문무왕은 웅진도독부의 통치지역을 점령해 소부리주(所夫里州)를 설치하고,

그 치소를 부여에 두고 백제 고토에 대한 통치력을 확산시켰다.

7월26일, 문무왕은, 서역(西域)에서 한반도 전선으로 복귀한 唐의 행군총관 설인귀로부터

반당(反唐) 군사활동을 힐책하는 편지를 받았다.
 
  설인귀라면 645년 唐태종의 안시성 공격 때 영관급 장교로 참전했고,

668년 고구려 멸망 후에는 안동도호부의 도호를 역임한 역전의 인물이다.

唐의 체제하에서는 안동도호라면 唐고종이 문무왕에게 내렸던 계림대도독보다 상위의 관직이다.

도호부는 통상 4~5개의 도독부를 관할했기 때문이다. 
  
  
  문무왕에게 보낸 설인귀(薛仁貴)의 편지
 
  이 장문의 편지는 『행군총관 설인귀는 삼가 신라왕에게 글을 보냅니다.

본인은 육로 만리와 해로 삼천리를 지나 이 땅에 왔습니다』로부터 시작된다.

그가 서역전선(西域 戰線)으로부터 한반도 전선(戰線)으로 복귀해 왔음을 밝히고 있다.
 
  그는 신라가 은혜를 저버리고 군비를 강화해 백제의 고토를 강점한 것에 대해 항의했다.

이어 신라의 전쟁 수행능력을 낮게 평가하고 있다.
 
 < 왕은 지금 평안한 국가의 기반을 버리고, 원칙을 지키는 정책을 싫어하며, 멀리는 황제의

명령을 어기고, 가까이는 부친(태종무열왕)의 말씀을 어기며, 天時를 업신여기고, 이웃나라와

우호를 깨트리면서, 한 궁벽한 작은 땅(신라)에서 집집마다 군사를 징발하고, 해마다 전쟁을

일으켜, 젊은 과부가 곡식을 나르고, 어린 아이로 하여금 밭일을 하게 하고 있습니다.

이에 나라를 지키자니 의지할 곳이 없고, 싸움을 걸면 대항할 능력이 없게 되었습니다>
 
  신라의 고구려부흥군 지원과 고안승(高安勝)에 대한 고구려왕 책봉에 대해서도 힐책하고 있다.
 
 < 고구려의 안승(安勝)은 아직도 나이가 어리며, 패망 후의 마을과 성읍에는 주민이 반이나 줄

어서, 자신의 거취에 스스로 의심을 품고 있으므로 왕의 직위를 감당할 수 없습니다.

본인 설인귀의 누선(樓船: 대형 병선)은 돛을 펴고 깃발을 달아 북쪽 해안을 순시하면서도,

예전에 받은 신라의 고통을 불쌍히 여겨 차마 병사를 풀지 않았는데,

왕은 도리어 외원(外援)을 구하며 나에게 대적하니 어찌 잘못이 아니겠습니까!>
 
  설인귀의 편지는 사뭇 위협적이다. 唐의 압도적인 군세를 들먹이며 신라의 복종을 요구했다.
 
 < 고간 장군이 거느린 漢(族)의 기병, 이근행이 거느린 번병(藩兵), 오초(吳·楚)의 용감한 수군

(水軍)과 유주병주(幽州·幷州)의 악소(惡少)(輩)들이 사방에 운집하여, 병선(兵船)이 열지어 내

려가고, 험한 곳에 의지하여 진지를 쌓고, 그들이 귀국(貴國)의 땅을 개간하여 밭을 갈게 된다면,

이는 왕에게 치유할 수 없는 병통(病痛)이 될 것입니다>
 
  설인귀의 편지는 항복을 권유하는 문구로 끝난다.
 
 < 왕은 마음이 밝고 풍신이 준수하니, 겸손한 자세로 원칙으로 돌아가 대당(大唐)에 순종하는

마음을 가진다면, 때에 따라 혈식(血食)을 받을 것이요, 왕통이 바뀌지 않고 이어질 것이니,

러한 행운을 선택하고, 복을 받아들이는 것이 바로 왕의 계책이 되어야 할 것입니다.

삼엄한 군진(軍陣) 사이로 사절이 내왕하니, 왕의 휘하에 있는 승려 임윤에 편지를 맡겨

몇 가지 본인의 의견을 말씀드립니다>
 
  필자는, 문무왕의 반당(反唐) 행위를 배신행위로 규정한 한 일본 학자의 논문을 읽은 적이 있다.

사실, 설인귀의 편지를 얼핏 보면 대당(羅唐)동맹 균열의 귀책사유가 마치 신라에 있는 것처럼

오해할 수 있다. 
  
  
   개전 외교문서의 백미 「답설인귀서(答薛仁貴書)」
 
  이에 대한 문무왕의 답장, 즉 「답설인귀서(答薛仁貴書)」는 외교적 레토릭만 제외하면 우리

역사상 최고의 명문(名文)이며, 실용적(實用的) 외교문건이다. 그 내용은 唐의 과욕을 비판하고

신라의 정당성을 천하에 천명했다. 그것은 나당(羅唐) 분쟁의 핵심요인을 집약하고 있다.

전문(全文)은 「삼국사기」 문무왕 11년(671)조에 기록되어 있다.
 
  「답설인귀서」는 신라의 이찬(관등 제2위) 김춘추와 唐태종 이세민이 여-제를 멸망시킨 다음

에 시행하기로 약속했던 「648년 비밀협정」의 공개로부터 시작된다.
 
 < 선왕(先王: 김춘추)께서 정관(貞觀) 22년(648) 입조하여, 태종 문황제(文皇帝: 이세민)의 은혜

로운 조칙을 직접 받았으니, 그 조칙에는 「내가 지금 고구려를 치려는 것은 다른 까닭이 아니라,

너희 신라가 두 나라 사이에 끼어 매번 침해를 받아 편안한 날이 없음을 가련히 여긴 것이다.

산천도 토지도 내가 탐하는 바 아니며, 재물도 자녀도 모두 내가 이미 가지고 있는 것들이다.

내가 두 나라를 평정하면 평양 이남 땅과 백제의 토지는 전부 너희 신라에게 주어 길이 편안토

록 하려 한다」고 하면서 계획을 지시하고, 군사동원 기일을 정해 주었습니다>
 
  「답설인귀서」는 당시 슈퍼파워를 상대로 한 문건이었던 만큼 그 언사는 부드럽지만,

사실규명과 국가이익에 관해서는 한 치의 양보도 찾아볼 수 없다.
 
  문무왕은 나당전쟁의 원인을 唐이 고구려와 백제 고지(故地)에 안동도호부와 웅진도독부를

설치해 직할 영토로 삼고, 신라까지 병합하려는 데 있음을 명확하게 밝혔다.

이어 백제·고구려 정벌전에서 신라군의 공적이 당군에 못지않음을 구체적으로 적시했다.

다음은 「답설인귀서」의 골자이다.
 
 
  『가죽과 뼈는 중국에서 났지만, 피와 살은 신라의 것이다』
 
  1) 660년 백제 평정 때 唐의 수군(水軍)이 겨우 백강(白江) 어귀에 들어올 즈음 신라 육군은

백제의 대부대를 격파했다<김유신과 계백의 황산벌 결전>.
 
  2) 661년, 웅진성과 사비성의 唐軍이 백제부흥군에게 포위당해 위급한 상황에 처했을 때 문무왕

자신이 군사를 거느리고 가서 4面의 적을 한꺼번에 격파하고 군량을 지원해 주었다.

웅진도독 유인원(劉仁願) 이하 1만 당병이 4년 동안 신라의 것으로 먹고 입었으니,

가죽과 뼈는 중국에서 났지만, 피와 살은 모두 신라의 것이다.
 
  3) 662년 1월, 양하도 총관 김유신이 적진을 돌파하며 북상(北上)해 평양성을 공략하던

소정방의 唐軍에게 군량을 공급했다. 혹한 속에서 궤멸의 위기에 빠졌던 唐軍을 신라가 구원했다.
 
 < 對고구려 작전에서 항상 병참선 유지가 최대 약점이었던 唐軍에게 이후 겨울철 작전을 가능하게 했다>
 
  4) 663년, 왜선 1000척이 백강구(백촌강: 지금의 아산만)에서 머물러 있었으며, 백제부흥군이 강가에서

왜선을 엄호했는데, 신라의 정예 기병부대가 선봉이 되어 먼저 적 진지를 격파하니,

주류성은 힘을 잃고 마침내 항복했다.
 
 < 662~663년, 왜국은 백제부흥군을 지원하기 위해 3차례에 걸쳐 3만2000명의 왜군을 파견했는데,

제3차 파병 때인 663년 9월 왜국의 함대 400척(병력 1만명)은 백강구 전투에서 설인궤(劉仁軌)가 지휘한

唐 수군에 전멸당했다.

문무왕은 김유신 등 28명의 장수를 거느리고 친정해 드릉윤성(豆陵尹城: 청양군 칠갑산)과 주류성을 점령했다>
 
  5) 664년 8월, 취리산(就利山: 금강 북쪽)에 제단을 쌓아 놓고, 칙사(勅使) 유인원과 마주하여

문무왕과 부여융이 피를 입에 머금으면서 산하(山河)를 두고 맹약을 하게 했다.
 
 < 이는 계림주대도독인 문무왕과 웅진도독인 부여융이 동등한 자격으로 회맹(會盟)할 것을

강요한 것으로 4년 전 사비성 함락 때 부여융의 얼굴에 침을 뱉은 바 있는 문무왕으로서는, 심히

자존심이 상하는 일이었지만, 아직도 對고구려전이 진행 중인 상황이었던 만큼 唐의 회맹(會盟)

강요를 수락할 수밖에 없었다>
 
  6) 668년 평양성 포위전에서 신라의 김문영(金文潁) 부대가 선봉에 나서 연남건(淵南建)의

대진(大陣)을 격파하니 평양성의 기세가 꺾였다.

이어 신라의 정예 기병 500이 먼저 공격해 평양성 성문을 격파하는 전공을 세웠다.

그런데도 唐은 「신라엔 아무런 공로가 없다」고 했다.
 
 < 唐은 평양에 설인귀가 지휘하는 안동도호부를 설치하고 고구려 고토에 9개 도독부 42주 100현으로 나눠

직할지로 삼는 등 전리품을 독식했다>
 
  7) 비열성(卑列城: 함경남도 안변)은 본래 신라의 땅(진흥왕 시기)이었는데, 唐은 안동도호부 관할하에 두었다.
 
  8) 668년, 백제(웅진도독부)는 앞서 회맹한 곳(취리산)에서 경계를 옮기고, 경계 표시를 바꾸어

전지(田地)를 침탈했으며, 우리의 노비를 달래고 백성들을 유혹해 데려가 숨겨 놓고는 우리가

여러 번 찾아도 끝까지 돌려보내지 않았다.
 
  9) 「唐이 배를 수리하면서 밖으로는 왜국을 정벌한다고 말하지만, 사실은 신라를 공격하려는 것이다」라는

소문이 들려오니 백성들은 놀라고 두려워하고 있다.
 
  10) 웅진도독부가 백제의 여자를 한성(漢城)도독 박도유(朴都儒)에게 시집 보내고, 그와 음모하여

신라의 병기를 훔쳐서 한 州의 땅을 습격하려고 했으나, 다행히 발각되어 즉시 박도유를 참수하였기에

음모가 성공하지 못했다.
 
 < 신라가 박도유 이외에도 중앙군단인 대당총관 김진주, 남천주총관 김진흠 등 친당파를 국사에 소홀하다는

명목으로 주살했던 점으로 미루어 보아 신라 장군들에 대한 唐의 회유공작이 광범위하게 진행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11) 670년 당에 사신으로 갔던 김흠순(金欽純)이 귀국해 말하기를 『장차 경계를 확정할 것인데,

백제의 옛 땅을 조사하여 웅진도독부에 돌려줄 것』이라고 했다.

… 3~4년 사이에 주었던 땅을 다시 빼앗으니, 신라 백성들은 『지금 백제의 정황을 보면 스스로 별도의

한 국가를 세우고 있는 것이니, 100년 후에는 우리 자손들이 반드시 그들에 의해 멸망당할 것』이라고 실망하고 있다.
 
  문무왕은 설인귀에게 공정한 전후(戰後)처리, 즉 「648년 밀약」을 唐이 준수하지 않는다면 전쟁을 할 수밖에 없다는

강경한 입장을 대내외에 선언한 것이다.

설인귀라면 645년 요동성·안시성 전투부터 고급장교로 참전했던 인물인 만큼 그런 그에게 문무왕이 사실과 다른

언급은 할 수 없었을 것이다. 이 문서는 삼국통일전쟁에서 신라의 역할을 가감없이 파악할 수 있는 결정적인 문건이다.
 
  필자는, 신라가 외세에 기대어 삼국통일을 했다고 주장하는 어설픈 논객이나 나당전쟁의 개전(開戰) 원인을 신라의

배신행위라고 주장하는 일본의 일부 연구자에게 「답설인귀서」를 제대로 읽어 보라고 권하고 싶다.

삼국통일을 폄하하는 역사관은 식민사관의 음흉한 독수에 휘둘린 바보들의 행진이다.
 
 
  병참 차단 위한 요격작전 전개
 
  671년의 시점에서 문무왕은 고구려부흥군을 뒤에서 지원하고, 신라군의 주력을 백제 고토

점령작전에 투입했다. 7월, 고구려부흥군이 지키던 안시성이 당장 고간에 의해 함락되었다.

당군의 남하 속도는 빨랐다. 9월, 당장 고간이 4만 명을 거느리고 평양에 도착해 도랑을 깊이

파고 보루를 높이 쌓은 뒤 帶方(대방: 황해도)으로 침범했다.
 
  문무왕은 당군의 약점이 병참에 있다는 사실을 파악해 수군을 동원한 요격작전을 강화하기

시작했다. 671년 10월, 신라 수군은 예성강 어귀로 진입하던 당의 보급선을 습격해 70여 척을

노획했다. 격침된 당의 보급선도 많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왜냐하면 이때 당의 병선낭장 겸이

대후(鉗耳大侯), 내주사마 왕예본(王禮本), 열주장사 왕익(王益) 등을 비롯한 당의 수병 100여

명을 생포했기 때문이다. 겨울이 시작된 시점에서 당군의 병참선은 단절되었다. 이후 약 10개

월간 당군의 남하(南下)작전은 중지되었다.
 
  11월, 웅진도독부에 파견된 唐의 관원과 백제 유민 2000여 명이 47척의 선박에 분승해 왜국으

로 탈출했다.
 
  672년 1월, 문무왕은 웅진도독부를 완전히 축출하기 위해 대대적인 포위 섬멸작전을 전개했다.

사비성 외곽의 고성성(古省城)을 함락시키고, 가림성에 대한 공세를 강화했다.
 
  이 해 8월, 평양성에 주둔하던 唐의 동주도행군총관 고간과 말갈 장수 이근행은 본격적인 공세

에 나서 고구려부흥군이 지키던 마읍성(馬邑城: 평양성 서쪽)을 함락시켰다. 승기를 잡은 고간-

이근행 軍은 이어 황주-대방-백수성(白水城: 白川)으로 진격했다. 당군은 예성강 하구 백수성

(白水城)을 포위했다.
 
  이때 신라군은 당군의 후방을 급습함으로써 상황이 반전되었다. 백수성에서 농성하던 고구려

부흥군이 성문을 열고 나와 당군을 들이치면서 되려 앞뒤에서 당군을 포위하는 형세로 급변했

던 것이다. 신라군과 고구려부흥군은 이 전투에서 당군 수천 명을 살상하고, 수많은 전리품을

획득했다.
 
  백수성에서 패전한 고간의 당군은 석문산(石門山: 황해도 서흥)으로 후퇴하여 산세(山勢)를

의지해 진영을 굳히는 등 전열(戰列)을 재정비했다.
 
  승전한 신라군은 당군을 추격했다. 이때 당군은 신라군에 대한 통렬한 반격작전을 전개했다.

이 전투에서 신라군의 주력부대가 대패했다. 대아찬 효천(曉川), 사찬 의문·산세(義文·山世),

아찬 능신·두선(能申←善), 일길찬 안나함·양신(安那含·良臣) 등이 전사했다. 고간의 유인계

(誘引計)에 넘어가 신라군의 주력이 궤멸적 타격을 입은 것이다. 개전 이래 최대의 위기였다.
 

                 * 위 지도의 676년을 672년으로 수정함- 조선pub 편집부
  
  672년 석문산(石門山) 전투에서 대패한 후의 지구(持久)전략
 
  패보를 접한 문무왕은 즉시 중신회의를 소집해 대책을 논의했다. 이때 78세의 태대각간(太大

角干) 김유신은 唐의 흉계를 예측하기 어려우므로 장병들을 모두 동원해 산성전(山城戰)을 전개

해야 한다고 건의했다. 당시 남한(南韓) 지역에는 800개의 城이 있었다. 침략군에게 소모전을

강요하는 전략이었다.
 
  결전을 피하고 전략지구(戰略遲久)로 대응하며, 정세의 변동을 기다려야 한다는 김유신의 판

단은 정확한 것이었다. 신라는 강남의 한산주(漢山州: 경기도 광주)에 주장성(晝長城: 南漢山城)

을 축조해 강북의 북한산성(北漢山城)과 함께 한강 계선의 중요 방어진지로 삼았다.
 
  신라의 화전(和戰) 양면책은 교묘했다. 672년 9월 문무왕은 唐고종에게 『저는 죽을 죄를 짓고,

삼가 말씀 올립니다』로 시작되는 상표문(上表文)을 올렸다. 사죄사 급찬 김원천(金原川)과 내마

김변산(金邊山)은 포로로 잡혀 있던 내주사마 왕예본, 열주장사 왕익을 비롯한 당의 장병 170명을

데리고 가 唐측에 인도했다. 또한 신라에 대한 적대감을 누그러뜨리기 위해 금, 은, 동, 針(바늘),

우황(牛黃), 포(布) 등을 예물로 보냈다.
 
  신라의 저자세 외교는 唐 조정의 분위기를 일시 호전시키기는 했지만, 신라의 지원을 받은 고구

려부흥군과 당군의 전투현장에서는 오히려 긴장이 고조되고 있었다. 673년 5월, 당군은 고구려부

흥군에 치명타를 가하기 위해 대공세를 걸었다.
 
  673년 9월, 당군은 임진강의 중류 호로하(瓠蘆河) 남안의 칠중성(七重城: 파주시 積城面)과

왕봉하(경기도 고양)까지 남하해 고구려부흥군과 대접전을 전개했다. 고구려부흥군이 패퇴하자

드디어 신라군이 당군과 정면충돌한다.
 
임진강 계선 전투의 결과는 이후 東아시아 세계의 정치판도를 만들어 낸 결전이었다.

 

(계속)